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나와 마주 서는 순간 - 숨으로 인생을 헤쳐온 제주해녀가 전하는 나를 뛰어넘는 용기
서명숙 지음, 강길순 사진 / 북하우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주에 사는 언니가 마흔 넘어 여태(?) 시집을 안 갔다. 경복궁역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한참을 가야하는 궁중떡집에서 아르바이트 하다 알게 된 언니인데, 몇 년 전에는 궁중떡 전수를 접고 제주로 돌아가 떡집을 차렸다. 떡집 일이라는게 어지간한 사람은 못 버틸 만큼 고된 노동이다. 게다가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정통 궁중떡을 전수받는다는 명목으로 이른바 '열정페이'를 받고 일하고 있었다. 제주여자여서 그 힘든 시간을 버텨낸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언니에게 왜 시집 안 가는지 물었더니, 게으른(?) 제주 남자와는 함께 살고 싶지 않아서 라고 했다. 제주에 살다보니 제주남자 외 선택권이 없다고 했다.

 

오래 전부터 그런 얘기를 들었다. 제주여자는 해녀가 되어 남편을 벌어먹이고 살림하고 육아까지 해내지만 제주 남자는 그냥 놀고 먹는다는 얘기. 그런데도 '기꺼이' 그 삶을 수용한다는 것. 그래서 내 머릿속 해녀 라는 말은 '모질고 고단한 인생' 이라는 뜻을 지녔다.

  

제주 여행을 다니면서 부터 잠녀(해녀)에 관심이 생겨났다. 제주에 머무는 동안 해녀들의 쉼터이자 탈의장이며 이야기꽃을 피우고 시름을 푸는 곳인 불턱을 찾아 헤매고,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 바깥을 걸어다닐 여건이 되지 않아 처음으로 해녀박물관을 찾은 것도 그래서였다. 예전에 디자인을 전공한다는가 했던 사람이 해녀가 되었다는 기사를 본 것도 같다. 그땐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싶어 그 사람의 행동이 도무지 이해되지 않았다. 아마도 이 책에 언급된, 조소를 전공했다는 사람인가보다. 책을 읽고 나니 그 마음, 조금 알 것 같다.

 

차라리 소로 태어날 것이지 제주 여자로 태어나 물질을 해야하는 운명을 한탄할 만큼 고통스럽고 한 많은 해녀의 삶을 풀어놓은 얘기에, 해녀박물관에서 잠깐 보여주었던 영상이 떠오른다. '우리 어멍이 이 힘든 일을 하라고 시켜서 너무나 서러웠다' 며 울먹이는 해녀의 노래가 구슬퍼 박물관 기념품 가게에서 허접스러운 해녀노래 CD를 사서 여행동안 듣고 다녔다. 좋은 취지를 살리지 못 하고 이토록 허술하게 만들어 파는 것이 안타깝다.

 

작가가 오랜 세월 기자로 일했기에 취재가 가능했을 듯하다. 당장 해녀들 이야기를 써야겠다고 마음먹는다고 해도 이런 섭외, 인터뷰는 어려울 것 같다. 제주 출신이고 제주올레길을 만든 사람이라고 하니 제주 구석구석을 잘 알아 내용이 알차다. 글과 함께 실린 사진도 제주에 오래 살며 제주 사진을 찍어 온 사람의 솜씨라서 해녀들의 모습, 제주바다를 잘 담아냈다. 해녀를 알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담긴 글과 사진이라니 이보다 더 나을 수 있으랴.

 

얼마 전 인터넷에 누군가 제주 사람들은 집에 귤나무가 있다면서요? 그랬더니 제주 사람들이 댓글 달기를, 그렇게 생각하는 건 착각이라면서도 자기네 할머니집에는 귤나무가 있긴 있다. 또 다른 댓글에, 모든 제주 사람이 다 그렇지는 않지만 자기네 집에 한 그루 쯤 있다고 되어 있는데 이런 댓글이 여럿이었다. 작가의 친동생 마저 해녀에게 장가들었다고 하니 어쩌면 제주 사람은 다들 해녀랑 가족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너털웃음 웃었다.

 

해녀학교에 대한 글을 읽으니 그 학교에 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해녀가 되기에 한참 늦은 나이이고 몸도 건강하지 않지만, 해녀가 되려는 것이 아니라 산소통 없이 오로지 자기의 숨으로 해내는 물질을 배워보고 싶다. 인간물고기(?)라 우길 만큼 물을 좋아하기도 하고 두 번 체험해 본 스쿠버 다이빙으로 들여다 본 바닷속 세계는 환상이었다. 다시 물 밖으로 나오기 싫을 만큼 신기하고 즐거웠다. 바다생물을 보는 것 자체가 기쁜 것이지 해산물 채취에 욕심은 없다.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마침내 힘찬 생명체가 온 몸을 뒤틀며 하늘로 솟구쳤을 때 낚시꾼이 느끼는 그 짜릿한 감각, 팔딱거리는 생명을 다시 놓아주는 빈 낚시질이 그저 좋을 뿐이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삶을 추구하는 그네들이 인류가 나아가야 할 본래의 길 아닌가. 인간의 손을 타면 무엇하나 부스러지고 망가지지 않는 게 없는 세태를 보며 해녀들의 삶에서 우리가 잊고 살았던 가치를 찾아보는 것은 어떠한가. 해녀박물관을 둘러보면서 해녀들의 삶이나 업적에 대해 지나치게 과장하는 것 아닌가 하는 위화감이 들었는데 이 책을 읽으니 해녀들에게 더 많은 흥미가 생기고 그네들에게 조금 다가간 기분이 든다.

 

 

해녀박물관에 있던 해녀조각상이다. 전에는 해녀박물관 밖 풀밭에 있었던 모양인데 훼손 위험 때문인지 전시장 앞에 놓여있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17-01-03 21: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서명숙씨의 글은 [제주 올레 여행]을 통해 읽었어요.
산티아고 길을 다녀온 얘기와 제주에서 올레길을 일군 이야기가 꽤 흥미로웠어요.
해녀 이야기도 관심이 생기네요.
오래전에 [숨비소리]라는 소설을 읽다가 말았는데,
이 글을 읽으니 그 소설을 다시 들여다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samadhi(眞我) 2017-01-03 21:35   좋아요 1 | URL
네 산티아고길에서 힌트를 얻어 올레길을 만들었다고 하니. 전국에 올레길 열풍을 일으킨 것만으로도 참 대단하다 생각돼요. 작가가 일한 곳이 꼴통 신문이 아니라서 더 믿음이 가더라구요.
명랑한 사람 같았어요.

겨울호랑이 2017-01-03 21: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해녀 조각상만 보더라도 그분들의 고단한 삶이 느껴지는듯 합니다...

samadhi(眞我) 2017-01-03 21:39   좋아요 1 | URL
그렇죠? 게다가 얼굴은 실제 그분들 얼굴을 본뜬 걸로 압니다.

2017-01-04 10: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samadhi(眞我) 2017-01-04 10:15   좋아요 1 | URL
그네들의 숨이 삶이죠. 어떻게 그리 견뎌냈나 싶어요.

하나 2017-01-04 1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차라리 소로 태어날 것이지... 제주 여자로 태어나 물질을 해야한다는 말이 참 마음을 울리네요. 제주에 놀러갔을 때, 잠녀들을 보면서 와 대단해!!! 라고만 감탄하고 있었는데... 그녀들의 속내를 잘 몰랐던 거... 아니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는 생각만 드네요.

samadhi(眞我) 2017-01-04 10:38   좋아요 0 | URL
정말 고달픈 삶을 헤쳐나오신 분들이죠. 제주여자로 태어나지 않아서 저는 아직 살아있는지 모르겠어요. 저같은 의지박약이 제주여자였다면, 물질을 해야했다면 못 버텼을 거예요.

곰곰생각하는발 2017-01-04 10: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글 참 좋네요. 다른 글보다 정성을 쏟은 느낌이 듭니다.
글구.. 저도 떡집에서 아르바이트 한 적이 있어서 그 노동 강도를 알고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중 유독 떡집 알바가 비싸서 무작정했는데... 아휴.. 힘듦....힘듦..

samadhi(眞我) 2017-01-04 11:14   좋아요 0 | URL
앗 곰발님께 칭찬을 받으니 몸둘 바를 모르겠네요. 제 생각대로 글을 풀지 못 해 어리바리 어중간한 글이 됐다 여겼거든요.

떡집 일은 떡시루 설거지가 최강이지요. 그때는 20대라 잘도 해냈는데 재작년에 추석 대목에 일 할 때는 몸이 우라지게 아파서 죽겠더라구요. 사장의 스카웃(?) 제의를 거절했습니다. ㅋㅋㅋ 제 떡 빚는 솜씨가 괜찮다고 하였으나 제 몸이 그 고된 노동을 배겨낼 수 없어서.

오거서 2017-01-04 19: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samadhi 님의 여행을 통한 체험과 사색 덕분에 책 내용을 좀더 실감나게 전달하는 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

samadhi(眞我) 2017-01-04 19:40   좋아요 1 | URL
그렇게 봐주시니 고맙습니다. 사색이라 부를 것도 없어 부끄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