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호다.
노숙인의 자활을 돕는 잡지가 300호까지 냈다. 앞으로도 그런 역할을 잘하리라 믿지만, 빅이슈가 다른 역할을 할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노숙인들이 모두 자활에 성공해서, 빅이슈가 이제는 그들이 판매해서 수익으로 살아가는 잡지가 아니라, 노숙인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읽으면서 즐길 수 있는 그런 잡지가 되기를...
편집자의 말에서 이 잡지에 실린 내용들이 어떨까 고민하기도 한다고 하는데, 노숙인을 돕는다는 취지가 사라져도 잡지 자체만으로 읽힐 수 있는 그런 잡지라는 생각을 한다.
내용이 알차다는, 그동안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분야에 대해서, 또 모르고 있던 분야, 그냥 지나쳤던 분야에 대해서 이 잡지를 통해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쪽에 고정되어 있던 내 삶의 경험을 이 잡지를 통해서 다양한 방면으로 넓힐 수 있어서 좋다고나 할까.
300호 표지를 둘리가 장식했다. 둘리도 우리에게 온 지 벌써 40년이라고 한다. 장년의 나이가 된 둘리. 그렇다면 고길동은? 할아버지가 되어 있어야 한다.
둘리 영화가 다시 상영이 된다고 하는데, 영화는 1996년에 개봉되었다고 하니 26여 년의 세월이 흘렀으니, 그때 아이였던 사람들이 이제는 중장년이 되어 둘리를 만나게 된다.
그때 가졌던 감정들을 되살리면서 새로운 감정을 지니게 될 수 있는 기회가 될텐데...이는 과거의 것들이 모두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게 한다.
사라진 것처럼 보였던 과거가 어느 순간 내 눈 앞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을, 그렇게 우리의 삶은 과거를 완전히 떠나지 못함을 생각하게 한다.
이번 호에서 다룬 내용 중에 이렇게 과거를 생각하게 하는 글들이 있었다. 사라진 것, 사라질 것들에 대한 생각들.
하지만 사라졌다고 우리 기억 속에서까지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것들은 여전히 기억에 남아 있다. 남아서 우리 삶을 풍성하게 한다. 그리고 언젠가는 다시 현재에 나타날 수도 있다.
그것이 바로 삶이므로.
빅이슈 300호 발간을 축하한다. 앞으로도 빅이슈가 굳건하게 살아남아 과거의 잡지가 되지 않고 미래를 현재에 가져오는 현재의 잡지로 우리에게 다가오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