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영 <제주도우다>

서평 정우영

현기영 <제주도우다>

광복의 1945년에서 대한민국 수립의 1948년까지를 흔히 해방공간이라고 하는데, 온 국민이 새 국가 건설의 꿈에 한껏 부풀었던 그때는 불행히도 한국사에 유례없는 무서운 폭력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이 소설은 그 삼 년의 기간을 지나면서 국가폭력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거의 절반이 목숨을 잃어야 했던 제주도 청년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중략) 그당시 청년들을 사로잡았던 열정의 정체는 무엇이고, 어떻게 그들이 역사의 소용돌이 속으로 휩쓸려 들어갔는지, 삶과 죽음은 무엇이고 인간은또 무엇인지를 작가는 이 소설에서 탐구하고 싶었습니다. (3권, 361쪽) - P237

서평 온수진

역시 배신이야말로 달콤한 것. 이 책은 보고서가 아니었다. 아니, 보고서에 부합하는 내용도 조금은 있고, 오충현 교수(동국대)의 자세한 학문적 설명도 부연되어 있다. 하나 이 책은 마음의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그러고 보니 주 저자인 김성란 님은 마음을 다듬는 ‘평화의 씨앗‘ 활동가다. "씨앗부터 키우려면 씨앗부터 키우는 행위와 씨앗부터 키울 수있는 마음이 필요하다. 마음을 다듬지 않고 하는 행위와 행위를 동반하지 않는 마음 다듬기는 어느 쪽이든 빈 수레가 되기 쉽다. 건강한 숲을위해 씨앗부터 키우는 노을공원시민모임과 행위에 담긴 인식을 살펴마음을 다듬는 ‘평화의 씨앗‘이 손을 잡은 이유다." 즉, 행위에 집중하기보다 행위에 따라 움직이는 마음에, 나아가 행위와 마음이 순환하고 연결되는 것에 집중한다. - P2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