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은 창녀의 노래 - 송기원 소설선집 송기원의 시와 소설 3
송기원 지음, 진형준 해설 / 살림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송기원 작가의 부음을 들었다. 1947년 7월 1일에 태어나 2024년 7월 31일에 세상을 떠난 작가. 내 젊은 시절, 그의 작품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어느 순간 인도에 갔다는 얘기도 들려오고, 그 다음의 작품들은 내게는 관심 밖이었는데...


그럼에도 젊은 시절에 읽었던 작가가 유명을 달리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작품을 하나쯤은 곁에 두고 싶었다. 그의 작품 역시 지금의 나를 만드는 한 요소였기에.


어떤 책을 살까 하다가 읽어본 기억이 없는 제목인 '늙은 창녀의 노래'를 선택했다. 사실 지금은 어떤 작품을 읽었고 어떤 작품을 읽지 않았는지 가물가물하고, 구분도 잘 되지 않지만, 이 작품은 아주 생소하게 다가왔으니 분명 읽지 않았으리라.


'월행'이나 '아름다운 얼굴'은 읽은 기억이 있는데, 내용은 잘 생각이 나지 않고, 그래서 읽기로 하고 구입한 소설집.


읽으면서 역시 송기원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최근에 읽었던 소설과는 다른 울림을 준다고나 할까. 특히 이 소설집에 실린 소설들은 상처를 입은 인물들이 나온다. 그 상처를 어떻게든 떨쳐내려 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은 일. 결국 상처를 받아들이게 되는, 자신의 상처와 화해하는 과정이 드러난 소설들이 실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상처일까? 시대의 아픔으로 인한 상처도 있을 것이고, 가족사로 인한 상처도 있을 것이고, 그밖에 자신의 경험을 통해 얻은 상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상처가 자신을 한 없이 부끄럽게 만든다. 부끄러움. 그것을 감추고 싶지만, 잘 안 될 때, 사람은 위악의 모습을 지니게 된다.


부끄러움을 감추는 것. 해설에서는 그것을 상처와 자기혐오라고 하는데, 혐오라는 말이 강한 부정의 뜻을 지니고 있다면 부끄러움을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신을 혐오하는 인물들이 나오지만, 그 혐오는 결국 부끄러움이라고 해야 한다.


부끄러움을 감추려고만 하면 그것이 상처가 되고, 그러한 상처가 자기 혐오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때 나타나는 것은 위악이다. 위악으로 똘똘 뭉친 사람. 강하게 나가지만 한없이 약한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소설집에 나오는 인물들은 그런 인물들이다. 위악적인 모습을 보이는, 그러나 상처로 인해 자신 속으로 꽁꽁 숨어버리려 하는 인물들.


이런 인물들이 결국은 자신의 상처를 대면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소설이 끝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치열한 자기 극복의 과정이 소설에 잘 드러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상처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소설이 '다시 월문리에서'이고, '사람의 향기'이며 이 소설집의 제목이 된 '늙은 창녀의 노래'다. 


끝까지 가 본 사람만이 볼 수 있는 심연에서,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발견하는 것. 그런 사람들의 모습을 소설로 표현한 송기원.


어쩌면 이들의 삶은, 아니 '늙은 창녀의 노래'에 나오는 늙은 창녀의 삶은 진흙 속의 연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밑바닥 인생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작가. 그 작가가 바로 송기원이다.


말이 필요없다. 읽어보면 안다. 사람을 끝없이 끌어내리는 상처가 그 상처로 인해 다시 사람을 일으켜 세울 수도 있음을. 정말 오랜만에 읽은 송기원 소설. 


끝이 끝이 아님을, 끝이 시작이 될 수 있음을 이 소설집을 통해서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