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날 먹어봐 - 의료 목적의 식인행위와 사람고기 만두 이야기

12세기 아라비아의 거대한 저잣거리에서는 버려도 아깝지 않을 가방 하나와 돈 보따리를 짊어지고 제대로 찾아가기만 하면 간혹
"밀화인"이라 불리는 물건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 밀화인이 란 꿀에 함빡 절인 사람의 유해이다. 다른 말로 ‘인간미라 밀과‘라 부르기도 했는데, 이름만 보면 오해하기 쉽겠지만, 꿀에 절인 중동 지방의 일반 밀과와는 달리 이것은 디저트로 쓰이지 않았다. 이 밀 과는 외용약으로 또-이런 말을 해서 유감이지만-내복약으로 쓰 였다. 조제에는 물론 조제자의 노력이 필요했지만, 특이하게도 내용물이 될 사람 자신의 노력이 더 많이 필요했다. - P249

……아라비아에서는 70~80세 되는 노인들이 다른 사람들을 구 하기 위해 기꺼이 자기 몸을 바치기도 한다. 이들은 늘 목욕하고, 다른 음식은 먹지 않고 꿀만 섭취한다. 한 달이 지나면 그는 꿀만 배설 하게 되고(대· 소변이 모두 완전히 꿀이다) 그 뒤 사망한다. 동료들은 그를 꿀로 가득 채운 석관에 재워놓고 봉인한 후, 겉에다 몇 년 몇 월 인지를 표시한다. 100년이 지나면 봉인을 뗀다. 밀과가 만들어져 있 는데, 사지가 부러지거나 상처가 났을 때 치료약으로 이용한다. 소 량을 내복하면 즉시 증상이 가신다. - P250

타박상이나 기침, 소화불량, 복부 가스팽만 등과 같은 가벼운 병 증은 며칠이면 저절로 사라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약의 효력에 대 한 소문이 어떻게 퍼졌는지 쉽게 짐작이 간다. 용법이나 용량을 정 확히 따진 투약실험도 없었다. 모든 것이 바람을 타고 떠도는 소문 에 근거했다. ‘편도선염에 걸린 피터슨 부인에게 똥을 좀 드렸더니 이젠 괜찮아졌대요.‘
104년 동안 의사들 사이에 베스트셀러 참고서 자리를 지켜온 《머 크 매뉴얼)의 편집자 로버트 버크로우에게, 효력이 전혀 입증되지 않은 기상천외한 의약품들이 어떻게 생겨나느냐고 물었더니 이렇 게 말했다.
"어느 실험에서 25~40퍼센트의 사람들이 설탕으로 만든 알약이 진통효과가 있다고 응답했지요. 이런 결과를 두고 볼 때, 일부 그런 치료제가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약으로 쓰이게 됐는지 어느 정도 이해가 갈 겁니다."
그는 또 "평균적인 병증의 평균적인 환자가 평균적인 의사에게 치료를 받았을 때 증세가 호전되기 시작한" 것도 1920년대에 들어 서고부터였다고 덧붙였다. - P257

사체를 재료로 만든 약에 거부감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요리문 화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자신이 무엇에 익숙해져 있는가에 달려 있다. 골수로 류머티즘을 치료하고 땀으로 연주창을 치료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인간의 성장호르몬으로 왜소증을 치료하는 행위보 다 심하지도 잔인하지도 않다. 우리는 사람의 피를 다른 사람의 몸 에 주입하는 것에는 전혀 혐오감을 품지 않으면서도 거기에 몸을 담그는 것은 생각만 해도 소름끼쳐 한다. 귀지를 약으로 쓰던 옛날 로 돌아가자는 게 아니라, 조금만 마음을 가라앉히고 생각해보자는 말이다. 《본초강목》의 1976년도 영문판을 편집한 버너드 리드는 다 음과 같이 지적했다.
"오늘날 사람들은 활성원소와 호르몬 • 비타민, 질병에 대한 독 특한 치료제를 찾아 온갖 종류의 동물조직을 조사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아드레날린, 인슐린, 에스트론, 월경독 등의 발견으로 볼 때, 대상이 주는 불쾌감을 극복해야만 가치 있는 것을 얻어낼 수 있다는 개방적인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다." - P258

실험에 착수한 우리는 돈을 각출하여, 시립 시체보관소에서 사체를 샀다. 병들어 죽거나 늙어 죽지 않고 폭력에 의해 사망한 사람의 시신을 골랐다. 이렇게 우리는 두 달 동안 사람고기만을 먹으며 지 냈고, 다들 더 건강해졌다.

화가 디에고 리베라는 회고록 《내 예술, 내 인생》에서 위와 같이 적고 있다. 그는 어느 파리 모피상인이 자기 고양이에게 고양이 고 기를 먹여 고양이 모피가 더 질겨지고 윤기 나게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서 그는 1904년에 함께 해부학을(당시 미술학도들에게 해부학 공부는 필수였다) 공부하던 동료 몇몇과 함께 그 효과를 직접 체험해보기로 했다. 리베라가 이 이야기를 꾸며냈을 수도 있다. 하 지만 현대에 와서도 인간을 약재로 사용했음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예가 되기 때문에 소개한다. - P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