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월 시문학상 작품집을 읽는다.
교과서에서 배우는 시인. 적어도 한국에서 교육을 받았다면 김소월 정도는 알고 있지 않을까 하는데...
그의 시를 많이는 몰라도 또 '진달래꽃'을 몰라도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이라는 시구를 들으면, 아, 그 시 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은가.
그만큼 김소월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이라고 할 수 있고, 그런 시인을 기리는 문학상도 의미가 있다.
아마도 시인들에게 김소월 문학상을 받았다는 사실은 큰 즐거움이리라.
이 작품집의 수상 소감에서 수상자인 정일근 시인도 그런 식으로 말을 했으니... 서정성. 이것이 우리 마음을 울리기도 하리라. 김소월의 서정성이 지금까지도 우리 마음을 울리듯이, 김소월 문학상을 받은 작품들도 계속해서 우리들 마음을 울리리라는 생각을 한다.
이번 수상작은 정일근 시인의 '둥근, 어머니의 두레밥상'이다. 둥글다는 표현과 두레라는 말, 그리고 밥상이라는 말이 모두 모여 따스함을 전해주고 있다.
모나지 않았음은, 다른 존재를 밀치지 않는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그래서 둥근이라는 말에서는 보름달을 연상하기도 하고, 또 보름달 중에서도 우리에게 기쁨을 주는 한가위(추석)의 달을 떠올리게 하기도 한다.
한가위의 보름달... 풍요롭고 평화로운, 사람들에게 만족을 전해주는 달 아닌가. 여기에 두레라고 하면 홀로가 아닌 함께라는 의미가 있으니, '혼밥'이 대세인 요즘과 달리 '함께하는 밥'이라는 의미로 '두레밥상'이 등장한다고 할 수 있다.
식구(食口)라는 말 자체가 밥을 함께 먹는 존재들이라는 의미니, 두레밥상에는 이미 식구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좁은 의미의 가족이 아니라 넓은 의미의 확장된 가족이 바로 식구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식구들이 모여 함께 먹는 밥상은 평화로울 수밖에 없다. 너 잘났니, 나 잘났니 싸울 필요가 없다.
그냥 따스한 밥 한 끼 함께 먹으면 된다. 그렇게 모여 함께 먹는 밥, 함께 모이는 밥상은 둥글 수밖에 없다. 두레밥상이 둥근 까닭이 여기에 있겠다.
서로의 모난 점들을 서로 보듬어주어서 둥글게 둥글게 만드는 두레밥상. 시인이 꿈꾸던 두레밥상이 벌써 20년이 지났다.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두레밥상'은 의미가 있다. 우리 마음을, 몸을 포근하게 감싸준다.
시를 읽으며 마음을 밥상머리에 앉아 있는 듯이 그냥 내어주면 된다. 그러면 된다. 더 말이 필요없다.
둥근, 어머니의 두레밥상
모난 밥상을 볼 때마다 어머니의 두레밥상이 그립다.
고향 하늘에 떠오르는 한가위 보름달처럼
달이 뜨면 피어나는 달맞이꽃처럼
어머니의 두레밥상은 어머니가 피우시는 사랑의 꽃밭.
내 꽃밭에 앉는 사람 누군들 귀하지 않겠느냐,
식구들 모이는 날이면 어머니가 펼치시던 두레밥상.
둥글게 둥글게 제비새끼처럼 앉아
어린 시절로 돌아간 듯 밥숟가락 높이 들고
골고루 나눠주시는 고기반찬 착하게 받아먹고 싶다.
세상의 밥상은 이전투구의 아수라장
한 끼 밥을 차지하기 위해
혹은 그 밥그릇을 지키기 위해, 우리는
이미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짐승으로 변해 버렸다.
밥상에서 밀리면 벼랑으로 밀리는 정글의 법칙 속에서
나는 오랫동안 하이에나처럼 떠돌았다.
짐승처럼 썩은 고기를 먹기도 하고, 내가 살기 위해
남의 밥상을 엎어버렸을 때도 있었다.
이제는 돌아가 어머니의 둥근 두레밥상에 앉고 싶다.
어머니에게 두레는 모두를 귀히 여기는 사랑
귀히 여기는 것이 진정한 나눔이라 가르치는
어머니의 두레밥상에 지지배배 즐거운 제비새끼로 앉아
어머니의 사랑 두레먹고 싶다.
2004년도 제18회 소월시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사. 2003년 초판.
정일근, '둥근, 어머니의 두레밥상'. 15-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