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과 결은 본디 하나이나 그것은 두 힘 ‘함’과 ‘됨’이 엮이고 풀리는 마디(응집력)에서 생기므로 하나이면서 둘, 둘이면서 하나인 한 쌍으로 볼 수 있다. 힘으로 뭉뚱그리면 하나이지만, 함과 됨의 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갈라서 보자면 둘이다. 음과 양, 원자와 공간, 유와 무, 전자와 양성자, 형상과 질료, 숨과 몸…… 무엇이라 부르든 아랑곳없이, 이것저것을 갈라서 볼 수밖에 없는 사람의 의식에 비치는 누리의 모습은 여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 - P181

살아 있는 것들은 저마다 무늬가 다르다. 무늬는 톨에 새겨진 결이다. 사람의 손가락 끝마디에 새겨진 지문이 저마다 다르듯이, 피나 머리칼에 새겨진 유전정보가 하나도 같은 것이 없듯이, 저마다 달리 생겨 먹은 산이들은 그 다름으로 말미암아 살 때와 데가 어느울타리 안에서만 주어진다.
‘함‘의 힘이 ‘됨‘의 힘보다 넘치는 곳에서는 결 고른 삶을 바라기 힘들다. 힘이 들어오면 거기에 맞서야 하고 맞서기 어려우면(힘겨우면) 고른 결이 흐트러진다. ‘힘이 든다‘는 말은 깊이 되새겨 보아야한다. - P182

"원자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할 때 광자라고 부르는 빛의 입자를 방출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광자가 원래 원자 속에 들어 있다가 방출되는 것이냐?"
"아니요, 광자가 원래 있다가 방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광자는 어디에서 온 거지? 어떻게 해서 생긴 것이냐?"
나는 광자의 수는 보존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의 운동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을 아버지께 설명드리려고 애썼지만 잘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이렇게 말씀드렸다.
"그것은 제가 지금 내고 있는 소리와 비슷합니다. 소리가 제 몸 속에 원래 있었던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아버지께서는 그런 점에서 나를 만족스럽게 생각하지 않으셨다.

<남이냐 이야 뭐라 하건!》(리처드 파인만 글, 홍승우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4)에서 - P1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