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에 이 영화에 대한 소개를 보고 봐야지 해놓고 미뤄두다가 지금에야 보게 됐다. 미뤄둔 것이 잘한 일 인 듯하다. 그것도 황지우 시인 강의 듣기 전에 영화 한번 보고 오라는 공지 문자에 부랴부랴 숙제하듯 보았는데 영화를 보면서 왜 보고 오라고 한 건지 알겠다. 영화 속 음악이 느리게, 느리게 안으로 들어와 잘 알지도 못 하는 음악을 흥얼거리게 된다. 눈을 감으면 등장인물이 춤추는 장면이 빙글빙글 돈다.
그리고 바다.
명사를 남녀로 구분해 읽는 라틴어권 나라(어느 나라인지 오래 돼 기억이 나질 않는다)가 바다를 'La mar' 라고도 하고 'El mar' 라고도 한다던 소설 구절이 기억난다.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파도를 보고 떠올린 것인지. 이 영화에서 바다가 중요한 매개(?)가 된다. 바닷가에서 시인과 우편배달부가 시를 이야기 한다. 황지우 시인 강의 중에 빠블로 네루다가 읊은 짧막한 시를 연결해 놓으니 아, 영화 전체를 뚫는 사랑을 말하는 것임을 그제야 알게 된다. 시를 쓰려는 이여, 이 영화를 보기를.
이 영화를 얼마나 좋아했으면 이 시집에도 이 영화 제목을 딴 시가 나온다. 영화제목을 원제 그대로가 아닌 우리말로 '우편배달부'라고 했으면 더 좋았을 거라 생각하지만. 영화가 끝나고도 자리에서 일어날 수 없었다던 시인의 말에 김기덕 영화, '봄여름가을겨울 그리고 봄' 이 떠올랐다. 상영관도 거의 없어서 대학로까지 가서 본 남편과 나는 영화가 끝나고 엔딩 크레딧이 올라간 뒤 까만 화면만 남아있는 그 자리에 남아 가만히 있었다.

작년부터 늘 그네(시인은 '그녀'라고 했지만 일본식 한자조어이기도 하고 '그네'가 내게 더 편해서) 생각한다고 이야기를 시작한다. 주말이면 광화문에 나가고 티비 앞에 너무 오래 앉아있게 된다며 오늘도 광주로 오기 전까지 그네가 조사받으러 가는 걸 지켜보았다고 한다. 다른 이의 아픔을 이해하지 못해 '공감'할 줄 모르는 그네의 뇌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고. 시는 '공감'할 줄 아는 마음이라며.
모국어로 된 음성(내적)질서를 가지고 시는 먼저 소리로 다가온다고 한다. 시가 시이게 하기 위해서는 '은유'의 부력에 기대야 한다고. 「일 포스티노」영화에서도 시를 쓰려면 '은유'를 알아야 한다던 빠블로 네루다와 그 맛을 알게 된 마리오의 일취월장은 시에서 '은유'가 제일 중요하다는 사실을 말한다. '은유'가 무엇인지, 은유 없이 시가 될 수 없다 말하면서도 마지막으로 '세계에 대한 태도가 진정 시를 되게 한다'는 황지우 시인의 태도가 시인이 살아온 모습과 겹쳐져 마음에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