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슐러 K. 르 귄의 말 - 상상의 세계를 쌓아 올리는 SF 거장의 글쓰기 ㅣ 마음산책의 '말' 시리즈
어슐러 K. 르 귄.데이비드 네이먼 지음, 이수현 옮김 / 마음산책 / 2022년 12월
평점 :
좋아하는 작가였다. 장르소설이라는 말을 거부했던 사람. 세상을 남성과 여성 또는 다른 성으로 구분하는 것을 거부했던 사람. 작가라는 소명 의식을 지니고, 세상을 작품 속에 끌어왔으며, 작품을 통해서 다른 세상을 보게 한 사람.
시도 썼다고 하는데, 시집은 읽어본 적이 없어서 이야기를 하지 못하지만, 시와 소설은 분명 다르니, 르 귄이 소설에서 했던 작업과 시에서 했던 작업은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을테다. 여기에 우리가 흔히 수필이라고 하는, 논픽션 글들도 썼으니, 오랜 세월에 걸쳐 다양한 글쓰기로 세상에 참여했던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재미있게, 생각하면서 읽은 작품들이 많다. 수필집도 그렇고, 소설도 그렇고. 이번에 나온 책은 르 귄의 마지막 글이라고 보면 된다. 글이라기보다는 말이라고 해야겠지. 글로 적힌 말들.
데이비드 네이먼이라는 사람이 질문을 하고 르 귄이 대답을 한 말들을 모아 놓은 책이다. 말년의 르 귄을 알 수 있는 책이기도 하지만, 이 책은 르 귄의 작품을 읽었다면 더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소설, 수필집을 읽었다면 그간 르 귄이 한 말들이 정리되어 있단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면서 다시 한번 르 귄의 생각을, 르 귄의 작품을 생각할 기회도 만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르 귄은 글에는 리듬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글은 말을 문자로 나타내지만, 문자로도 충분히 소리를 보여줄 수 있다. 낭독의 중요성. 그렇게 소리내어 읽으면서 소설이든 시든 리듬을 느껴야 한다고 하는 말. 수긍이 가는 말이다.
예전에 학교 교육에서는 학생들에게 시나 소설을 읽히는 경우가 많았다. 여러 학생들 앞에서 낭송하게 하는 활동. 그래서 글이 마음 속에만 머물지 않고 입을 통해서 밖으로 나오기도 했다. 이런 소리내어 읽기의 중요성.
읽기는 속에 담아두기 위해서 겉으로 드러내는 활동이 되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학교에서도 낭송을 잘하지 않는다고 한다.
아니, 르 귄도 비판하고 있지만, 낭송만이 아니라 학교에서 읽기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중고등학교에서 국어 시간이 주는 일이야 그렇다치더라도, 국어에서도 읽기가 축소되어 있다고 한다.
시나 소설의 분량이 줄어들고, 고전이라고 불리는 작품들은 이제는 구닥다리라는 소리를 들으며 퇴출되고 있는 현실이지 않은가.
이렇게 읽기가 줄어들면 자연스레 문학작품을 읽는 시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읽는 활동이 줄어들다 보니, 말(글)은 점점 줄어들고, 간략해지고, 긴 문장은 점점 사라지게 된다. 또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빈 공간보다는 시각적으로 상상력을 메워주는 영상이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상상은 공상이 아니다. 현실을 바라보게 하는 또다른 관점이다. 그런 점에서 시나 소설은 상상을 다루는 예술이다. 이런 상상을 통해서 사람들은 현실의 부조리를 극복할 수 있다. 시와 소설이 인간과 함께 해온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렇게 때문에 르 귄이 한 말,
'미국에서 상상력에 대한 두려움은 아주 뿌리가 깊어요. 갈수록 소설을 적게 읽히는 학교들만 봐도 드러나죠. 요새 학교에서 시를 읽기는 하는지도 모르겠고요.' (44쪽)
'독재자들은 언제나 시인들을 두려워하잖아요. 시인은 정치적인 존재가 아니라고 여기는 많은 미국인에게는 이상해 보이겠지만, 남아메리카나 다른 독재 치하의 나라에서는 사실 조금도 이상하지 않아요.'(83쪽)
이런 말을 떠나서 예술은 중요하다. 우리들의 삶을 위해서. 그리고 그런 예술에는 성의 구분이 있을 수가 없고, 장르의 구분이 있을 수가 없다.
편가르기를 하고 담장을 쌓아 서로 교류를 하지 않는 일들은 예술의 세계에서 일어나서는 안 된다. 그것은 상상력을 죽이는 행동이다.
르 귄의 마지막 대담집을 읽으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했다. 작품만큼이나 여러 생각을 하게 하는 르 귄의 말이었다.
이 책의 마지막에 실린 번역자가 르 귄과 주고받았다는 편지에 있던 한 내용... 세상에? 2008년에 주고받았던 내용이 지금 다시 읽으니, 이런! 이런! 한탄이 나오고 있으니...
그 말을 인용하면서 이 글을 맺는다. 이 글에 대한 감상은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우리 president(대통령)는 별명이 presi-ro-dent(rodent는 설치류)라는 말까지 써가면서. ... 르 귄의 답장 앞부분은 이렇게 시작한다.
여기에서는 당신의 나라에 대해 쓸 만한 소식을 얻기가 무척 힘들어요. 우리 신문은 외국 뉴스를 거의 싣지 않고, 아시아는 중국과 일본만 '존재'하죠. 한국에서도 (이전의 우리처럼) presirodent를 뽑았다니 유감스럽네요!' (1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