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는 아직도 그 날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1977년 무더운 여름 어느 날이었다. 벼르고 별러서 선풍기 한 대를 사 갖고 집에 와 시원하게 작동한 것이다 그 날에.

직장생활이 얼마 안 돼 봉급이 적었던 것일까. 무더운 여름을 이겨나가도록 도와줄 선풍기 하나 장만하는 일이 그리도 힘들었고 그래서 그 날 가전제품 판매장에서 선풍기 하나를 사 갖고 셋방집으로 오면서 의기양양했던 자신의 모습. 하긴 그 시절은 흑백 TV라도 한 대 집에 들여놓으면 더 이상의 소일거리 도구는 없는 것 같았다.

 

세월이 흘렀다. 동네 쓰레기장에서, 멀쩡해 보이는 선풍기를 내다버린 것을 발견하는 일이 흔해졌다. K의 친지 분이 그런 선풍기를 하나 주워서 집에 놓고 틀었는데 과연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게 아닌가. 세계에서 알아주는 가전제품 회사가 여럿이 있는 대한민국이라 그럴까 기능은 이상 없지만 구닥다리 디자인이라는 이유 하나로 가전제품이 폐기처분되는 시대다.

 

그렇기에 10년 가까이 진득하게 K 곁을 지킨 모() 선풍기는 골동품 소리를 들을 만했다. 여름만 되면 K는 그것을 책상 바로 옆에 놓고 작동시켜가며 열심히 글을 썼다. 그런데 작년 여름 어느 날이다. 그 선풍기가 사망했다. 가전제품이지만 K는 사망이란 단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어느 일부분이 고장난 게 아니라 순식간에 폭삭 부서져 버렸기 때문이다. 전원에 연결하고 작동스위치를 누르자 팬이 잠시 도는 듯싶더니 팬을 보호하는 망과 함께 마치 골판지로 만든 장난감처럼 폭삭 부서져 버리던 것이다. 수리 대상이 아니었다. 온전한 폐기 대상이었다. 단단한 쇠붙이도 피로도(疲勞度)라는 게 있어 어느 순간 부서진다더니 그런 경우일까. 정말 K는 지금도 그 선풍기의 최후를 생각하면 비록 가전제품일망정 경건하게 조의를 표하고 싶다.

 

나이 탓이다. 근년에 들어 K는 몸의 여기저기가 안 좋아져 병원 신세도 지고 복용하는 약도 늘어났다. 나름대로 건강관리에 신경을 쓰며 살아왔으나, 젊었을 적 툭하면 소주나 고량주를 마시며 밤을 지새운 죄가 그 벌을 받는 거라고 마음을 다독여본다.

그러면서 K는 이런 생각도 한다. 몸의 여기저기가 탈이 나면서 아픈 데가 늘어난 노후를 보내느니 그 선풍기처럼 한순간에 갔으면 싶다. 얼마나 대단한 그 선풍기의 생사인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8-06-27 2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들이 결혼한 지 2년이 돼 간다. 오늘, 빈 아들 방에 제 엄마가 들어가 창문을 열었다가 옆 집 아주머니와 대면했다. 옆 집 주방과  아들  방 창문 사이 거리는 3미터쯤이다.
"아드님이 안 보이는데 어디 갔나요?"
"작년에 장가 갔어요."
"어머 전혀 몰랐네." 
"그냥 친척분들  모시고 조촐하게 식 올리느라 동네 분들한테는 연락을 못 드렸지요. 죄송합니다."
"죄송하긴요. 아드님이 창문을 열었다가 저를 보기만 하면 안녕하세요 하고 늘 인사했는데 창 문이 언제부턴가 닫혀만 있으니 이상했지요. 참 상냥한 아드님이었는데."
그 말을 엿들으며 내 눈앞에 착하게  생긴 우리 아들 웃는 모습이 선하게 떠올랐다. 당사자가 떠나도 기억이 그 빈 자리에  남는다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열흘 전 밭에서 뽑은 잡초들을  따로 보관했다. 아무 데나 내다버렸다가는 되살아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잡초들의 생명력은 대단했다. 그런데 오늘 보니 따로 보관했던 그 잡초들이 이제는 1/5 크기로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짙푸렀던 색조차 증발해 버린 게 아닌가!  잘됀 일이긴 하지만 가슴 한켠으로 드는 이 무상감은 또 무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밭일을 마쳤을 때 시각이 오후 7시가 조금 넘어서였다. 집에 가서 저녁밥을 먹자니 가는 동안 20분에, 아내가 밥상 차리는 데 10여 분 해서 8시는 넘어야 가능할 것 같았다. 결국 부부는 저녁밥을 사 먹고 가기로  뜻을 모았다.
  주문한  밥이 빨리 나오는 어느 시골 식당을 찾았다. 요기를 해결한 뒤 식당 앞 테라스에서 잠시 쉴 때 남편은 눈앞의 야경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스마트폰으로 그 야경을 촬영했다. 아내가 의아한 얼굴로 물었다.
"그냥 밤 풍경 같은데 뭘 촬영했지?"
남편이 답했다.
"내가 81년  82년에 이 동네에서 셋방 살았잖아. 직장이 여기 있었으니 말이지. 그 때 이 시골에서 얼마나 쓸쓸하고 외롭게 지냈는지! 그러니까 나는 지금 36년 전 한창 젊었으나 쓸쓸했던 나를 사진 찍어본 거라고."
   그 말에 아내가 뭐라 말하려다가 그만 두는 것 같았다.  이런 말이 아니었을까?  "당신이 그 때 어떤 여자와 결혼하려다가 실패한 게 아니겠어? 그런 당신을 구제해준 게  바로 나잖아. 여하튼 당신은 항상 나를 고마워해야 해."
   외견상, 부부는 시골 야경을 말없이 바라보며 테라스에  앉아있었다. 아내가 먼저 침묵을 깼다.
"어서 집에 가야 해. 빨랫거리가 밀렸어.당신은 집에 가면 쉬지만 나는 그렇지 못해."
"알았어."
그 밤,  남편은 36년 전의 자신을 그 시골에 두고 귀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네 산을 올랐다가 내려오던 K가 산길에서신음하며 죽어가는 청설모한 마리를 보았다. 사실 신음소리는 듣지 못했지만 주둥이를 벌린 채 몸을 간간이 떠는 놈의 모습에 신음소리를 듣는 듯싶었다. 좀 이해가 안 되는 상황이었다. 동네에 있는 작은 산이라 엽사의 짓일 수가 없었다. K의 지식으로는 엽사는 매년 당국의 허락 아래 정해진 구역에서나 동물을 수렵할 수 있다. 물론 사람들이 많이 사는 동네 산 같은 곳은 절대 불가하다. 그렇기도 하고 엽사가 엽총을 갖고 다니며 사냥한 게 고작 청설모라는 것도 말이 안 된다.

그렇다면 뱀에 물린 걸까?

그럴 리가 없었다. 청설모가 신음하며 누워 있는 산길 위치를 봤을 때 위의 참나무나 소나무 가지에서 떨어진 듯싶은데 그런 높이의 나무에 오르는 뱀은 우리나라에 살지 않기 때문이다. 외국의 뱀 중에는 나무그루를 휘감고 올라가 새를 잡는 놈도 있다지만, 우리나라 뱀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K는 알고 있다. 우리나라 뱀은 고개도 빳빳이 쳐들지 못하고 그저 땅바닥을 기어 다니는 게 전부 아닌가.

매나 부엉이 같은 맹금류한테 당한 걸까?

그럴 리가 없었다. 만일 그런 일이 생겼다면 매나 부엉이가 청설모를 산길에 내버려둘 리 없었다. 나뭇가지에 갖다 놓고 찢어먹기 시작하거나, 둥지로 갖고 가 새끼들한테 먹이거나 해야 한다. 청설모를 이대로 산길에 방치할 리 없었다.

결론이 나왔다. 이 청설모는 나뭇가지와 나뭇가지 사이를 오가다가 실수로 밑의 산길로 떨어져 목숨이 위태롭게 된 경우였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는 속담이 왜 만들어졌겠나? 바로 이런 경우를 가리키는 것이다.

혹시 다 늙은 청설모라면 살 만큼 살아서 자연사를 기다리는 장면이라고 짐작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의 청설모는 그렇지 않았다. 사람으로 치면 청년으로 여겨지는, 몸의 털이 윤기 나는 모습이었다. K는 마음 같아서는 이 죽어가는 청설모를 수습해 어디 편안한 다른 장소로 옮기고 싶었다. 하지만 K는 그러지 못하고 산길을 부리나케 내려왔다. 무서워서였다. 놈이 무섭다기보다는 같은 생명체로서 언제고 맞이해야 할 죽음이 불현듯 무서워서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