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른 게 아니라 틀린 겁니다 - 괄호 안의 불의와 싸우는 법
위근우 지음 / 시대의창 / 2019년 5월
평점 :
흔히 틀린 게 아니라 다르다고 이야기한다.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고.. 옳은 말이다.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다름을 인정하지 않아서 소수자 문제가 생기고, 차별이 생긴다.
그러나 거꾸로 생각해 보면 틀림을 인정하지 않아서 소수자 문제가 생기고, 차별이 생기기도 한다. 아니, 차별은 다름을 인정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틀림을 받아들이지 않아서 생기는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틀림을 다름으로 치환하며 살지 않았나 하는 반성, 다름으로 치환하면 다양성이라는 명목으로 틀린 견해도 다른 견해로 여기며 수용해야 한다고 하지 않았나 하는 반성을 한다.
물론 내 견해가 틀렸을 수도 있다. 틀린 내 견해를 다른 견해로 받아들여 달라고 하지 않았나 하는 반성도 하게 만든 책이다. 뜨끔하다고 해야 할까... 그만큼 이 책은 신랄하다. 신랄한 만큼 반발도 많을 수 있다.
그게 이 책이 의도한 바이기도 할 것이다. 반발이 있어야 재반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런 반발도 없이 넘어가는 것, 토론이 되지 않는다. 토론이 되지 않으면 그게 문제인지 제기가 되지 않는 것이다.
문제인데, 문제로 제기되지 않고 얼렁뚱땅 넘어가는 것. 그것이 바로 틀림을 다름으로 치환하는 잘못을 저지르는 일일 것이다.
저자인 위근우는 이렇게 말한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우리가 무언가에 대한 공통의 합의에 이르기 위해선 더 가차 없이 나의 '옳음'의 근거를 확보하고 상대의 '틀림'을 논박하는 논의 과정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소통적 태도란 나도 옳고 너도 옳다는 식의 태도가 아니다. 서로의 의견 차를 '다름'이라는 말로 쉽게 인정한다면 우리는 서로 옳고 그름을 합의할 최소한의 근거를 아예 잃어버린다. 이것은 절대적이거나 초월적인 관점이다. 관대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교조적이다. 우리는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 오히려 격렬한 논의 안에 뛰어들어 수많은 목소리와 경쟁해야 한다. 그 불편한 과정을 회피한 채 서둘러 절충안을 찾고 합의하려는 것, 그것이 강요된 화해다. 그리고 이러한 화해는 매우 높은 확률로 사회적 통념의 편에 선다. (7쪽)
어쩌면 학교 다닐 때 배웠던 황희의 일화를 우리의 삶에 주욱 실천하고 살았는지도 모른다. 네 말도 맞다. 네 말도 맞다. 허허... 이런... 그러니 모두 맞다고. 판단을 하지 말라고. 그건 아니다. 분명 옳고 그름은 있다.
자신의 옳음을 주장하는 것, 상대의 옳음을 듣는 것. 그래서 옳고 그름을 따져보는 것. 절충이 아니라 옳음을 향해 나아가는 것. 그것이 바로 토론이다. 그리고 이런 토론을 통해서 사회는 발전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름은 옳고 그름의 다름이 아니라 상대와 내가 같지 않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가 다름이고, 그것은 상대의 견해가 옳고 그른지와는 관계가 없다. 우리는 상대를 다른 존재로, 상대의 다양성을 인정해야 하지만, 견해가 틀렸을 때도 다르다고 해서는 안된다.
이 책에 나오는 것 중 명심해야 할 것이 있다. 과격하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말. 왜 과격해졌을까? 권력을 쥔 자들이 할 수 있는 절차나 방법을 통해서는 자신들의 주장을 알릴 길이 없기 때문에, 관철시키는 것이 아니라 알리는 것조차도 할 수 없기 때문에 택할 수밖에 없는 방법이 과격함인데 그것을 가지고 반대한다? 그건 결국 그들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
약자들의 주장하는 방식이 과격하다고 해서 그 방식이 틀린 것이 아니라, 바로 그들의 그 과격한 방식을 다르다고 인정해야 한다. 우리는 반대로 생각한다. 그들의 주장이 옳을지라도 과격한 방법은 틀린 거라고. 그건 강자의 논리일 뿐이다. 그리고 그 논리는 다름이 아니라 틀림이라고 한다.
격쟁이라는 말이 생각났다. 자신의 억울함을 직접 호소하는 일. 그러나 격쟁에도 처벌이 따랐다고 한다. 격쟁의 옳고 그름을 따지기 전에 그 행위 자체에 벌을 준 것. 과격함을 잘못됨으로 판단하는 것이지만, 적어도 그 내용의 옳고 그름을 판단했다고 한다. 그때도 그랬는데, 현대에 와서 과격함만으로 주장의 옳고 그름을 묻어버리려 하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것이다.
그래서 위근우는 꾸준히 자신이 그르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서 글을 쓴다. 다른 사람에게 알린다. 토론하자고 한다. 자, 나는 이렇게 불편하다. 이 불편한 상황을 견딜 수가 없다. 불편한 것은 그것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그릇된 것이기 때문에 고쳐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에게 반박하라고, 그래서 토론을 하자고. 공론의 장을 만들자고.
글쓰기의 실천적 힘은 독립적으로 발휘되는 것이 아니라 공적 논의의 맥락 위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논의가 질적으로 풍부해지고 치열해질수록, 세계에 대한 유의미한 쟁점들이 가시화되며 합의를 위한 공통의 토대가 조금씩 만들어진다. 세계에 대한 진지한 고민들이 공론장 안에서 충분히 성숙해가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획기적인 발상 역시 등장할 수 있다. 그 배경에는 천재적이진 않지만 성실한 글쓰기로 논의를 멈추지 않는 이들이 있다. 나는 그곳의 일원이고 싶다. (9쪽)
그의 바람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아직은 그의 바람대로 되지 않고 있기에. 권력 있는 자들은 그름을 다름으로 포장하야 논쟁을 하지 않고 그냥 인정하라고 한다. 그렇게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유야무야 논쟁을 없앤다.
이제는 다름이라는 이름으로,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적어도 옳고 그름을 가려야 하는 일에는 모두가 자신의 주장을 명확하게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발전할 수 있다. 그냥 좋은 게 좋은 거라고 넘어가서는 안 된다.
이 책에 참 많은 사례들이 나와 있는데, 그 사례들에 대한 위근우의 주장을 읽고 그 근거들의 타당성을 판단하며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나가는 것이 좋을 거라는 생각을 한다. 이 책은 자신의 주장을 공론장으로 끌어내려고 하고 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