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아요’는 어떻게 지구를 파괴하는가 - 디지털 인프라를 둘러싼 국가, 기업, 환경문제 간의 지정학
기욤 피트롱 지음, 양영란 옮김 / 갈라파고스 / 2023년 3월
평점 :
읽으면서 그래, 이거였어. 하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 친환경이라는 말과 어울린다고 생각했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반환경적인 일들이 있는데, 디지털이 바로 그렇지 않나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 이산화탄소를 직접 내뿜지도 않는다.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디지털을 눈 앞에 두고서는 어떤 오염 물질을 생각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다고 오염 물질이 나오지 않는가? 보이지 않는다고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가? 우선 간단하게 살펴보자. 다른 것들을 모두 무시하고, 디지털 기계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스마트폰만 보자.
이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물질들이 얼마나 많은지 알고 있는가? 옛날 구식 전화기보다, 또 벽돌폰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큰 핸드폰보다, 아주 작은 정말 스마트한 스마트폰이 다른 무엇보다 많은 원재료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
구식 전화기는 10가지 원재로면 된단다. 소위 벽돌폰은 29가지 원재료가, 스마트폰은 54가지의 원재료가 들어간다고 한다. (307쪽. 부록2)
54가지의 원재료는 땅 속에 있는데, 이들을 채굴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환경을 파괴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 우리가 스마트하게 쓰는 스마트폰은 이미 그 자체로 환경에 문제를 일으킨다. 여기에 빨리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깔아야 한다. 인공위성을 통해서 통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도, 지금 세계는 바닷속에 광케이블을 깔아놓고 있다고 한다.
한두 나라가 아니고, 한두 곳이 아니고 대양 이곳저곳에 광케이블이 깔려 있다고 한다. 광케이블을 만드는 재료로 인한 환경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바닷속에 있는 광케이블은 그 자체로도 문제가 된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다른 디지털 기기들을 사용한다면 방대한 데이터를 모아놓을 장소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 데이터 창고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넓은 부지만이 아니라 적절한 온도도 필요하다. 즉 뜨거움을 냉각시킬 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물 사용량이 어마어마하다. 세상에 우리가 쉽게 계산할 수 있는 1기가바이트를 예로 들자. 1기가 바이트면 영화 2시간짜리(아주 높은 고해상도의 영화는 2-3기가바이트지만, 우리가 볼 수 있는 정도의 영화해상도라면 1기가바이트면 2시간짜리 영화 한 편이 충분히 들어간다) 양이라고 하는데, 이에 필요한 물의 양이 10만 리터란다. 10만 리터? 감이 잘 안 온다. 어느 정도인가 했더니 대형 빗물 저장 탱크 1개에 맞먹는 양이란다.(310쪽. 부록5)
인터넷을 통해 영화 한 편을 보더라도 대형 빗물 저장 탱크 1개에 채워진 물을 쓰는 것인데, 이보다 용량이 큰 행위들을 한다면? 데이터 센터에 필요한 물의 양은 계산하기 힘들 정도로 엄청나다.
이 점들만 생각해도 디지털은 자체로 환경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대로 디지털 문명을 계속 추구해야 할까? 한다... 해저에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이유도, 돈이 되기 때문이다.
막대한 투자비용이 들지만, 투자비용을 회수하고도 남을 이익을 남길 수 있다. 게다가 소비자들의 심리가 조금이라도 느린 인터넷은 사용하지 않으려 한다. 5G로 넘어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이렇게 빠르고 편리한 디지털을 주로 어떻게 사용하는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 만들고 사용한다고 하지만, 그것으로 인해서 파괴되는 환경재해는 어떻게 막을 것인가?
저자는 이렇게 디지털의 보이지 않는 면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스마트함 속에 감춰진 문제들을 들춰내고 있다. 그럼에도 세상이 쉽게 변하지 않을 것임을 안다. 지금은 산업혁명 초기의 러다이트 운동처럼 할 수가 없다. 러다이트 운동도 실패하지 않았는가.
저자가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는 디지털을 인간들을 구하기 위해 세상에 온 메시아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는데, 현실은 이보다 훨씬 세속적임을, 디지털이 실제로는 우리를 본떠 만들어진 도구에 불과하다는 점을 합의에 의해서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기술은 더도 덜도 아니고 딱 우리가 하는 만큼만 친환경적이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우리가 식량 자원과 에너지 자원을 낭비하기 좋아한다면 디지털 기술은 우리의 이러한 경향을 한층 심화시킬 것이다. 반대로, 우리가 한계를 넘어 지속 가능한 지구를 생각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눈 깜짝할 사이에 지원자 군단을 모을 수 있을 것이다. 그때 그 도구는 우리의 일상적 솔선수범(그것이 고귀한 것이든 명예옵지 못한 것이든)에 불을 붙이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그것은 우리가 미래 세대에 물려줄 유산을 증대시킬 것이다." (301쪽)
이 말은 결국 디지털은 우리가 하기에 달려 있다는 말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디지털의 모습을 찾고, 그것을 이윤이 아니라 인간의 행복만이 아니라 이 우주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들과 공생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든 것이 디지털화되어 가는 세상. 과연 디지털을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사용해야 할지,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 그것도 한 나라에서가 아니라 전지구적으로 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이윤의 수단으로 디지털을 이용하고, 결국은 디지털로 인해서 우리들 삶이 종속될 수도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