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지하철 - 닫힌 문 앞에서 외친 말들
박경석.정창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경석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박경석 하면 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투쟁에 앞장선 사람으로 알고 있다. 


그의 얼굴을 뉴스에서 여러 번 본 적이 있고. 한때 노들장애인야학 교장으로 지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는데... 구체적인 그의 삶과 생각을 들은 적은 없었다. 그냥 시위를 하는 모습을 언론을 통해 보기만 했을 뿐.


그러다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계속되고 있다는 말은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았다는 뜻인데, 아직도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하철 역사가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한다 - 출근길 지하철 투쟁을 생각했다.


사람도 많고 바쁘기도 한 출근길에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함께 타려고 하는 모습을 보고, 어떤 사람들은 얼굴을 찡그리고 말지만, 어떤 사람들은 왜 이 시간에 나와서 우리 출근을 방해하느냐고 비난을 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당신들을 지지합니다라고 하기도 하는, 서로 다른 관점들이 표출되는 그 투쟁이 지속되고 있다는 현실을 다시 직시한다.

 

그가 왜 출근길 지하철 투쟁을 포기할 수 없는지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그것은 단순히 장애인도 지하철을 편하게 타자는 차원을 넘어서서 우리 사회의 근본 시스템을 바꿔보자는 것이다. 여기까지 나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장애인 투쟁이 단지 자신들의 편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자는 운동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단순히 공감 차원을 넘어서서 지금 시스템이 얼마나 폭력적인지를 드러내고 ,그 시스템을 잠시라도 중지시켜보는 실천들이 필요한 거죠. 전장연처럼 지하철이라는 컨베이어 벨트를 멈춰 세우는 것 같은 실천이 그래서 저는 정말 중요한 거라고 생각을 해요. ... 지금 우리를 힘들게 만드는 건 이놈의 시스템인데, 정작 고 시스템은 전혀 공격도 안 받고 우리끼리 각자 권리를 두고서 서로 피터지게 싸우기만 하고. (65쪽)


그렇다. 그는 이를 원형경기장에 비유했다. 원형경기장에서 싸우는 검투사들. 그들은 상대를 향해 칼을 휘두른다. 그렇지만 정작 그들을 그곳으로 내몬 사람들은 그들의 싸움을 보면서 즐긴다. 이게 무엇인가?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자기들끼리 싸우고 있는 현실. 그것이 지금 우리 사회가 지니고 있는 모습 아닌가. 이것을 극복해야 한다. 원형경기장에서 나와야 한다. 싸워야 할 대상은 바로 눈 앞에 있는 검투사가 아니라 원형경기장에 사람들을 몰아넣고 싸우게 만든 자들이다.


박경석은 그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이야기를 하기 전에 내 무지를 탓해야 한다. 그들이 그렇게 우리 사회가 T4사회라고 외쳤는데, T4사회가 무엇인지 알려고도 하지 않았던 나의 무지를. 아니 T4사회라는 말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들은 나의 무지를.


장애인을 조직적으로 말살한 나치의 정책이 T4정책이라고 하는데, 그들이 장애인을 제거한 것이나 지금 장애인들이 사회에서 배제되고 있는 현실이 그리 다르지 않다고 하는 박경석의 절규. 이 절규를 우리가 왜 듣지 않고 있는지.


그래서 박경석은, 그와 더불어 장애인들은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존재에서 보이는 존재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존재에서 목소리를 내는 존재로 당당하게 사회에 나서려 한다.


그들이 당당하게 나설수록 우리 사회는 더 좋은 사회기반을 마련할 것이고, 모두가 행복한 사회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서로가 원형경기장에서 바로 눈 앞의 상대와 싸우는 것이 아니라 원형경기장을 부수려는 싸움을 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장애인 투쟁의 역사를 어느 정도 개괄할 수 있었는데... 새롭게 느낀 점은 많은 사람들이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그냥 넘어가고 있었던 것.


국가 예산 편성권을 기재부(기획재정부)가 독점적으로 쥐고 있다는 것. 복지부나 기타 다른 부서와 합의가 되어도 기재부에서 예산 편성을 하지 않으면 합의된 정책들이 실시될 수 없다는 점. 그런데 기재부는 무슨 근거로 예산 편성권을 독점하고 있는 걸까? 그들은 철저히 경제(성과)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한다고 하는데... 


국가는 비용(성과)보다는 국민들의 삶을 개선하는 쪽에, 사람을 중심에 두는 쪽에 예산을 편성해야 하지 않나. 그러니 기재부의 예산 독점권은 시민들에 의해 견제받아야 한다는 박경석의 말에 동감한다.


국민적 합의로 예산을 편성해야 사회적 합의를 이룬 문제들을 실행할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는 그의 말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