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의 [광장], 몇 번이나 개작을 했던가?
처음에 읽었던 책은 세로로 조판된 책이었는데, 나중에 다시 가로로 조판된 책을 읽었고, 이번에 다시 읽었다.
나이 20대에 읽고, 30대에 읽고, 40대에 읽고, 각자 다른 책으로 읽었는데, 20대에 느낀 감동이 40대에는 조금 이성적이 되었지만, 그래도 [광장]은 지금까지 우리에게 읽히는 좋은 책임은 틀림없다.
뭐... [광장]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했으니, [광장]에 대한 평이야 다른 사람에게 맡기면 되고, 이번에 [광장]을 읽으면서는 이명준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생각하며 읽었다.
그가 남한에 있을 때는 철학도였고, 돈에는 초탈했으며, 북한에 있을 때에는 언론인이 되었다는 사실이 마음을 끌었다고나 할까?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돈의 효용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사실에서 이명준은 생활인이 되지 못한 관념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자본주의에서 돈과 관계가 없는 일은 없는데, 그는 돈에 대해서 아예 모르쇠로 일관한다. 세상에 부모가 없는 아버지 친구 집에서 기식하는 사람이 돈에 대한 관념을 지니지 못하고 지내다니...
이 점에서 그는 생활 속에 들어가지 못하고, 생활을 멀리서 관찰하기만 한다. 즉 그는 삶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자신의 삶을 객체로 만들고 있다. 결국 그가 존경하는 정선생 집에서 본 미라는 결국 이명준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북한에서는 그는 이념의 화신이 되어야 하는데, 이번에는 그의 눈에 생활이 보인다. 그러나 생활은 보이되 생활을 바꿀 주체는 되지 못한다. 그가 언론인이라는 직업을 가진 것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생활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생활을 밖에서 관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자세는 철저한 이념을 우선시 하는 북한 사회 속에서도 그의 자리는 없음을 의미한다.
그렇담, 남과 북 모두에서 실패한 삶을 산 이명준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제3국으로 도피하는 길밖에 없다. 자신의 분열된 모습을 모두 버리고 새 출발을 할 수 있는 곳, 이 곳에선 삶을 관조하지 않는 생활인이 되길 꿈꾼다. 이것이 그가 머리를 쓰는 직업을 이야기 하지 않고, 오직 몸을 움직이는 직업을 갖고자 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그는 결국 생활인이 되지 못한다. 그를 끝까지 따라오는 갈매기, 이 갈매기는 다른 세상을 그에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지만, 그가 생활인이 될 수 없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과연 그는 구원을 받았다고 할 수 있나?
구원이 아니라, 이러한 관념인은 우리나라처럼 비극을 겪은 현대사회에서는 살아갈 수 없음을 이야기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바로 여기에 비극이 있다. 문제는 알되, 해결할 의지는 없다. 그는 문제가 있는 곳으로 들어가 문제를 온몸으로 맞이할 마음이 없다. 그가 몸 이야기를 하는데, 이는 기껏해야 그가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몸을 느낄 뿐이다. 그에게 생활인으로서의 몸은 없다. 그에게는 오직 '체'만 있을 뿐이다. 남에서는 부르조아적인 삶에 어울리는 '체', 북에서는 이념을 받아들이는 '체'.
이 '체'는 생활과 정신이 하나가 되지 않은, 분열된, 늘, 사회로부터 미끌어지는 사람의 자세일 뿐이다. 이런 '체'가 내면화된 이명준은 어디에서도 '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그의 제3국행이 해결책이 될 수 없는 것이다. 그가 마지막으로 이 '체'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이 소설이 나온 지 50년이 지났다. 그런데도 아직도 읽힌다. 바로 우리 현실 때문이다. 우리나라, 남북의 관계는 이명준이 생활과 정신 사이에서 분열을 느끼고, 계속 미끄러지듯이 우리 현실도 이러한 분리, 미끌어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얼마나 많이, 자주, 지속적으로 우리는 미끄러지고 있는가?
따라서 우리는 이명준이 되어서는 안된다. 현실을 직시하되, 현실을 밖에서 보지 않고, 현실 안에서 현실을 움직이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래야 미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관념인 이명준이 아니라, 생활인 이명준으로 우리는 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