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떠날 수 없는 사람들 - 또 다른 용산, 집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 ㅣ 평화 발자국 8
김성희 외 5인 글.그림 / 보리 / 2012년 1월
평점 :
어디로 갈 수 있단 말인가? 자신이 살던 터전에서 쫓겨난 사람들이.
이 책은 "내가 살던 용산"의 2부라고 보면 된다.
용산 참사가 아직도 해결이 되지 않고, 사실, 힘없는 사람들이 아직도 고통을 받고 있는 현실에서, 제2, 제3의 용산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 현실에서... 도대체 이들 보고 어디로 가라고 하는지.
단지 서울만이 아니다. 수원, 부천 등등 우리나라 도심이라면 어디에서든 이런 일이 발생하고 있고, 발생할 수 있다.
남의 일이 아닌 셈이다.
주택보급률은 너무도 높은 나라인데, 자기집을 가지지 못한 사람은 또 왜이리 많은지.
최소한의 주거권이 인간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라면, 국가라는 존재는 국민들의 주거권을 보장해주려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 오히려 공권력을 이용해서 이들의 주거권을 박탈하는 경우가 많으니...
처연하고도 슬픈 만화다.
그럼에도 희망이 보이는 만화다. 만화라는 장르의 특성이 살아있어서인지 몰라도, 세상, 삶의 가장 바닥에서 살아가는, 자신의 삶터에서 쫓겨난, 또는 쫓겨나고 있는 사람들 이야기를 만화가들이 만화로 그렸음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모습 속에서는 마냥 슬픔만으로만 채워져 있지는 않다.
힘든 가운데서도 자신들의 의지를 다독이고 있는 사람들.
그건 어쩌면 더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는 절박함에서 나오는지도 모른다. 또 그런 절박함 속에서 용역들이나 공권력과 투쟁하는 가운데서 나오는지도 모른다.
다행스럽게도 서울시장은 이러한 원주거민을 내쫓는 개발을 중지하겠다고 했으니 세상이 조금씩 좋아지고 있으려나?
또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일이 단지 남의 일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아가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려나?
만화가 세상을 향해서 소리를 치고 있다.
여기 사람이 있다. 이 사람들을 보라고. 그들은 남이 아니라, 바로 우리라고.
볼만한 만화가 많이 나오는 요즘...
슬프지만, 즐겁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