103,811명

이번에 녹색당에 투표한 사람 수란다.

원자력 발전소가 20기가 넘는 나라에서, 그것도 원자력에 관한 사항은 거의 다루지 않음에도 간혹 발전소에서 사고가 났다는 기사가 나는 나라에서, 반원자력을 주장하고 나선 정당에 대한 투표율이 0.48%

절망해야 하는가? 한 때 절망도 했었다. 가까운 후쿠시마에서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했고, 우리나라에서도 방사능이 검출되었으며, 오래된 원자력 발전소는 위험하게도 고장이 자주 나고 있는 상태이고, 그런데도 원자력 발전소를 더 짓겠다고 하는 나라에서 반원자력을 주장하는 녹색당에 대한 지지가, 그것도 녹색당원들은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해 지역에서 오랫동안 일을 해온 사람들임에도 불구하고 그 지지율이 1%도 안 되다니 말이다.

 

하지만 절망에서 끝내서는 안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사표 심리가 크게 작용을 했을 거고, 투표장에 가본 사람은 알겠지만, 이번에 비례대표 지지 정당은 너무도 많아서 정말로 관심을 가진 사람이 아니면 녹색당이 있는지도 몰랐을테니 말이다.

여기에 녹색당은 창당이 늦어졌고, 홍보할 수 있는 수단도 부족했고, 언론이 관심을 가져주지도 않았으니 말이다. 나 역시 기껏 녹색당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이 "녹색당 선언"이라는 책을 읽어서 알고 있는 사항이 전부였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녹색당의 이번 지지율은 절망할 지지율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지 않고 홍보 수단도 부족했는데, 10만명이 조금 넘는 사람들이 찾기도 힘든 투표용지에서 녹색당을 찾아 지지했다는 사실은, 녹색당이 앞으로 가능성이 있다는 표시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이 녹색당이 이 정도의 지지율을 얻는데는 "녹색평론"의 공도 컸다고 해야 하리라.

 

녹색당의 이념과 녹색평론의 주장이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고, 녹색평론 독자라면 지지하든, 지지하지 않든 반원자력, 환경, 생태에 대해서는 관심이 많을테니 말이다.

이번호에서도 여기 쉬지 않고, 원자력, 좀더 명확한 언어로 말하자, 핵에 대해서 다뤄주고 있다. 이제는 언론에서 이미 끝난 일처럼 다루고 있는 후쿠시마 사태를, 녹색평론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이제 시작임을 계속 우리에게 환기시켜 주고 있다.

세상에 잊을 것을 잊어야지. 이건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너라는 속담처럼이 아니라, 아무리 조심해도 지나치지 않는, 아무리 경고해도 지나치지 않는 일이다.

그래서 이렇게 꾸준히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이 책이 고맙다.

반핵 뿐만 아니라, 강정마을에 대한 이야기도 마음에 와닿는다.

 

해결된 문제는 하나도 없다. 그렇다고 해결되지 않을 문제도 없다. 반핵, 강정마을, 쌍용차, 기타 언론사 파업 등등 우리는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야 한다.

그 해결해나가도록 계속 우리를 격려하는 책이 바로 이 녹색평론이다.

화창한 오월, 눈에 보이는 이 화창함 속에 우리가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얼마나 많은지, 우리가 얼마나 제대로 보아야 하는지 "녹색평론"이 말해주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12-05-18 14: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녹색당이 얻은 표는 솔직히 힘빠지는 결과이지만,
현실적인 여건들을 생각한다면 희망을 얻을 수 있는 득표율이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선거제도와 정당제도 자체에 있다고 생각됩니다.
비례대표를 더 확대하여 각 정당의 정책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선거구조로 가야하고,
지역구에서 출마하는 국회의원의 경우 해당 지역구를 위한 공약보다는
그 지역구를 대표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해야 합니다.
정당제도는 이미 기득권을 가진 정당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소수정당들도 당당하게 목소리를 내고 활동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노후원전 폐기와 신규원전 취소 그리고 일본산 수입식품 검역 문제, 밀양 초고압송전탑 문제, 강원도 골프장 문제, 제주 해군기지 문제,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 문제, 광우병 수입쇠고기 문제를 비롯한 각종 먹거리 안전 문제 등등 녹색당이 힘을 기울여 해야 할일이 많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곳곳에서 녹색당 당원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조금 힘이 빠져 있었는데, 용기를 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