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이 바뀐다 교육이 바뀐다 함께 걷는 교육
교육의봄 외 17인 지음 / 우리학교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육과 채용이 상당히 멀리 있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라 학생들이 공부하는 이유가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인 경우가 많으니, 기업에서 채용하는 방식이 교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지금까지는 학벌 사회라고 해서 좋은 대학을 나오면 취업에 유리하고, 그렇기 때문에 좋은 대학에 가려고 아등바등 대는 경우가 많았는데, 학벌에 대한 중요도가 떨어지면 대학입시로 대변되는 교육이 바뀔 수가 있다.

 

아니, 바뀌어야 한다. 우리나라 거의 대부분 학생이 초, 중, 고를 입시를 위해서 공부를 한다는 사실은 학생들에게도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지만, 사회적으로도 낭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은 바뀌어야 한다. 그런데 교육이 쉽게 바뀌나? 교육 분야만큼 보수적인 곳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교육은 변화에 느리다. 사회가 다 변한 다음에 그것이 겨우 교육에 반영된다고 할 수 있는데.

 

노동자를 채용하는 기준이 많이 달라졌다고 한다. 아직 체감은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이미 IT기업에서는 학벌을 보지 않게 된 기간이 오래 되었으며, 외국인 기업들에게는 우리나라 대학 서열이 그리 의미가 없다는 사실, 공기업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으로 인해 블라인드 채용이 대세가 되고 있고, 금융권에서도 블라인드 채용이 늘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대기업에서도 아직까지는 학벌을 완전히 버리지는 못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블라인드 채용과 비슷하게, 학벌보다는 능력을 중심으로 뽑기 시작했다고 한다. 결국 지금 채용이 되기 위해서는 학벌보다는 능력이, 직무 능력이 우선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사실을 여러 통계 자료와 그 기업에서 채용을 담당했던 사람들, 또 채용과 관련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토론 내용을 담고 있다.

 

그래서 지금 우리 사회의 채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그것을 교육이 어떻게 반영해야 학생들이 추세를 따라갈 수 있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이 책의 뒷부분에서 이러한 채용의 변화를 잘 정리해주고 있어서, 그 부분을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

 

  미래 사회 핵심 역량 중 첫 번째는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 즉 자립심이고 두 번째는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세 번째는 이질적인 집단에서 소통하는 능력입니다. 그런데 이 세 역량을 길러내는 데 있어 한국 교육과 가정이 매우 인색합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스펙은 화려하지만 학원과 부모에게 의존하는 사람들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지식을 통해 문제를 풀어가는 창의적인 존재보다는 주어진 질문에 대한 정답을 찾기 위해 암기하는 교육에 열중하고 있고, 성적이 비슷하고 집안 경제 수준도 비슷한 동질 집단에서 공부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러다보니 이질적인 집단 속에서 길러지는 소통 능력을 키울 기회가 없습니다. (359-360쪽)

 

자, 이런 추세에서 지금 교육대로 계속 나아간다면, 우리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에서 과연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적응하기 힘들 것이다. 그러니 교육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한다. 교육은 과거의 지식을 배우는 것에서 그쳐서는 안 된다. 교육은 현재에서 과거와 미래를 잇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데 누가? 이 책의 정리 부분에서 하는 이 말이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미래를 살아가도록 해야 할 부모와 교사들이 어쩌면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아이들에게 역량을 교육하는 실천과 입시제도를 도입하고 주장하고 외쳐야 할 사람은 누구입니까? 아이들을 지켜야 할 부모이고 교사입니다. 입시제도를 고치는 힘은 정부와 정치인에게 있는 것 같지만 그들도 유권자들이 움직인 만큼만 움직입니다. (372쪽)

 

자, 입시제도를 정부에서 고쳐주기만 바라고 손을 놓고 있는 부모와 교사들은 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부모가, 교사가 먼저 주장해야 한다. 지금 이대로 교육제도를 유지하면 아이들에게 미래는 없다고. 반드시 지금, 고쳐야 한다고. 직장에서 채용하는 방법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고.

 

그럼에도 지금 우리나라는 백신 접종을 안 하면 학원에 등원하지 못하게 한다고 난리다. 학원이 무엇인가? 입시에 최적화된 학습기관 아닌가. 부모들은 자녀들이 학원에 다니지 않으면 불안해 한다. 너도 나도 학원에 보낸다. 이런 부모들에게 백신 접종을 하지 않으면 학원에 갈 수 없다고 하면, 백신 접종은 부모들에게 의무가 된다. 꼭 해야만 하는.

 

그러니 개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학원에 보내려면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고 부글부글한다. 국민청원도 한다고 한다. 이렇게 하면서도 입시제도에 의해 아이들이 시들어가는 일에는 눈감고 있다. 모르쇠로 일관한다. 이 책을 쓴 사람들, 단체, '교육의 봄'에서 시도하고 있는 일에 귀 기울여야 한다.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이미 변해 있는 사회를 이들이 제시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 제목을 이렇게 바꿔 이해해야 한다. '채용이 바뀐다 교육이 바뀐다'에서 '교육이 바뀌어야 채용이 된다'고. 학생들이 청년들이 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육을 바꾸어야 한다고. 꼭 취업이 아니더라도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고. 학생들, 청년들도 자신들의 교육을 바꿀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부모와 교사들이 나서야 한다.

 

덧글

 

출판사 책 응모에 당첨되어 책을 받아 쓰게 된 글. 채용이 이렇게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교육이 정말로 많이 뒤처져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 책.

 

#채용이 바뀐다 교육이 바뀐다

#우리학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