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가 답이다, 는 선언을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인 사례는 모호하다.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지식 욱여넣기 방식과는 전혀 다른 접근으로 IB를 들고 있는 듯하지만, 그에 대한 사례가 과연 적절한지는 모르겠다. 아울러, 결국 읽다보면 좋은 대학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IB가 이야기된다는 느낌을 받게 되기도 한다.IB가 구체적으로 뭔지, IB가 지향하는 바가 뭔지, 모두가 모호하게 진술되는 책.
요 근래, 건강과 음식, 의학 관련 도서를 이렇게 저렇게 많이 읽고 있는데, 나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 신경 써야 할 식생활 습관, 호르몬의 작동 방식 등을 일본산 서적 특유의 그 디테일함을 담아 기술한 책.여러 책을 많이 읽었는데, 실용적인 관점에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면, 이 책을 가장 먼저 꺼내어 들 듯 하다.
생각 이상으로 아쉬움이 남는 책. 느낌은 강의를 텍스트로 읽는 듯 싶은데, 에시들이 범용적이지 않다보니 독서의 흐름이 탁탁 끊기는 느낌.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였다면 그 분들의 이해를 도왔겠지만…통계를 들여다 볼 때의 착시 현상에 대해서도 이를 다루고 있는 서적이나 관련 자료가 이미 많은 상황에서, 가독성 떨어지는 예시로 분량을 잡아먹다보니, 굳이 새로울 것 없어 보이는 이 책을 언제까지 읽어야 하나… 라는 느낌으로 의무감에 끝을 맞이한 책.
재미나게, 가볍게 잘 읽었다. 팝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디선가 들어봤던 인물과 노래가 여러 에피소드와 잘 어우러져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이런 책들의 특징은, 여러 사운드 트랙을 들을 수 있도록 큐알을 제공한다는 것. 책을 따라가다가 들어볼 생각이 들면 쉽게 큐알 찍어 유튜브에 업로드 된 노래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어찌보면 유튜브의 힘일지도.다만… 이 책도 뒤로 가면서 힘이 좀 빠진다. 아무래도 이렇게 저렇게 아카이빙했지만, 이런 류의 책은 정말 ‘빠삭’하게 알지 않으면 핵심 이야기 몇 이외의 이야기는 ‘이야깃거리’가 안 되는 지점도 있는 듯. 아울러, 큐알 링크 몇 개는 ‘왜 이거지?’ 싶은 것도 있었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