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로기에 바탕을 두고 있다. 23) 가족에 바탕을 둔 젠더 관계는 〈모성>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개념이다. 제3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집안의 천사>인 어머니는 빅토리아 시대의 부르주아 가족의 이데올로기적 중심으로, 험난한 세상에서 일하는 남편에게 안식처를 제공하고자녀를 양육하는 신성한 사명을 부여받은 존재이다. 24) 한편 공적 영역에서 열심히 일하는 아버지는 엄격하고 거리감이 있는 존재로, 자식을 가르치고 훈계한다. 아버지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어린 자녀의 정서적 성장은 어머니에게 크게 의존한다. 하지만 가부장적 질서는 모성을 강조하면서도 가정사를 꾸려나가는 어머니의 영향력을남성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보고 끊임없이 경계한다. 이 시기에여성이 하면 안 되는 다양한 금기들과 통제는 궁극적으로 남편의 권리를 보호하고 나아가 아들에게 미칠 여성적인 영향들을 차단하고자 고안된 것들이다. - P200
남성적 제국주의의 대중화 속에는 계급과 성별을 초월해서 대중들이 주인공 톰을 자신과 동일시하는 자기최면의 미학이 숨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퍼블릭 스쿨은 사실 무척 배타적인 엘리트집단이었다. 그럼에도 대중들이 톰 브라운과 자신을 동일시할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일까? 그것은 자신이 톰 브라운이 될 수 있는가를먼저 성찰하기보다는 스스로가 이미 우월한 위치에 있다는 자각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계층과 성별을 초월해 <영국인> 모두를 우월하게 만드는 존재가 바로 제국이다. 그리고 식민지인들은 바로 수많은 낙오자, 즉 바람직하지 않은 수많은 남성성의 정형으로이미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톰의 성공 이전에는 <제국>의 실재(實)에 대한 관념, 그를 위해 동원된 사회적 다윈주의와 인종주의의 담론들이 식민지들을 무대로 수많은 열등한 정형들, 즉 대타적 상대들을 설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었어야 한다. 앞서 제2장에서 살펴보았듯이 범영국적으로 그런 제국주의의 문화적 맥락을 형성한 이후에 톰은 곧 영국인전체가 되고, 영국인인 자신으로 치환될 수 있었다. 따라서 1857년에 출판되자마자 성공을 거둔 『톰 브라운은 이른바 <1880년 이후에야 신제국주의의 ‘대중화‘ 과정이 일어났다>는 주장에 의문부호를남길 수밖에 없다. - P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