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 스포일러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감상평을 두드리지만, 그래도 혹시 이야기를 읽지 않으셨다면, 감상도 읽지 않으시는 것을 추천.




워낙 핫한 작가라, 이런저런 소설을 다시 읽어봐야지 결심한 마당에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집어 들었습니다.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이야기들은 생각할 거리를 만들어주는 요소들입니다. 더스트 시대. 모든 것을 향해 뻗어가고자 하던 인간을 제한된 공간에 가두어버리는 아이러니. 그리고 더 이상 뻗어나가지 못해서인지, 서로의 욕망이 단호하게 충돌하며 결국은 멸망을 향해 가던 인간의 무리들. 프림 빌리지 속에서 누군가는 공동체의 이상을 발견했을 수도 있고, 누군가는 인간 군상의 한계를 절감했을 수도 있습니다. 인간의 미래를 공동체적 이상향에 있다고 생각하는 저로써는 조금 더 고민해 볼만한 이야기의 흐름이 이어져서 조금 더 주목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레이첼과 지수(희수)의 묘한 엇갈림. 과연 지수의 패턴 조절이 레이첼의 감정을 만든 것일까. AI가 한창 메인 스트림으로 올라오는 이 묘한 시기에, 스필버그의 'A.I.'처럼, 과연 모든 것이 트랜지스터의 연결로 이루어진 레이첼 속에 있는 인간을 향한 마음은 레이첼의 것인가, 패턴의 영향인가.


SF가 만들어 주는 이야기 울타리의 확장 속에서, 결국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주제는 '지금 우리의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더스트가 모두 지나가 한 때의 이야깃 거리가 되어버린 시대에 한 연구원(아영)이 이상 현상을 발견하고 이의 원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만난 이야깃 속 이야기들이 주된 줄거리를 이어갑니다.


그러나, 이야기의 얼개가 단선적이라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아마라와 나오미도, 레이첼과 지수도, 그들이 만나고 겪는 관계 속에서 그들은 한 방향을 바라볼 뿐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히려 이럴 요량이면 인물 바깥의 이야기에 조금 더 힘을 주었어도 되지 않나 싶은. 프림 빌리지의 야닌과 대니를 그렇게 보내버리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이는 레이첼과 지수에 대한 이야기도 아니고 아마라와 나오미에 대한 이야기도 아닐 뿐더러, 프림 빌리지에 대한 이야기도 아니게 되어버리는. 결국 이야기는 프림 빌리지에서 마무리되지만, 그리고 프림 빌리지가 지닌 공동체의 이상이 인류의 생존에 기여하지만, 결국 그 이상에 공감하지 않는 이들은 배제시켜버리는 이상이라면 이를 이상향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인가 싶기도 합니다.


아쉬움은 이야기가 전개되는 방식에도 있습니다. 아영이 모스바나를 탐색해 가는 과정에서 만나는 인물들이 들려주는 진술 - 액자식 구성 - 로 이야기가 흘러가는데, 아영이 만난 아마라와 나오미도, 지수의 진술도, 그저 흘러가는 이야기 위에 아마라/나오미가, 지수가 얹혀진 것은 아닌지 하는 의문도 듭니다. 굳이 다른 입을 빌어서 내러티브를 펼쳤는데, 그게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 굳이 아영의 서사를 만들었는데 흘러가는 이야기 속에서 아영은 사라지고 이야기만 남아버린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럼에도, 김초엽 작가의 작품을 또 읽어 볼 생각입니다. 이야기를 흘려보내는 방식에는 아쉬움이 있지만, 다양한 생각거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작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이야기도, 덮고 나서의 아쉬움이 좀 있지만, 읽는 내내 흐름에 올라타 집중하며 읽을 수 있었다는 것도 분명합니다. 다음 이야기도 기대해 볼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을 마시는 새 3 (양장) - 불을 다루는 도깨비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권은 분위기가 확 바뀐다. 전쟁 - 이라기보다는 일방적인 학살 - 이 벌어지고, 전격전을 통해 전황을 뒤집으려는 노력이 어느 정도 열매를 맺는다.

그리고, 3권의 주인공은 역시 주퀘도 사르마크라고 보아야 할 듯 하다. 군령자의 일원이 되어 인생에 가필의 기회를 가지게 된. 그러나 막상 인생의 정점에서 맞이한 패배를 한없이 부끄러워하던 그가, 가필하여 수정한 결과물은 덧없는 것이 되어버렸다. 인생의 한 켠에 그어진 패배와 후회. 그러나 그것까지도 오롯이 하나의 총체적 인생을 만든다. 그렇다. 나를 이루는 것 중, 떼어낸 후 버릴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렇게 생각하는 순간, 덧없는 가필에 매어달리지만, 우리는 인생의 현재를 극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미래가 우리에게 오지 않는다.

시간은 미래로부터 시작해 지금을 지나 과거로 흘러간다. 다가오는 미래를 맞이하려면, 현재를 머무는 과거를 흘려보내야 한다. 주퀘도 사르마크는 그것을 너무 늦게 깨달았다. 결국, 또 하나의 패배를 적립하였을 뿐이다. 우리는, 그럴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을 마시는 새 2 (양장) - 숙원을 추구하는 레콘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은 전반부를 마무리짓는 권이다. 3권부터는 시기가 급격하게 건너뛴다.

1권에서 벌려둔 다양한 음모와 모략의 귀결을 찾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사건의 흐름을 전망하게 하는, 1부의 마지막이라고 봐야겠다.

전작인 드래곤 라자, 폴라리스 랩소디 처럼 눈물을 마시는 새도 정치 시스템에 대한 틀을 베이스에 깔고 있다. 왕이 무엇인가. 나가의 수호자들이 자신의 여신을 감금하며 신의 힘을 함부로 빌려쓰는 것으로부터 한계선 북쪽과 남쪽의 봉건적 시스템은 급격하게 왕국의 시스템으로 전화한다. 그렇게보자면, 눈물을 마시는 왕에 대한 이야기인 이 책은, 인간의 정치제도에 대한 음모와 모략, 그리고 이상향을 다룬 책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2권에서는 유료도로당이라는 집단이 등장한다. 아마도 이 유료도로당이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집단으로 이 이야기에서 등장하지 않나 싶기도 하다. 삶의 목적을 가지고 길을 걷는 이들의 의지를 통행료로 환원할 뿐, 걷는 길을 평가하지는 않는. 통행료를 낼 수 없는 이들의 처지를 함부로 동정하여 원칙을 훼손하진 않지만 그 길 위에서 함께 걷는 이들이 동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 어찌보면 타자 님은 고대 공동체에의 이상향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을 마시는 새 1 (양장) - 심장을 적출하는 나가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물을 마시는 새가 연재된 지 벌써 20년이 다 되어간다. 작가는 서른의 나이에 이런 이야기를 쉴 새 없어 쏟아 내었었다. 이제 하이텔도 없어지고, 작가의 나이도 쉰이나 되었지만, 이야기의 스케일과 짜임새는 지금 다시 읽어도 정말… 감탄을 금할 길이 없다.

이영도 작가의 글은 끝까지 읽어야 그 규모가 한 눈에 들어온다. 벌써 너댓번의 독서라 이야기의 내용을 다 알고 있는 터, 그래서인지 작가가 벌려두는 갈등과 사건들이 이후에 어떻게 합치되고 분기할지를 떠올리며 더더욱 소름돋곤 한다.

왕이 없던 시대, 왕을 소망하는 자들의 이야기가 첫 권을 장식한다. 신을 죽이려는 계획을 벌이는 자들에 맞서 신을 잃은 이들의 (섣부른) 슬픔과 분노가 권의 끝을 달군다.

작가의 표현을 빌어 1권의 감상을 마무리 해 본다.

많은 이들이 오해하지만 소망은 사라지기는 할지언정 절대로 충족되지는 않는다. 불이 언제나 더 많은 땔감을 소망하지만 땔감을 공급한다고 해서 불이 충족되지는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땔감이 공급되면 불은 더욱 커진다. 소망 또한 마찬가지다. (29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헨리 슈거 로알드 달 베스트 단편 3
로알드 달 지음, 허진 옮김 / 교유서가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찰리의 초콜릿 공장]을 쓴 로얄드 달. 그러나 이 책은 성인 버전이다. 19금. 기묘한 느낌의 이야기로 전부 이루어져 있다.

로얄드 달의 시대였다면 놀라움의 대상이었겠지만, 지금에선 그것들이 누군가의 씨앗이 된 덕에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것들이 되어버렸다.

그럼에도 여전히 영감을 선사하는 작품을 고전이라 하지만... 과연 이 책은 그렇게 불리울 수 있을까? 기괴한 번뜩임에 한 두 번 소스라치지만, 대부분은 여상하게 흘리게 된다.

[찰리의 초콜릿 공장]의 로얄드 달만 보고, 자녀에게 읽히면 난감하게 될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