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어둡다. 암흑향이라니... 암흑이라면 캄캄함이고, 향이라는 한자어는 마을, 고향이라는 한자어니까, 제목을 풀어쓰면 캄캄한 마을 정도가 되겠다.
표지 디자인 역시 검은 테두리에 하얀 바탕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암흑이라고 해서 전부 까맣지는 않으니... 암흑은 빛을 예비하고, 빛은 다시 암흑을 예비하니...
우리가 알고 있는 빛들은 어둠 없이는 우리에게 올 수 없지 않은가. 빛이 더욱 아름다운 이유는 어둠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시 제목인 암흑향은 어두운 마을이라는 의미보다는, 이 어두움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우리들을 이야기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시집에 실린 시들이 하나같이 어려워서, 또 한자도 많아서, 그리고 고대신화(우리나라나 서양의)들이 맥락없이 (시인에게는 맥락이 있을지 몰라도 내게는 맥락이 없다. 단지 그러한 사건들, 사람들, 존재들, 이야기들을 뒤섞어놓은 듯한 느낌만 있을 뿐) 섞여 있어서, 시집 자체가 암흑향이다. 내겐 조연호 이 시집이 아주 어두운 마을에서 길을 잃지 않기 위해 더듬더듬 나아가야 하는, 한 줄기 빛을 애원하게 하는 그런 역할을 한다.
이 암흑향인 시집에서 어떤 빛을 찾을까? 찾으려고 노력하면 찾을 수 있을까? 이 시집에 유난히 적(聻)이라는 한자어 제목을 단 시가 네 번 나오는데, 이 '적(聻)'이라는 한자어는 부적이라는 뜻이다.
부적, 귀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지니고 있거나 집에 붙이거나 하는 물건 아닌가. 즉 부적을 지니고 있다는 말은 귀신과 재앙을 늘 의식하고 산다는 얘기다. 그러니 그런 세상에서는 귀신과 사람은 하나일 수밖에 없다.
시집 첫 시인 '적(聻)'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죽어 또 귀신이 된 너와 만나 즐거웠다' (9쪽)
그렇게 시는 귀신과 함께 하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그러면서 어둠이 빛과 함께 할 수밖에 없음을 같은 시에서 '더러운 얼굴로만 깨끗한 얼굴을 닦을 수 있다는 걸 거기서 배웠다'(9쪽)고 하고 있다.
조연호의 시는 독자에게 어떤 애교도 없다. '시'라는 시에서 그는 이렇게 쓰고 있다.
'시는 / 애교가 없어 불행하다'(12쪽)
이렇게 조연호 시는 애교가 없어 불행하다. 애교가 없는 시를 다른 말로 하면 독자들의 마음에 드는 시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즉 독자를 위해서 쓴 시가 아니라 시인이 쓸 수밖에 없는 시를 썼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니 시인은 자신의 마음 깊숙한 곳에서 또는 무의식 저변에서 흘러나오는 말들을 잡아 시라는 형식으로 표현해내고 있을 뿐이다. 그 시를 읽는 우리는 그 시에서 또다른 암흑을 느낄 뿐이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 보니, 어디 암흑향인 곳이 이 시집만이랴. 더 많은 암흑향들이 있고, 그럼에도 우리는 그 암흑향에서도 아주 작은 빛을 찾아 삶을 꾸려가고 있지 않은가. 그러면 되지 않겠는가.
이 시집을 읽으면서 '마크 로스코'의 그림이 떠올랐다. 특히 검은색 계열로 칠해진 그림들. 그 그림들에서 암흑향을 보는데, 마냥 암흑만은 아니라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