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사의 시선
김태현 지음 / 교육과실천 / 2020년 10월
평점 :
아마도 우리나라에서는 교사만큼 애증의 대상이 되는 직업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교육에 관해서는 전국민이 전문가를 자처한다고도 할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교육에 종사하는 교사는 누구에게도 욕을 먹을 수 있는 집단이고, 또 누구에게도 칭찬을 들을 수 있는 집단이다. 최근에는 칭찬보다는 욕을 많이 먹고 있기는 하지만.
교사들에게 많은 비난이 쏟아지는데 그 중 많은 비난은 터무니없는 것들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아무리 터무니없는 비난이라도 비난을 받는 당사자에게는 커다란 상처가 된다.
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교사들이 큰 상처를 받고 힘들어한다면, 그 여파는 학생들에게 고스란히 갈 수밖에 없다. 사방에서 비난을 당하는 교사들이 어떻게 자존감을 갖고 자신만의 교육을 행할 수 있단 말인가. 그래서 정말 자기 자식을 생각한다면 교사에 대한 비난은 삼가해야 한다. 물론 비난은 삼가해야 하지만 비판까지 삼가해서는 안된다.
도식적으로 이야기하면 비난은 상대를 깎아내릴 목적으로 하는 말이고, 비판은 상대가 더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하는 말이라고 한다면, 우리가 말 속에 들어있는 감정을 느끼는 존재이기 때문에, 교사들을 비판한다고 누가 뭐라고 하지 않는다.
그것은 서로가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이고, 이런 비판은 서로의 관계를 더욱 좋은 쪽으로 만들어가려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에서 교사들에게 가해지는 말들을 비판으로 봐야 할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에도 나오지만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교사들은 놀면서도 돈을 받는 신이 내린 직업이라는 소리도 들었다. 또 원격 수업 대충하고 시간만 때우는 직업이라는 소리도 들었다. 그리고 교육에 관한 정책들을 교육부나 교육청을 통해서 알게 되지 않고, 언론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교사들보다 다른 사람들이 학교 운영이 어떻게 될지를 먼저 알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저자가 말한 대로 학교에서 교사들은 먼저 움직이려 하지 않으려 하겠다. 어떻게 될지 예측을 할 수 없는데 어떻게 계획을 짜고 준비를 하겠는가.
그럼에도 이상하게 교사들은 교육부에서, 또 교육청에서 시키는 대로 잘해낸다. 잘해냈다. 우리나라가 짧은 시간에 전국의 학교들이 원격 수업을 하는데도 멈춤 없이 운영이 된 데에는 교사들의 능력이 한몫했다고 할 수 있다.
분명 이렇게 능력있는 교사들인데, 자기들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오히려 위축된 생활을 한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관리자들과 학생들에게 치이고, 밖에서는 학부모들과 교육관료들에게 치이는 상황.
그냥 시키는 일만 하겠다는 교사들, 너무 앞서 나가지 않겠다는 교사들. 내 할 일만 하고 나머지는 안 하겠다는 교사들에게 저자는 아니라고, 교사는 가능성이 있다고, 잠재력이 있다고, 충분히 우수한 능력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자신의 경험을 섞어 가면서, 그림과 시를 곁들이면서 이렇게 교사들을 다독이고, 거기서 한발 더 나아가 교사들이 주체적인 교육자로 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책이다.
여섯 개의 낱말로 글을 이끌어간다. 시선(보기), 심미안(느끼기), 메시지(생각하기), 커뮤니티(관계맺기), 콘텐츠(표현하기), 디자인(상상하기)가 그 낱말들이다.
그러면서 교사들이 교육의 전문가로 대우받아야 하며, 교육정책도 관료들과 대학교수들만이 좌지우지하지 않고 교사들이 함께 참여해야 제대로 된 교육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이 여섯 단어들에서 제시한 그런 활동들을 하면 된다.
아니, 이 책에 제시된 활동들을 해도 좋지만, 자신에게 맞는 활동들을 찾아 하라고 권한다. 교사들 개개인이 모두 하나의 학교이기 때문에 자부심을 지니고 자신의 교육활동을 주체적으로 하라고, 그리고 함께 하자고 하고 있다.
많은 실천들을 그냥 묵히지 말고 공개하고, 그때그때로만 여기지 말고 모으고 정리하고 공유하는 활동들을 하고, 그런 활동들을 여럿이 함께 하면 힘도 덜 들고 좋은 성과도 거둘 수 있다고 한다.
그렇게 교직 생활을 하다보면 비난보다는 비판이 많아질 테고, 비판은 교육을 더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갈 테니, 그런 비판으로 교사들이 위축되어 움츠러드는 일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글을 읽으면서 이 글이 꼭 교사들에게 해당할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물론 교사들이 읽으면 좋다. 마음을 다독거리면서 더 나은 교육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을테니까. 그런데 여기서 교사라는 말을 빼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넣어도 된다.
그렇게 자기 일에서 이 여섯 낱말을 명심하고 나아간다면 훨씬 좋은 성과를 얻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그러니 책 표지에 있는 '교사의 눈으로 나 자신과 교육과 세상을 깊이 들여다보기'라는 글이 있지 싶다.
적어도 이 책은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교사들은 왜 교사인지를 생각하게 해주고 있으니, 법조인의 눈, 자본가의 눈, 경찰의 눈, 정치가의 눈이 아닌 교사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면 우리가 왜 살아가는지,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하게 된다.
그 다음 그런 질문이 실현되는 과정으로서의 사회를 만들어가려 노력해야 하니, 교사의 눈은 코로나19로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지금, 우리가 지녀야 할 눈(시선)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