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년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한다. 이것으로 로마 제국 내에서 자행되던 기독교 박해는 종지부를 찍는다.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이 선택한 기독교에 배타성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통치를 강화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 기독교를 통한 로마제국의 통합을 위해 이교도들의 영웅을 앞잡이로 내세운다. 종종 이루어졌던 황제의 어느 연설에서 에리트리아의 여자 예언가(아폴로 신을 섬긴) 헤로필레의 시를 빌어 그들에게 자신의 영감을 전한다. 그 시구의 첫 글자를 나열하여 문장을 만들었고, 그것은 명백하게 그리스도의 강림을 의미하는 유희시였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시를 낭독한다. 그리고 이 무녀 헤로필레는 여자 예언자로서 기독교인들의 선조로 받아들여졌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론』에서 그녀를 복자의 반열에 올려놓기까지 했다. 12세기 말경 랑 성당의 건축가들은 정면에 에리트리아 여자 예언자를 조각했는데, 그녀의 발아래에는 경외 성서 시의 둘째 행이 새겨 있다. 그리고 4백년이 더 지나 미켈란젤로도 구약에 등장하는 4명의 예언자를 완성케 하는 4명의 다른 여자 예언자 중 한 사람으로 그녀를 시스틴 성당의 천장에 올려놓기까지 했다.
콘스탄티누스는 베르길리우스 또한 구세주의 영감을 받은 시인으로 선언한다. 남자아기의 탄생에 빗대어 황금시대의 도래를 노래한 그의 목가를 새롭게 해석한다. 그리고 베르길리우스가 자신의 저서에서 언급한 이교도의 신들에 대한 내용은 조용히 눈감아 버리고, 그 의도는 로마당국을 속이기 위한 것이었다는 식의 주장을 펼친다.
외경을 제외시키고 오직 성서만을 주장했던 종교개혁의 이유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성서의 자의적 해석과 예언행위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 이전에 베르길리우스의 시구는 예언을 위해 운명의 여신에게 봉납된 사원에서 사용되었다. 콘스탄티누스 이후 역시 베르길리우스의 책은 성서와 함께 예언을 위해 인용되었다. 예언놀이는 16세기 라블레의 『팡타그뤼엘』, 17세기 영국 찰스 1세의 일화, 18세기 작품 『로빈슨 크루소』에서도 나타난다. 콘스탄티누스의 베르길리우스에 대한 공식찬가가 있은 후 10세기가 흐른 뒤에 단테의 신곡에도 그 위엄을 드러낸다.
「아득한 옛날 성 금요일에 콘스탄티누스가 발견한 것은 한 텍스트가 갖는 의미는 독서가의 능력과 욕망에 따라 확대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하나의 텍스트를 대할 때 독자는 그 텍스트의 단어를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역사적으로 그 텍스트나 저자와는 전혀 관계없는 의문을 풀어 주는 메시지로 바꿔 버릴 수 있다. 그러다 보면 어쩔 수 없이 텍스트에 독서가 자신의 환경이 스며들기 때문이다. 무지, 맹신, 지성, 기만, 교활함, 그리고 계몽을 통해 책 읽는 사람은 원전과 똑같은 단어로 그 텍스트를 다시 쓰면서도 원본과는 다른 이름으로, 다시 말해 그것을 재창조해 내는 것이다.」 306p, 『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살만 루시디는 『오즈의 마법사』에서 망명의 비유를 본다고 한다. 파울로 코엘료와 그레고리 머과이어는 도로시 보다는 마녀를 탐구하며, 개별자로서 본성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오랜 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으며, 그 텍스트 안에서 다른 의미와 비유, 메시지를 읽게 된다. 당시의 문해력, 지식, 감정, 환경 안에서 다른 독서를 한 경험을 갖는다. 확장이란 의미에서 독서가에게 주어진 긍정적인 면은 성찰과 성장, 안목의 향상과 같은 것들이다. 부정적인 면은 오독, 맹신, 편견 등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나의 독서에 대해 성찰하는 장(Chapter)이었다.
한편, 오늘날도 망겔이 말하는 '무지, 맹신, 지성, 기만, 교활함, 그리고 계몽을 통해 원전과 똑같은 단어로 그 텍스트를 다시 쓰면서도 원본과는 다른 이름으로, 다시 말해 그것을 재창조해 내는' 작가들을 본다. 몇 년 전 『12가지 인생의 법칙』을 보며 작가가 성서나 경전 그리고 일반화할 수 없는 사건이나 지식을 가져다가 자신의 주장을 위해 오용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성서나 경전의 경우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분명하게 있어서 은유나 문학적인 인용 외에는 다른 의미로 재해석해서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독서가야 어떻게 생각하든…, 그러나 그것을 확장하고 재생산하고 있다면 말이 다르다. 조던 피터슨 책이 나오면 나는 답답해진다.
*오늘 마침 그와 관련된 기사를 읽었습니다.
http://naver.me/G4rVJG9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