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에서 만난 역사 창비청소년문고 16
김대현.신지영 지음 / 창비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역사를 바꾼 재판들이 있다. 그 재판을 통해 구시대에서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게 되는 계기가 된 사건들이 있는데... 반대로 구시대가 너무도 강고해 새로운 시대가 재판이라는 틀을 통해 거꾸러지는 모습을 보이는 사건들도 있고.

 

유명한 재판, 중요한 재판들을 보면 역사를 알 수가 있다. 역사를 공부하는 재미도 있고. 이 책은 이러한 재판을 통하여 역사의 흐름을 짚어주고 있다.

 

중세부터 시작하는데, 중세를 발칵 뒤집어 놓는 사건, 그것은 바로 지동설이다. 한 시대를 다른 시대의 사고로 넘어가게 만드는 전환, 우리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한다.

 

이미 다른 사고가 생겼고, 그것이 대세로 자리를 잡아가는 전환이 되는 것이다. 중세에서 코페르니쿠스에 의해 지동설이 확고하게 자리잡게 되는데, 이런 지동설을 주장하다가 화형을 당한 사람이 있다.

 

재판에서 사형을 집행하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중세에는 주로 거열형이나 화형이 주된 사형방법이었다니, 사형 방법 변천사도 인권의 발전과 더불어 함께 한다는 것도 알게 된다. 주장이 다르다고 화형에 처하는 시대. 야만의 시대라고 해야 한다. 그것도 신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인간 중심이 아닌 신 중심, 그런 신에게 도전하는 인간은 용납되지 못하던 시대에 감히 지구가 중심이 아니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던 사람, 조르다노 부르노. 이 사람으로부터 이 책은 시작한다. 지금은 지동설을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처음에 지동설을 주장했던 사람들은 이단으로 몰려 종교 재판을 받아야 했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는 말로 유명해진 갈릴레이도 종교 재판에서는 자기 주장을 부인하지 않았던가. 죽음에 맞서 자기 주장을 굽히지 않았던 브루노는 그래서 더 중요하다. 비록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에 가려 잊혀져 가고 있는 사람이지만 그는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임에는 틀림없다.

 

이렇게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넘어갈 때 권력을 쥔 자들이 나오는데 이들이 바로 절대군주다. 유럽에 나타나는 절대군주들. 이들 역시 재판을 통해 역사의 흐름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신의 몰락, 그리고 절대군주의 몰락은 민권이 신장됨을 보여준다. 소수 권력자들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국민들이 중심이 되는 사회로 전환되는 것을 왕에 대한 재판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찰스1세, 루이16세, 니콜라이2세 등의 몰락은 절대왕정의 몰락을 의미하고, 주권에 대한 개념이 변해가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이 사이에 여성이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인정받게 하는 재판이 하나 있다. '올랭프 드 주구'라는 여성. 프랑스 혁명 당시 여자도 남자와 같은 권리를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여인. 결국 단두대에서 처형당한 여인.

 

단두대에 오를 권리가 여성에게 있다면 자유 발언을 할 권리 또한 있다는 이 여성에 대한 재판은 여성의 권리가 한참을 지나야만 획득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국민국가 시대, 민족 개념이 형성되고 각 국가끼리 경쟁을 하던 시대로 접어들면 전쟁이 끊이지 않는다. 전쟁은 내부를 단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반대로 내부 경쟁자를 제거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프랑스에서 '드레퓌스 사건'이 일어나고, 2차 대전때는 숄 남매의 저항이, 그리고 전쟁이 끝나고 나서 냉전체제에서는 찰리 채플린이 탄압을 받는 그런 상황.

 

여기에 체 게바라와 아히히만 재판까지 현대사를 아우르는 재판들이 나온다. 때로는 공개 재판으로 때로는 비밀 재판으로 이루어진 이런 법정의 역사를 통해서 세계사의 흐름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 아닌가. 재판을 통해서 우리 현대사를 읽어갈 수 있지 않나? 찰리 채플린 이야기에서 극단적인 반공주의 매카시즘을 읽어낸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조봉암 재판, 통혁당 재판, 인혁당 재건위 사건 재판' 등을 통해서 극단적 반공주의를 읽어낼 수가 있다.

 

여기에 '박근혜 탄핵'이라는 재판을 통해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어떻게 성숙되어 가는지를 살펴볼 수도 있으니, 법정은 단지 재판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역사를 우리에게 보여주는 역할도 한다.

 

역사를 학자들만이 공부하는 것으로 치부하지 않고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 바로 역사임을 깨닫게 해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법정에서 만난 역사], 그런 재판 기록들을 보면서 구시대에서 새로운 시대로 넘어갈 때 재판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지, 힘과 힘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앞을 보는 능력을 키워야 함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