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의 당사자들은 김일성이 소련 여단 군복을 입은 모습을 즐겨 묘사한 반면일본 상급자의 제복을 빌려 입고 찍은 남한 장교들의 사진은 조직적으로 감추었다아마도 1961년부터 1979년까지 남한의 대통령이던 박정희가 그런 군인들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일 것이다.”

 

출처김정일 코드 p.47

 

이 내용은 한국전쟁을 연구한 학자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의 저서 김정일 코트(North Korea: Another Country)에 나오는 내용이다북한의 초대 지도자 김일성(Kim Il Sung)은 한국사회에서 금기시 되는 영역이다그에 대한 평가와 해석은 “6.25전쟁을 일으킨 전범이라는 단순한 명제로 결론짓는다이 부분에서 더 나아가면 그냥 독재자라는 이미지만을 부각시킨다북한에 대한 체제의 성격과 해석은 우리 사회에서 다양할 수 있다나는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생각하며그러기 위해선 북한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는 작업도 분명 중요하다 생각한다.

(와다 하루끼의 저서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내가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분명하다이미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자료들과 해석은 대한민국 사회에 널려 있다반면북한의 체제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이나 지도자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한 자료들은 거의 없다더 정확히 말하자면국가 보안법이라는 정치적 영역을 통해 탄압받고 있다내가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북한을 찬양하고 숭배의 대상으로 보자는 것이 아니다최소한 현재 한국 사회의 주류적인 흐름 속에서 북한에 대한 다른 평가를 하나의 담론으로서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따라서 김일성에 대한 평가도 충분히 그러할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근현대사를 보면,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우리의 역사는 일제시대로 대표되는 식민지 시기이다일제 지배 35년 동안 적잖은 이들이 독립운동에 나섰고또 많은 이들이 산화했다한국 사회에서는 소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포함하는 우파 민족주의 계열의 활동을 강조한다최근 들어 임정과의 연합을 추진했던 인물 약산 김원봉을 강조하지만편협한 색깔론에 큰 희생양이 되고 있다한국 사회는 조금이라도 사회주의 계열에 있었거나 월북 이력이 있는 인물에 대해선 극도의 발작 증세를 보인다.

(동북항일연군 깃발)

 

이는 잘못된 행보다왜냐하면 독립운동사에서 사회주의 계열은 절대로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사실 독립운동 세력들 중에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를 추구한 이들이 많았다그리고 이들 대다수가 독립운동가를 이루고 있었으며일제에 끝까지 저항한 것도 바로 이들이었다또한 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공내전에 참가하여중국 혁명을 승리로 이끌었다이런 업적을 달성한 이들이 바로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 세력이었다. 1948년에 탄생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김일성 또한 독립운동가로서일제시대에는 항일투쟁 그 이후에는 항미투쟁을 전개한 인물이었다물론 한국전쟁 자체는 그가 일으킨 것도 사실이지만3세계적 관점에서 보면항미투쟁으로 볼 수 있다이는 김일성과 그가 이룬 체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던 리영희 교수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북한에서 묘사한 항일무장투쟁 당시 김일성)

 

김일성은 젊은 시절부터 열혈 반일투사였다그는 1931년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킨 시점부터 항일무장투쟁에 가담했다중국 공산당에도 입당했으며중국 공산당과의 국제 연대를 통해 공동의 항일투쟁을 전개했다그는 수많은 전투를 치렀으며, 1930년대 초중반을 기점으로 백두산을 거점삼아 항일 무장병력을 이끌었다그가 이끌던 항일무장조직의 명칭은 구국군’, ‘왕청 유격대’, ‘동북인민혁명군’, ‘조선인민혁명군’, ‘동북항일연군등 다양하다한홍구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는 만주 동부에서 큰 명성과 높은 지위를 지닌 조선 공산주의자들의 지도자였다.

 

개인적으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는 전투가 있다그 전투는 바로 1940년의 홍기하 전투다홍기하 전투에서 김일성의 부대는 자신들을 추격해온 일본군 100~150명을 사살했고경기관총 5소총 100여 정탄알 1만여 발무전기 1대를 노획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이는 아주 큰 전과라 할 수 있다이 홍기하 전투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김일성은 독립운동 과정에서 아무것도 안했다.”는 일부 인사들의 주장이 허황된 주장이라는 것이다그 외에도 김일성이 일본군을 상대로 치른 전투는 무수히 많다이는 와다 하루끼의 저서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을 통해 알 수 있다.

(동북항일연군)

 

당시 김일성은 항일투쟁의 빛나는 붉은 별이었다북한이 자신들의 정통성을 항일무장투쟁에서 찾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충분히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만한 이력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러한 김일성의 이력은 국내 교과서에서는 절대 가르치지 않는다왜 그럴까나는 이것이 대한민국의 국가적 정통성이 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만약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이 분야에 있어서 당당하다면홍기하 전투 그 자체를 숨길 하등의 이유가 없다그러니 한국 사회에선 좋든 싫든 임시정부만 언급하는 것이다물론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폄하할 생각은 없다그러나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사에서 극히 일부분일 뿐이라는 것도 명백한 사실이다.

(해방 이후 북조선분국 지도자일 당시의 김일성)

 

앞서 보았듯이김일성의 항일투쟁은 분명 높게 평가받을 만한 부분이다물론 독립운동사를 김일성 중심으로만 서술해서도 안 될 것이다그러나 그가 항일투사로서 높이 평가받아야 하냐는 문제는 그것과는 별개의 문제다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은 1930년대 만주에서 전개된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무장투쟁과 더불어재조명 받고 높이 평가받을 만한 이력이다그리고 그들이 이후 한국전쟁에서 미국에 대항했다는 사실에서항미투쟁적 성격도 제3세계의 시각으로 볼 가치도 충분히 있다그런 시각을 하나의 담론으로 인정하는 것부터가 진정한 학문의 자유다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은 그런 의미에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마지막으로 2011년 브루스 커밍스가 인터뷰에서 주장했던 말을 인용하며 마치겠다.

 

딘 애치슨은 호치민에 대해 언급한 모든 것은 김일성한테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참고문헌

 

한국전쟁의 기원브루스 커밍스김자동(), 일월서각, 1986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와다 하루끼이종석(), 창비, 1992

 

김정일 코드브루스 커밍스남성욱석(), 따뜻한손, 2005

 

한국의 레지스탕스조한성생각정원, 2013

 

간도특설대김효순서해문집, 2014

 

와다 하루끼의 북한 현대사와다 하루끼남기정(), 창비, 2014

 

중국인 이야기 3김명호한길사, 2014

 

한국독립운동사박찬승역사비평사, 2014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브루스 커밍스조행복(), 현실문화, 20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