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전 독립선언 - 일본어사전을 베낀 국어사전 바로잡기
박일환 지음 / 섬앤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어사전을 베낀 국어사전 바로잡기'라는 작은 제목을 달고 있다. 토박이말, 외래어, 외국어가 국어사전에 실려 있는데, 그 말들을 많은 사람이 쓴다면 당연히 사전에 수록되어야 한다.


토박이말만으로 자기 나라 언어를 만들 수는 없으므로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말들이 널리 쓰인다면 그 말을 자기 나라 말로 삼을 수밖에 없다. 


사전이 사람들이 쓰는 말과 달리, 규범적인 말들만 실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즉, 사전은 언어생활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므로 외래어를 실었다고 문제를 삼지는 않는다.


다만, 외래어를 받아들였는데, 사전이 그 말의 출처를 밝히지 않으면 문제가 된다. 토박이말인지, 외래어인지 알 수가 없다. 사전이 말의 용례만이 아니라, 어원도 밝혀주면 언어를 더 넓고 깊에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저자는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지금까지 표준국어대사전을 비판하는 책을 여러 권 냈지만, 과연 사전 편찬자들이 그 책들을 읽었는지조차 의문이라고 한다.


한 나라를 대표하는 사전을 만드는 일은 중요하다. 어렵고도 두려운 일이다. 글자 하나하나에 신경을 써야 하고, 그 말의 역사를 알아야 하고, 그 말의 쓰임이 어떤지, 어떤 변화를 거쳐왔는지도 살펴야 한다.


많은 예산을 들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고, 오랜 시간 공을 들여야 한다. 그래야만 좋은 사전이 나올 수 있다.


당장은 효과가 보이지 않더라도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그리고 사전에 전념할 수 있는 사람들을 확보해야 한다. 


일제시대 조선어사전을 만들기 위해서 얼마나 어려운 일을 겪었는지는 '조선어학회 사건' 등을 통해서 알려져 있다. 그런 고초에도 불구하고 사전은 곧 나라를 대표한다고 생각했기에 많은 학자들이 사전 만들기에 참여했다.


그 결과 우리는 우리나라 국어사전을 갖게 되었고, 그 사전은 계속 보강되고 있다. 보강되어야 하는데, 예전만큼 사전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그러니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지적이 되는데도 고쳐지지 않고 있지.


특히 일제시대 그렇게 박해를 받으면서도 만들어내려 했던 사전이 일본어사전을 베낀 말들로 채워진다면, 그건 역사에 대한 거스름이고, 조상들에 대한 배신이다.


사전을 만들면서 특히 그 부분에 더 신경을 써야 했을텐데, 이 책을 보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어떻게 일본어사전 풀이를 거의 그대로 갖다 쓴 말들이 많은지...


또 일본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만, 지금 우리는 거의 쓰지 않는 말들이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는지, 게다가 일본말에서 온 말이 분명한데도 그것을 밝히지 않아 토박이말이라고 착각하게 하는 풀이도 있는지...


이 책을 읽으면 이렇게 사전을 홀대해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말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고 했는데, 그렇다고 저자는 외래어, 외국어를 무조건 배제하자고는 하지 않는다. 말이 산다는 말은 외래어, 외국어를 배제하자는 말이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쓰고, 이미 언중들에게 인식된 언어라면 그 뜻을 제대로 풀이하고, 그 말의 기원을 밝혀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쓰자는 말이다.


그래야 하는데, 쉽고 편하게 일본어사전에 있는 말들을 베껴쓰면 그것이 말이 죽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말을 살리는 길, 먼저 사전을 제대로 만드는 일에서 시작해야 한다. 사람들이 쓰는 말을 사전에 수록하고, 그 말의 뜻을 제대로 풀이하고, 쓰임과 기원을 밝혀주는 일을 사전이 해야 한다. 사전을 보면서 그 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면 말이 살 수가 있다.


저자의 비판을 트집잡기라고 해서는 안 된다. 좋은 국어사전이 나오기 위해서는 어떠한 비판도 받아들여야 한다. 검토해야 한다. 찾고 또 찾고, 검토하고 또 검토하고, 잘못되었다면 바로바로 고려야 좋은 사전이 된다.


그런 좋은 사전이 나오길 고대하는 저자의 고심이 이런 책을 계속 내게 하고 있다. 국어학자라면 적어도 이런 책은 찾아 읽어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국립국어원에서는 언어에 관한 책들을 검토하는 부서가 있는지 갑자기 궁금해졌다. 적어도 자신들의 연구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낸 책들을 통해서 우리나라 국어에 대해서 검토하고 정책을 마련하는 활동을 하는 곳이 국립국어원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