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두석 시집에는 '꽃'이 들어가는 시집들이 많다. 대꽃, 성에꽃, 투구꽃, 숨살이꽃과 더불어 꽃에게 길을 묻는다,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필 때처럼...


  꽃. 아름답다고, 우리 마음을 편하게 해준다고, 누군가를 축하할 때 우리는 꽃을 선물하기도 하고, 누군가를 기릴 때 꽃을 가져가기도 한다. 그만큼 꽃은 우리 곁에 가까이 있다.


  그러던 시인이 이번에는 꽃이 아니라 새를 시집의 제목으로 삼았다. 이 시집에도 '꽃'을 다루는 시들이 (동강할미꽃, 물매화, 산수유나무, 뻐꾹채, 바람꽃,도체비꽃 등등) 있지만, 주를 이루는 것은 새들이다. 


  지상에서 천상으로 관심이 옮아갔는가? 아니, 지상을 수놓는 꽃들과 천상을 수놓는 새들이 통한다고 보았겠지.


새들 역시 우리 곁에 있는 자연이니까. 우리가 심상하게 쓰는 표현 가운데 '새처럼 자유롭고 싶다'는 말이 있으니...


인위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사는 존재에 대한 시인의 시선이 꽃에서 새로 확장이 된 것이겠지. 공중에서 지상으로 낙하하는 꽃들과 지상에서 천상으로 비상하는 새들. 우리 삶도 한때 그렇게 꽃을 피우고 또 그렇게 비상했겠지. 누구에게나 그런 때가 있어야겠지.


결국 우리 삶도 자연의 일부이니, 삶과 죽음이 하나로 내 곁에 있듯이, 지상의 존재와 천상의 존재, 그리고 지하의 존재, 아직 알려지지 않은, 모르는 존재들이 내 곁에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시집이다.


자연을 다룬다고 마냥 평화롭지만은 않다. 자연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고 있기에 누군가의 생명 유지는 누군가의 죽음을 바탕으로 하기에.


'백로와 숭어'(52쪽)라는 시를 보면 이런 자연의 모습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백로가 숭어를 낚아채어 가는데, '백로와 숭어의 눈빛이 순간적으로 마주친다 ... 백로도 숭어도 오직 보는 일에만 집중한다(최두석, 백로와 숭어 중에서. 52쪽)'고...


그렇게 죽살이가 한 순간 공존하고 있다. 그냥 자연스럽게, 그렇게. 그것을 시인은 '강물은 아무 일 없다는 듯 유유히 흘러간다.'(앞의 시)고 하고 있다.


우리 삶에도 여러 굴곡이 있겠지만 삶은 그렇게 유지되고, 그러한 삶에 대해 최두석의 이번 시집을 통해 생각한다. 그럼에도 참 삶은 위태위태하다. 이 위태위태함이 삶인지도 모르겠지만.


세상에서 가장 편한 때가 잠잘 때여야 하는데, 그럴 때조차도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때가 있으니. 자연도 마찬가지다. 마냥 평화롭지만은 않다. 온갖 것이 혼재해 있는 것이 자연이니. 이 시집의 제목이 된 시를 읽어본다. 


  두루미의 잠


삵 같은 천적 피하기 위해

얕은 물에 발을 잠그고 자는 두루미는

추위가 몰려오면

한 발은 들어 깃 속에 묻는다


외다리에 온몸 맡긴 채

솜뭉치처럼 웅크린 두루미의 잠


자면서도 두루미는

수시로 발을 바꿔 디뎌야 한다

그래야 얼어붙지 않는다

그걸 잊고 발목에 얼음이 얼어

꼼짝 못하고 죽은 새끼 두루미도 있다


한탄강이 쩡쩡 얼어붙은 겨울밤

여울목에 자리 잡은

두루미 가족의 잠자리 떠올리면

자꾸 눈이 시리고 발목도 시려온다.


최두석, 두루미의 잠. 문학과지성사. 2023년. 42쪽.


시인의 눈이 어디 두루미에서 그치랴. 시인이 보고 있는 자연은 곧 우리의 삶이고, 그러니 시인은 우리의 삶들에서 두루미와 같이 잠자리에서도 경계를 해야 하는 이들을 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연의 이치가 그렇게 흘러가도록 하겠지만, 인간은, 인간적이라 함은 같은 인간이 그렇게 힘든 상황에 있을 때 그냥 지나치지 못하지 않는다. 측은지심이라고 해야 하나, 인간은 어려움에 처한 존재에 손길을 내민다. 


자연의 자연스러움을 이야기하는 것은, 우리 곁의 자연을 보고 인간의 삶을, 인간적인 삶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라는 시인의 뜻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