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 끝에서 만난 이야기 - 루이스 세풀베다 산문집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엄지영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루이스 세풀베다. 오래 전에 [연애 소설 읽는 노인]이라는 소설을 읽고 이 작가를 좋아하게 됐다. 이런 소설을 쓰는 작가라면 왠지 믿음이 간다고.
그런 세풀베다가 2020년에 다른 세상으로 떠났다고 한다. 사람이 죽음이라는 세계로 가는 일을 피할 수 없지만, 이런 작가들이 하나 둘 우리 곁을 떠나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세풀베다 역시 마찬가지다. 이 책는 세풀베다가 만났던 사람들, 그와 친분을 맺고 지냈던 사람들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모두들, 라틴아메리카의 민주화를 위해서 일했던 사람들이다. 세풀베다 역시 망명 생활을 오래했고.
그런 친구들이 하나둘 세상을 떠나 다른 세계로 간 일을 글을 통해서 추모하고 있다. 사람에 대한 추모, 그리고 그들과 함께 했던 시절을 잊지 않겠다는, 그들과 함께 추구했던 삶을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는 그런 의지가 나타는 글들이다.
무엇보다 이 책에는 [연애 소설 읽는 노인]과 관련된 글이 있다. '친구가 된 노인'이라는 글인데, 그 소설을 어떻게 쓰게 되었는지, 무엇으로부터 영감을 얻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소설에 관한 내용, 라틴아메리카 작가나 예술가들에 대한 내용도 있지만, 이 책 전체를 아우르는 내용은 라틴아메리카가 독재로부터 벗어나 사람들이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회에 대한 꿈이라고 할 수 있다.
세풀베다가 죽을 때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일이 바로 그것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그가 아옌데에 대해서, 네루다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다.
첫번째로 실린 글은 칠레에 온 세풀베다가 (그는 오랫동안 망명생활을 했다) 오래 전에 찍은 칠레 아이들의 사진을 보고, 그 사진 속 아이들을 찾아가는 내용이다. 그러면서 칠레의 현실이 과연 나아졌는가를 생각하게 하는데...
사진 속에 있던 아이 중에 한 아이는 세상을 떴고, 다른 아이들도 역시 희망을 잃고 있다. 이런 현실을 알리는 글을 세풀베다는 쓰려고 한다. 그것이 비록 힘겨운 일은 아닐지라도.
글 (아이들의 사진에 남겨진 빈자리:르포) 끝에서 세풀베다는 이 글을 쓴 이유를 말하고 있다.
'나는 이 글을 쓰기로 했다. 다 쓰고 나면 국제 시민 사회의 연대를 지향하는 어느 잡지에 실리게 될 것이고, 그러면 어린아이들의 순수함과 따뜻한 사랑이 넘쳐흐르는 세계를 있는 힘껏 지키고자 하는 전 세계 남자들과 여자들이 읽게 되리라' (63쪽)
이렇게 세풀베다는 암울한 현실에서, 미래가 보이지 않을 것 같은 현실에 좌절하지 않는다. 그는 그런 현실을 기록하고자 한다. 단지 기록에서 머물지 않고 발표하고자 않다. 잊지 않기 위해서, 용서하지 않기 위해서.
이런 자세를 지닌 작가가 있으면 세상은 결코 암흑세계에 머물 수가 없다. 그런 암흑 속에서도 빛을 발하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존재들로 인해, 암흑 세계를 만든 이들을 잊지 않게 된다. 또한 용서하지 않게 된다.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세풀베다의 이 책이 말하고 있는 것이 라틴아메리카에만 국한되지는 않을 테니까 말이다.
마지막으로 세풀베다의 좌우명을 인용한다. '잊지 말라, 용서하지도 말라.'(111쪽)
우리 역시 잊지 말아야 할 일, 용서하지 말아야 할 일이 있지 않은가 하고 되새기게 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