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라는 작은 제목을 달고 있다. "탄소 사회의 종말'이라고 제목을 달았는데, 이것은 저자의 바람이라고 할 수 있다.
탄소 사회가 지속되면 기후위기가 더 심해지고, 그 결과 인류가 살아갈 수 없는 지구가 될 가능성이 많다. 인류가 살 수 없는 지구에서 어떻게 인권이 이루어지겠는가?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인권의 기반이라면, 살아갈 수 없는 사회로 변해가게 하는 것은 인권 침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기후위기는 인권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또한 팬데믹도 마찬가지다. 팬데믹은 전지구적으로 일어나지만, 그 위험은 개인적으로 감내할 수밖에 없다. 사회적 빈곤층일수록 팬데믹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으니, 팬데믹 또한 인권 침해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기후위기를 환경문제로만 보고 인권의 문제로 보지 않았던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는 기후위기와 인권을 연결하여, 기후위기, 팬데믹을 인권의 문제로 보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에 더해 이러한 문제들은 인권의 문제로 보아야만 한다고 한다.
왜 인권의 문제로 보아야 하는가? 인권으로 접근하면 강제성을 띨 수 있다고 한다. 국가가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일이 아니라 인권 보호 차원에서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 된다고 한다. 그러니 기후위기나 팬데믹을 인권으로 접근하면 사회의 변화에 어떤 책무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책은 이렇게 탄소 사회로 인해 일어난 기후 위기, 팬데믹을 인권의 문제로 보아야 함을 여러 근거들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우리 역시 인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몸으로 느끼고 있지 않은가.
이 책은 그런 점에서 의미가 있는데, 지금 이대로 가다가는 인류가 살아가기 힘든 지구로 되어갈 거라는 위기의식이 있다.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서도, 또 인류만이 아니라 지구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존재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도 탄소 사회는 종말을 기해야 하고, 기후 위기에 전지구적으로 대처하면서 개인적인 실천도 해야 한다고 한다.
결과 중심주의 운동만이 아니라 원칙을 이해하고 관철시키려는 운동도 필요하다고 하는데, 인권은 결과도 결과지만 원칙에 있어서 철저하기 때문에 환경과 인권이 결합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결국 환경은 인권이다. 또한 인권에는 사회적 책임도 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만이 살아가는 사회를 추구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인권은 수평적이자 수직적이기 때문에, 공간과 시간이 아우러져야 한다.
전지구적으로, 그리고 과거-현재-미래가 한데 어우러지게 해야 한다고 한다. 이것이 인권의 관점에서 본 탄소 사회의 종말이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 탄소 사회의 종말, 아니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서 해야 할 여섯 가지 제안을 하고 있는데, 전환을 위한 관점 세우기, 언론-미디어의 역할, 사회적 동력, 젠더 주류화, 인권담론, 민주주의의 재발견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 우리는 코로나19만이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후위기를 몸소 겪고 있다. 이론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실제 우리 삶에 이미 기후위기가 닥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미래로 미뤄서는 안 된다. 이 기후위기는 미래세대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현세대가 해결해야 할 문제다. 인권으로 기후위기에 접근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저자의 제언, 곰곰 생각하고 실천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도 살고 미래 세대로 살 수 있다. 기후위기를 바로잡는 행동, 더이상 미뤄둘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