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6년 서울. 최초의 물리학 박사가 된 야구 스타 최규남

1898년 개성에서 태어난 최규남은 어린 시절 윤치호의 아들과 가깝게 지냈다. 최규남은 윤치호가 교장으로 있던 한영서원(나중에 송도고등보통학교)에서 야구 선수로 이름을 날렸다. 독립협회 간부들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가 진행되던 1899년 초, 윤치호는 ‘산업 학교(industial school)‘를 설립하기 위해 재산 일부를 남감리교회 재단에 기부한다. 1905년 을사 조약 이후 모든 공직에서 물러난 윤치호가 이를 종잣돈으로 1906년 개성에 세운 학교가 ‘한영서원‘이다. 설립 목적에 맞게 이 학교는 이공계 교육을 강조했다. 조선에 아인슈타인 붐이 일던 1922년, 촉망받던 고교 야구 선수 최규남은 연희전문 수물과에 입학한다. - P128

1931년 봄,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강의하던 성악가 채선엽에게 전혀 모르는 사람이 보낸 항공우편이 도착한다. 발신지는 미국 미시간대학.

저는 미시건대학 물리과에서 피에이치디 과정을 밟고 있는 ‘최규남‘이라는 사람이올시다. 조선에서 온 신문에서 선엽씨에 대한 기사를 읽고 예가 아닌 줄 알면서도 글월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미국으로 유학 간 야구 스타 최규남의 연애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 P130

최규남이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무렵인 1928년, 서울에 조선인이 만든 최초의 카페가 등장했다. 그 주인공은 현앨리스. 황진남과 함께 임시정부 외교 활동을 이끌던 현순 목사의 딸인 그녀는 하와이와 미국 본토, 상하이와 서울을 넘나들었다. 현앨리스는 남편과 이혼한 뒤, 영화감독 이경손과 함께 카페 ‘카카듀‘를 열었다. 독일인 마리 앙투아네트 존타크(Matie Antoinete Sontag)가 서울에 ‘손탁 호텔(Sontag Hotel)‘을 세워 커피를 팔기 시작한 이후, ‘카카‘는 조선인이 만든 최초의 카페 였다.
카카듀라는 이름은 오스트리아 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Arthur Schnicler)가 1899년에 쓴 희곡 〈초록 앵무새(Der grine kakadu)》에서 따왔다. 슈니출러는 프랑스 좌파들이 모이던 가 상의 카페 카카듀를 무대로 1789년 바스티유가 무너지던 그 날을 다룬다. 슈니출러의 독일어 희곡을 읽은 이경손은 여기서 영감을 얻어 카페 이름을 카카듀라고 지었다. - P135

하지만 현앨리스는 박헌영과 함께 숙청된다. 미국은 그녀가 공산주의자 박헌영과 교류한다고 추방했고, 북한은 미군이던 그녀와의 친분을 구실로 박헌영을 미국 간첩으로 몰았다.
체코에 남은 현앨리스의 아들 정웰링턴은 의사가 되어 체코 여인과 결혼하지만, 공산당의 감시를 견디다 못해 1963년 자살했다. 현순 목사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지만, 그의 딸 현앨리스의 이야기는 정병준 교수의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2015년)에서야 다시 조명된다. 현순 목사의 아들이자 현앨리스의 동생이며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연출가로 활동하던 현피터의 이야기는 연극 〈에어컨 없는 방> (2017년)에서 다루어졌고, 정웰링턴의 이야기는 최근 정지돈 작가의 《모 든 것은 영원했다》(2020년)로 재현되었다. - P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