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게 난 학급 규칙 정하는게 항상 내키지 않았다. 모둠별로 이끔이 기록이 뭐 이런거 정해서 하는 것, 손뼉 세 번 치기 짝짝짝 같은 것, 무언가 활동에 순서나 절차가 있는 것 등등등.

모둠별 활동을 하게 되면 역할도 알아서 논의하는 것이 좋고, 무언가 우왕좌왕해서 무질서한 것처럼 보여도 그게 더 마음에 들었더랬다. 그래서 지금도 뭐 학급 약속 규칙 이런게 잘 없다.

효율성. 초등학교에서까지 아이들을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싶지는 않다. 배움은 효율을 추구할지라도, 삶과 생활은 개성이 살아있는 교실을 만들고 싶다.

테일러는 평균주의의 중심 지침, 즉 개개인성의 등한시 개념을 채택함으로써 업계의 비효율성을 체계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고 믿으며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과거에는 인간이 최우선이었다면, 미래에는 시스템이 최우선이 돼야 한다."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들의 행동은 기질에 따른 일관성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상황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학교에서 이러저러하니 집에서 훈육해주세요, 같은 교사의 조언은, 그런 의미에서 지양되어야 한다. 아이는 당연히, 학교에서의 모습과 집에서의 모습이 다르다. 상황 맥락이 다르기 때문이다.

학부모는 가정이라는 상황에서의 아이의 모습을, 학교에서는 담임과 학급 구성원이라는 상황 속에서의 아이의 모습을 파악하고 자료를 공유하기 위해 협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는 아울러, 학년별로 아이가 처하는 담임 변수, 아동 변수가 다르기 때문에 그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

생각해보면, 아이에 대하여 인수인계(?)하는 것도 사실은 조심스럽게 대해야 한다. 작년의 그 아이는 그 상황 맥락에서 그러하였음을 고려하여 올해는 다른 상황 맥락 가운데에서 어떻게 살아가는가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을 향한 품이 많이 든다. 괜찮다. 아이들은 하나같이 예쁘고 좋은 면을 다 가지고 있으니까.

학교 선생님들이 (이분들의 대응이 나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비롯됐으리라고 진심으로 믿고 있긴 하지만 어쨌든) 내 행동의 맥락을 이해하려 했다면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든다. 그랬다면 나에게 공격적이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대신, 또 ‘문제아’의 낙인을 찍는 대신 도움이 돼줬을 텐데, 왜 내가 그런 맥락에서 말썽을 피우는지를 헤아리려 애썼다면 내 성격의 본질을 간파했다고 간주해버리지 않고 담임교사에게 귀띔을 하거나 나를 다른 반으로 옮기는 식으로 중간에서 조정을 해줄 수 있었을 텐데.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앞서 말했듯이 ‘발전’의 많은 부분은 사회적 관계의 상품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물론 그중에서 가장 주요한 사례는 독립적인 개인이 점차 임금노동자로 전환된 현상일 것이다. (중략) 요즘은 예전에 무료로 제공되던 용역을 사업화하는 것이 새로운 이윤의 원천... 아이들이나 노인을 돌보는 일이 이제 가정이 아니라 탁아소나 요양원의 몫... 하루에 두 번 개를 산책시키는 귀찮은 일도 다른 사람에게 하청... 물론 이런 일은 한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사정이 내가 방금 언급한 과정과 상당히 달라 보이는 지점 중의 하나는 아이들을 가족의 자산으로 간주하는 인식만큼은 한국이 다른 어느 곳보다 일찌감치 앞서 있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노동시장에서 최상의 경쟁자가 되도록 교육받고 자기착취로 볼 수 있는 과정들을 연마하도록 강요받는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성공적인 임금노동지가 되는 것이 삶의 궁극적 목표인 것처럼 양육된다. 그래서 학교나 학원에 대한 끊임없는 압박으로 아이다움을 박탈당하고, 보통은 여가와 꿈꿀 수 있는 여유를 통해 발달하는 주요한 감각들 또한 상실한다. (중략) 그렇다면 사회적 관계들은 상품화될 뿐만 아니라 억압되고 부정되고 있는 셈이다. (p18-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화는 편리함의 극치인 반면, LP(아날로그)는 경험의 극치에요.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속고 있는지도 모른다. 디지털이, 컴퓨팅 테크놀로지가, 우리가 이전에 꿈꿀 수 없었던 꿈을 꾸게 해주고 이루어준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우리의 꿈과 환상을 모조리 0과 1로 수렴시키고 있는 것을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 채.

창조성과 혁신을 이끌어내는 것은 상상력인데 상상력은 표준화되는 순간 시들어버린다. 표준화는 디지털 기술이 요구하는 바로 그것, 즉 소프트웨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모든 것을 1과 0으로 부호화하는 것이다. (p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