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부인은 놀랍다는 듯이 두 손을 들어 올렸다. 하지만 문득 생각난 듯이 잠시 후 덧붙여 말했다. "그렇다면 대체 누가 그애 이름을 지어 준 거지요?"
하급 관리는 몸을 반듯이 세우며 아주 자랑스러운 얼굴로ㅍ말했다. "내가 지어줬소."
"당신이라고요, 범블 씨!"
"그렇소, 맨 부인. 우린 주워 온 아이들에게 알파벳 순서대로 이름을 지어 주오. 이 애 직전 아이가 자라서 스워블이라고 이름을 지었소. 그러니 다음은 T자, 따라서 트위스트라고그 애 이름을 지어 준 거요. 다음에 오는 아이는 U자인 언원이되고, 그다음은 V자인 빌킨스가 될 거요. 이런 식으로 난 알파벳 끝까지 이름을 다 준비해 놓았다오. 그러다가 Z까지 가면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는 거요."
"어머나, 당신은 정말 문학적 소양이 풍부하신 분이군요, 범블 씨!" 맨 부인은 말했다. - P31

이 말은 올리버에게 그다지 큰 위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올리버는 어린 나이임에도 떠나가는 것이 몹시 섭섭하다는 시늉을 할 만큼은 눈치가 있었다. 두 눈에 눈물이 고이게 만드는 것은 이 아이에게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아이가 울고 싶을 경우 방금 전까지 당한 학대와 굶주림은 훌륭한 도우미가 되는 법, 올리버는 실로 아주 자연스럽게 눈물을 흘리며 울었다. 맨 부인은 올리버를 수백 번 안아 주었을 뿐만 아니라올리버에게 포옹보다 훨씬 더 필요한 것, 즉 버터 바른 빵까지한 조각 안겨 주었으니 구빈원에 도착했을 때 너무 배고픈 모습을 보일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그런 뒤 올리버는 한 손에 빵조각을 들고 머리엔 갈색 천으로 된 조그만 교구 모자를 쓴 채 범블 씨에게 이끌려, 암울한 유년기를 밝혀 주는 친절한 말이나 시선을 단 한 번도 받아 본 적 없는 그 비참한 집을 떠나갔다. 하지만 보육원 문이 등 뒤로 닫혔을 때 올리버는 어린애다운 복받치는 슬픔을 터뜨리고 말았다. 뒤에 남겨 두고 가는 비참한 어린 친구들은 비록 불쌍하기 그지없는 가련한 아이들이었지만 이제껏 그가 알았던 유일한 벗들이었다. 광막한 세상에 이제 나 혼자뿐이라는 고독감이 아이의 마음속에 처음으로 스며들었던 것이다. - P33

다음 날 아침 흰 조끼를 입은 신사가 구빈원 대문을 두드리다가 공고문을 읽으며 말했다. "저놈이 교수형을 당하게 될 거라는 믿음보다 더한 확신은 내 평생 결코 없었다고."
이 흰 조끼 신사의 말이 맞는지 아닌지는 이어지는 이야기에서 보여 줄 작정이니, 올리버 트위스트의 인생이 그런 끔찍한 파국을 맞을지 어떨지에 대한 암시를 필자가 지금 이 자리에서 하려 든다면 그것은 아마도 이 이야기의 재미(재미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말이지만)를 훼손하는 노릇이 되고 말 것이다. - P43

음식물이 배 속에서 쓰디쓴 독으로 바뀌고 피는 얼음처럼 차갑고 심장은 쇳덩어리인 어떤 살찐 철학자님께서 개조차 거들떠보지 않는 이 산해진미 요리를 올리버 트위스트가 허겁지겁 집어삼키는 모습을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굶주림의 화신처럼 사납게 달려들어 음식 쪼가리를 정신없이 뜯어 먹는올리버의 이 끔찍한 식욕을 그 철학자님이 직접 눈으로 볼 수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보다 더 보고 싶은 것이 딱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이 철학자님이 이와 똑같은 종류의 식사를 올리버와 똑같이 맛있게 먹어 대는 모습을 보는 것이다. - P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