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므레모사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38
김초엽 지음 / 현대문학 / 2021년 12월
평점 :
한번에 죽 읽어가게 하는 소설. 박진감 있게, 결말을 기대하게, 그리고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결말로 치닫는 소설. 읽고나서도 무언가가 계속 응어리진 채 남아 있는 소설.
재미있게 읽었지만 감상을 쓰려고 하니, 무엇을 써야할지 모르는 소설.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잘 파악이 안 되는데, 작가의 말에서 '나는 이해의 실패로부터 발생하는 이야기들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그 실패의 결과를 파국으로 밀어붙인 시도였다' (201-202쪽)라는 말이 나온다.
그렇다면 이 소설은 이해의 실패로 인한 파국을 이야기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어야 하는데, 무엇에 대한 이해인가? 삶에 대한 이해. 각자 바람직한 삶에 대한 이해가 다르고, 그 이해를 상대방이 받아들이도록 하려는 데서 파국이 온다고 할 수 있다.
소설의 주인공은 두 사람으로부터 이해의 실패를 경험한다. 주인공 유안... 한때 유명한 무용수. 다리를 잃고 기계 의족을 단 사람. 자, 과거로 완전히 돌아갈 수 있을까?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으로 인해 많은 노력을 하고 다시 무용을 하게 된다. 이게 과연 유안이 바라던 삶일까?
유안은 그 사람(한나)의 기대대로 행동하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그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랫동안 속마음을 표현하지 못하다가, 결국 자신이 원하는 삶은 이렇게 남 앞에서 다시 예전처럼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하게 된다. 이 말이 나온 순간 둘의 관계는 끝나게 된다.
왜냐하면 서로가 생각하는 삶의 방식이 달랐고, 다른 삶의 방식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럴 때는 누구의 삶을 인정해야 하는가. 바로 우위에 있는 사람이 아닌, 약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의 삶을 받아들여야 한다. 우위에 있는 사람은 이미 자신의 삶을 살고 있고 상대의 삶을 그대로 인정해 주어도 자신의 삶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약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삶을 부인하고 상대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려 하면 그 순간부터 자신의 삶에 뒤틀리기 시작한다. 자신의 삶을 살기보다는 상대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수동적인 삶이 된다. 자신의 삶을 잃기 시작한다.
그러니 약자의 위치에 처한 사람의 삶을 자신 삶의 방식으로 끌어들이려는 행동은, 겉으로는 상대를 위한다고 하지만 결국 자신의 욕심일 뿐이다. 상대가 자신을 따라야 한다는.
소설은 이런 과거의 일이 앞부분과 뒷부분에 나온다. 그리고 현재에서 벌어지는 사건들. 이 현재에서도 유안은 또다른 이해의 파국을 맞는다. 자신을 같은 뜻을 지니고 같은 행동을 하리라고 믿는 레오와의 관계에서.
레오는 므레모사에서 하는 자신의 행동을 유안이 이해하고 함께 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레오에게는 므레모사에서 사람들을 구출하는 일이 혹은 자신들이 탈출해서 므레모사를 파괴하는 일이 당연한 일이다. 그런 삶은 그에게는 재앙에 불과하므로.
하지만 유안에게는 아니다. 유안에게는 그런 삶이, 어쩌면 움직이지 않고 붙박혀 살아가는 그런 삶이 바람직한 삶일지도 모른다. 레오는 상상도 하지 않던 그런 삶을 유안은 동경하고 있었던 것. 그렇다면 이들은 같은 사건을 보고도 서로 다르게 이해했다. 서로 다르게 이해했음에도 서로가 서로 삶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지 못한다.
이곳에서도 능동적으로 주도하는 사람은 레오다. 그리고 레오는 자신의 이해를 의심하지 않는다. 유안도 당연히 그러하리라 생각하고, 그렇게 행동한다. 즉, 유안이 처한 삶에 대해서 유안의 처지에서 고민하지 않는다. 그러니 그는 아무렇지도 않게 유안의 의족을 부러뜨리기도 하고, 유안에게 이렇게 행동해야 한다고 지시한다.
자, 여기서 어떤 이해가 있는가? 저 사람도 당연히 나와 같이 생각하고 나와 같이 행동하겠지라는 믿음만 있다. 그 믿음은 일방적이다. 그러니 이 지점에서 이해의 파국이 발생한다. 레오와 유안에게 벌어지는 파국이 바로 이것이다.
이렇게 소설은 이해의 실패로 끝난다. 그러나 유안은 자신의 삶을 찾았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소설을 읽다보면 과연 유안이 찾은 삶이 다른 삶과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움직이지 않는 삶이라고 하지만, 자신의 삶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다른 존재들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은 살아가기 위해선 움직임이 필요하다. 내 움직임이든, 다른 사람의 움직임이든, 또는 다른 존재의 움직임이든. 그러니 내가 움직이지 않고 살아가려면 다른 존재들을 움직이게 해야 한다.
어떻게? 이것이 바로 이 소설에 나오는 다른 사람을 조종할 수 있는 물질('커맨드'라고 레오가 말한다)이다. 즉 커맨드로 다른 사람을 조종해야 한다. 여기에는 이해는 없다. 일방적인 조종만이 있을 뿐이다. 유안이 선택한 삶에도 결국 이해는 없다. 유안은 자신이 정적으로 살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을 조종하는 삶을 선택할 뿐이다.
결국 이 소설에서는 세 가지 이해의 실패가 나온다. 과거에서 벌어지는 유안-한나의 이해 실패, 현재 므레모사에서 벌어지는 유안-레오의 이해 실패, 그리고 유안이 미래에 관계를 맺을 사람들 사이에서 벌어질 이해의 실패.
앞 두 부분의 이해 실패에서 유안은 수동적인 처지에 놓여 있다. 한나와 레오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세 번째 이해의 실패에서는 유안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이기는 하지만. 수동적이든, 주도적이든 모두 이해의 실패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흥미진진하게, 결말이 어떻게 될지 생각하면서 한 달음에 달린 소설인데... 읽고 나서 무언가 계속 마음 속에 남아 있다. 그 무언가가 바로 소설을 읽게 하는 힘이고, 또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힘일텐데... 무언가가 계속 무언가로 남아 있으니, 여전히 이해의 실패 속에서 헤매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