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탐루
김선주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5년 5월
평점 :
기구한 운명이다. 남북이 갈라져 있어서 그 비극을 온몸으로, 아니 온 가족이 겪어야 했다. 가장이 탄압을 받으면 어려움은 가장에게서 끝나지 않는다. 어려움은 온 가족으로 번져 나간다.
이런 표현이 좀 그렇지만, 당시에 남자는 가장으로서 가족 생계를 책임지고 있었다. 가족 생계를 책임진 가장이 구속이 되면 아내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러 노동 현장으로 나가야 한다. 그러면 아이들을 돌볼 사람이 없게 된다. 가족의 생활이 아니라 생계가 문제가 된다.
이래저래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지금은 이런 '가장'이라는 말이 많이 사라졌다고 하지만, 가족 중에 누군가가 구속이 되면 다른 가족들이 고통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엄혹했던 시절에는 더 말할 것도 없다. 가장이 간첩이라는 죄목으로 구속이 되면 가정은 파탄나고 만다. 이웃에게서 멀어지고 알던 사람들도 떨어져 나가며, 아이들은 학교에서 기를 펴지 못하고 살고, 심지어는 아내나 자식들이 직장에서 해고되는 경우도 있다.
완전히 파탄난 가정, 그럼에도 자신이 추구하는 것을 포기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있다. 지금 우리나라가 이 정도 민주화 된 것,, 남북관계가 평화 관계로 가고 있는 것은 그들의 그런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남북 문제가 잘 풀려가다가 탁 장애물에 부딪혔다. 예전 같으면 그 장애물이 결정적으로 작용해 다시 남북관계가 얼어붙었겠지만, 이상하게도 요즘은 그런 생각은 잘 들지 않는다.
장애물을 남북이 힘을 합쳐 넘을 수 있다는 생각. 분단된 지가 70년이 넘었는데, 그동안 수많은 협상을 했는데, 통일을 위해서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했고 희생도 했는데, 잘 나가던 길에 툭 떨어진 장애물, 이 장애물이 통일로, 평화로 가는 길을 이제는 막지 못하리란 생각을 한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통일의 길, 평화의 길을 힘들게 닦아놓았는데, 그들이 걸어가면서 얼마나 많은 장애물들에 걸렸었는데, 그 장애물들을 하나하나 치우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렸는데...
그런 노력들이 배신하지 않을 거란 믿음이 있다. 그리고 그 통일의 길, 평화의 길을 닦은 사람 중에 한 사람, 김낙중이 있다.
김낙중에 대해서는 '굽이치는 임진강'으로 먼저 알았다. 그 다음에 신문에 난 기사에 '간첩'으로, 그것도 무려 30여 년이 넘게 국내에서 학원가에 침투해 암약한 간첩이라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있고, '굽이치는 임진강'을 바탕으로 최두석 시인이 쓴 '임진강'이라는 시를 읽었다.
이 정도면 김낙중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김낙중의 딸이 쓴 '탐루'라는 책을 읽으니 새로운 모습을 알게 된다.
딸이 본 아버지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우리가 위인전기를 읽으면 마냥 존경스러운 그런 행동들과 말들이 나오는데, 이 책은 그렇지 않다. 한 가족사를 쓰고 있기에, 주인공이 꼭 김낙중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 주인공은 두 명이라고 해야 한다. 김낙중과 부인인 김남기.
어쩌면 딸이 쓴 이 책에서 진정한 주인공은 부인인 '김남기'일지도 모른다. 통일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남편때문에 겪어야 했던 고초들을 받아들이고 지금까지 지내온 그의 삶 자체가 바로 통일, 평화의 삶이라는 생각이 든다.
영웅적인 모습으로만 나오지 않는다. 이 책은 딸이 썼기에 아버지와 어머니를 미화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이 책은 우리나라 현대사를 거쳐오면서 겪었던 갈등, 어려움 등을 어머니의 일기를 토대로, 또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기록하고 있기에 험난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6.25전쟁을 상반되게 겪은 사람, 김낙중은 평화주의자가 되는 계기가 6.25였다면, 김남기는 6.25를 통해 반공 사상을 지니게 된다. 그런 두 사람이 만나고 결혼하고 어려움을 겪어나가는 과정이 이 책에 잘 나와 있다. 소위 위대한 사람이 아니라 우리와 똑같이 울고 웃는 평범한 사람, 그런 사람의 모습이.
소위 출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신념을 위해서 구도자처럼 평생을 살아온 김낙중, 그리고 그런 남편으로 인해 현대사의 어려움을 온몸으로 겪은 김남기.
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그들의 삶이 분단이라는 현실에서 통일과 평화로 가기 위한 길이 얼마나 험난했었는지를 이 책은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제 이들이 걸었던 길이 조금은 넓어지고 평탄해졌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꽃길'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남과 북이 걸어야 할 길은 아직도 험한 '돌길'이다. 가끔은 돌부리에 발이 걸려 넘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넘어진다고 거기서 멈추지는 않을 것이다. 이미 김낙중처럼 이런 돌길, 가시밭길을 걸어간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발자국을 남겨놓았기 때문이다. 그 발자국들이 선명하게 남아 있는데, 한두 번 넘어졌다고, 또 자꾸 넘어진다고 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자꾸 자꾸 걸어가야 한다. 루쉰의 유명한 말이 있지 않은가.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땅 위의 길과 같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이미 남북 분단의 길을 통일, 평화의 길로 만들려고 걸어가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제는 좀더 많은 사람들이 걸어갈 것이다. 그러니 가끔 발에 걸리는 돌부리들은 치우며 가면 된다.
김낙중은 커다란 돌부리에 걸리기도 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4차례나 간첩혐의로 잡혀들어갔지만 결코 멈추지 않았다. 지금도 그는 그 길을 가려한다. 그렇게 한 사람들, 그들을 따라 더 많은 사람이 걸어가면 평화, 통일의 길은 평탄해지고 넓어진다.
분단된 나라에서 평화, 통일의 길을 가려던 사람, 그 길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았던 사람 김낙중, 그리고 그런 그와 함께 평생을 울고 웃으며 함께 한 김남기, 그들의 삶 속에서 희망을 본다. 길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