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 년 동안 외부세계와 담을 쌓고 지내온 일본은 1853년까지 영토 쟁탈전에 뛰어든 적이 없었다그러던 중 이해에 미국 매슈 C. 페리 제독이 에도만으로 들어와 대포로 위협하고 중세에 머물러 있던 일본의 문호를 개방해 근대 국가로 유도했다일본인들은 페리의 제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출처일본 제국 패망사 p.55

 

에도막부를 거치며 이른바 쇄국정책을 펼치던 일본은 25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주변국들 일부를 제외한 외부세계와의 접촉을 시도하지 않았다일본이 외부세계와의 접촉을 시도 하지 않던 250년이라는 세월 동안 지구반대편에선 여러 사건들이 일어났다유럽인들은 소위 콜럼버스가 신대륙이라고 부르던 곳에 가서 정착 및 이주를 시작했고, 1776년 미국에선 독립혁명이 일어났으며, 1789년 프랑스에선 자유평등우애라는 가치를 내걸고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다또한 1804년 황제가 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유럽 정복에 나섰으며(물론 라이프치히 전투와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며 끝났지만), 19세기 초 영국에선 소비재 대량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공장건설이 일어나면서 이른바 산업혁명이 일어났다.

(산업혁명, 19세기에 시작된 산업혁명은 기술과 과학 생산의 발달과 더불어 유럽을 자본주의에서 제국주의 국가로 이끌었다. )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유럽은 자본주의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경제를 발전시켰고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고도의 생산력을 보여줬으며 노동자 계급을 탄생시켰다또한 군사력의 현대화도 이루어졌다그러나 자본주의의 활성화는 소수의 상류계층이 중심이 된 착취를 의미했고자본은 노동자들을 하층화 내지는 비인간화시켰다그와 동시에 산업혁명이 남긴 또 다른 유산이 있었다그게 바로 제국주의(Imperialism)’이다영국프랑스와 같은 자본주의 국가들은 대량생산을 위한 값싼 원료를 제공받고자 했고여러 나라들을 식민지화했으며필요에 따라선 총과 칼을 동원했다나폴레옹 황제가 잠자는 사자에 비유했던 중국(당시는 청나라)은 1842년 아편전쟁에서 영국에게 처참한 패배를 맛보았으며무굴제국으로 명성을 떨치던 인도는 영국의 독점기업 동인도 회사를 통해 영국의 식민지가 됐다.

(아편전쟁, 아편전쟁은 산업혁명으로 발전한 제국주의 국가의 과학과 기술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아편전쟁을 시작으로 청나라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19세기 산업혁명을 거친 나라들은 전부다 이런 과정을 거쳤고프랑스네덜란드벨기에 등도 똑같은 과정을 통해 많은 나라를 식민지화했다당연히 일본은 국제정세가 이렇게 돌아가고 있다는 사실에 매우 무감각했으며태평한 나날을 보냈다그러던 1853년 일본의 역사가 바뀌는 사건이 일어났다바로 미국이 들어온 것이다미국은 신생국가였지만광활한 영토를 소유한 나라였다어쩌면 일본과 미국의 관계는 여기서 부터가 시작일지도 모른다. 1853년 6월 3(양력으로는 7월 8미국의 페리 제독이 이끄는 동인도 함대 소속의 군함 4척이 일본 에도만의 우라가 항에 나타났다. 1852년 3월 동인도함대 사령관에 취임하여 일본을 개국하라는 지령을 부여 받은 페리 제독은 그해 11월 미국의 필모어 대통령 의 친서를 휴대하고 버지니아 주 노퍽을 출항하여 7월 8일 우라가 항에 입항했다.

(페리 제독, 페리 제독은 미영전쟁의 영웅 올리버 해저드 해리의 동생이다. 그 또한 전쟁영웅이 될 형을 따라 1812년 미영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제독의 자리까지 오른 페리는 1850년대 군함을 이끌고가 일본을 개항시켰다.)

 

페리 제독은 막부의 관리들에게 미국 필모어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면서미국과의 통상을 요구했다이는 당연히 10년 전 영국이 청나라에게 했던 방법과 비슷했으며만일 이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시에는 무력을 사용하겠다는 위협도 같이했다페리 제독이 이끌고 온 현대식 군함 4척에 위협을 느낀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는 페리제독의 요구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신속한 움직임을 보였다페리 내항 사실을 조정에 알렸으며 각 지역 다이묘들에게 의견을 물었다이 과정에서 막부는 페리의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론을 취한 반면조정과 다이묘들은 서양 오랑캐를 쫓아내야 한다는 양이론을 내세웠다. 1854년 1월 페리 제독은 이번엔 7척의 배를 이끌고 에도 만 안으로 다시 입항하여 답변을 재촉했다결국 막부는 페리 제독의 요구를 수용하여 1854년 3월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했다.

(일본에 들어온 미군 군함, 미국 또한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 처럼 산업혁명과 자본주의화를 통해 막강한 군사력을 길렀다.)


(성조기를 달고 있는 미국 군함)

 

미일화친조약 체결로 서양에 대한 문호 개방의 길에 들어섰다하지만 미국의 초대 영사로 부임한 타운젠드 해리스가 제한적 개방에 불만을 갖고 통상의 자유화를 주장하면서해리스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막부는 1858년 7월에 미일수호통상조약을 정식 조인했다이 조약으로 일본은 개항장을 다섯 개(요코하마하코다테니가타고베나가사키)로 늘리고무역의 전면 자유화 및 협정 관세 채택외국인에 대한 영사재판권 인정하게 됐다또한 막부는 네덜란드와러시아영국프랑스와도 통상조약을 체결했다개국을 한 일본이 서양 열강이 지배하는 국제질서에 편입된 것이다.

(일본에 입항한 페리 제독과 그의 병사들)


(개항한 일본의 도시를 나타낸 지도)

 

1858년 미일수호통상조약에서 칙허(임금의 허가함)의 문제를 계기로 일본은 정치적 갈등이 전면에 드러났다막부는 통상조약 체결을 결정했고천황에게 칙허를 요청했는데결정적으로 고메이 천황이 이를 거부했다물론 막부는 천황의 의견과는 별개로 통상조약 조인을 강행했다개항을 하게 된 일본이 겪어야 했던 문제는 바로 경제적 문제였다개항으로 인한 수출 급속 증대에 생산이 따라가지 못해 물가가 폭등했고물가상승으로 인한 하급무사와 서민의 생활의 막대한 부담으로 이어졌다거기다 미국과 체결한 수호통상조약은 불평등 조약이었으며여기에 대한 불만도 만만치 않았다이런 불만은 외국인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져 1860년 해리스 통역관이 사쓰마번의 낭사(浪士)에게 살해당했고, 1861년 도젠지의 영국 임시 공사관이 습격당하기도 했으며영국 공사관이 일본인들의 습격으로 불태워지기도 했었다.

(일본이 미국에 보낸 사절단, 1860년 일본은 미일수통상조약의 비준 및 교환을 위해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에 사절단을 보냈다.)

 

그러나 일본의 개항은 그들이 서양을 배울 수 있게 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1860년 이른바 신미사절단이 일본을 떠나 미국으로 갔고그해 4월 4일엔 수도 워싱턴의 미국의회를 방문했었다. 1861년 말 일본은 개항연기 교섭 담판을 위해 다케우치 사절단이 유럽에 파견되었고이들은 1862년 5월 24일 네덜란드 의회를 방문했으며여기 수행원 중 한 명이던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는 프로이센 의회를 방청하기도 했다. 1863년 12월에는 영국과 프랑스에 이케다 사절단이 파견됐고이들은 1864년 7월에 귀국했다막부 말기부터 일본은 서구 열강을 배우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고이는 일본이 서구 열강에 따라 근대화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메이지 유신, 메이지 유신은 일본의 에도막부가 끝났음을 상징하는 변화였다. 또한 일본이 서구 열강에 들어서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동시에 에도막부 말기에 접어들면서 막부의 지배력이 약화되었다막부의 지배력이 약화되자 막번체제를 대체할 새로운 정치체제구상으로 공의정체론이 부상했고서양세력의 침략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앙집권체제로의 전환이 필요성을 깨달았다이 과정에서 막부와 반막부세력으로 나뉘어 1860년대 일본은 이들의 격동과 대립이 전개되었다. 1867년에 들어 막번체제를 개혁하려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1867년 12월 반막부 세력은 왕정복고 쿠데타를 주도하여 천황의 궁정을 장악하고 천황의 이름으로 왕정복고의 대호령울 발표했다이에 따라 막부의 폐지와 삼직(총재·의정·참여)의 설치장군의 관직 사임과 영지 몰수가 결정되었다이렇게 하여 260년간 지속되었던 도쿠가와 막부가 막을 내렸다이것이 바로 메이지 유신이었고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은 이른바 서구화 및 탈아입구(脱亜入欧だつあにゅうおう)의 길에 들어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