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마고기 demagogy: 선동정치가가 특정한 문제에 대하여 정치적인 의도로 유포시키는 선동적 허위선전

우리는 인간의 사고방식이 사회의 물적 기초의 반영이라는 가정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우리의 사고 자체가 사회 전체의 변혁에 필요한 또다른 물적 기초를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우리 자신이 지금 인정하고 싶은 것 이상으로 우리 대다수가 생산력의 형이상학에 너무나 깊이 빠져 있기 때문에, 오늘의 이 어처구니없는 생명파괴의 일상화와 구조화를 뿌리로부터 극복하는 길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지도 모른다. - P63

모든 문제가 현실적으로 규모의 문제, 대규모 산업화, 세계무역의 현실과 그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면, 적정의 문화, 적정의 정치, 적정기술에 대하여 숙고하는 것은 불가피한 과제가 된다. 오늘날 생태적 위기의 본질도 근본적으로는 권력의 집중화에 기인하는 것임을 우리는 분명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64

극소수 다국적기업이 주도하는 세계의 무역질서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경쟁력이 배타적으로 강조될 때 그것은 궁극적으로 우리 공동체의 뿌리를 잘라버리고, 문화적 전통과 개성을 부정하며, 인간다운 교육을 위한 최종적인 근거를 무너뜨린다는 사실을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 P67

우리는 인간영혼의 요구와 친자연적(親自然的)인 생명가치를 철저히 무시하는 토대 위에서 전개되어온 산업주의에 대해 정말로 아니다, 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삶에 대한 큰 사랑과 책임감과 에너지가 우리 자신 속에 있는지 물어보지 않으면 안된다. - P69

우리가 시작하지 않으면 안될 것은 희망을 위한 싸움이다. 희망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이 아니라 희망의 조짐을 우리의 삶 속에 드러내는 일에 참여하는 일이 중요한 것이다. 도대체 ‘무한경쟁‘이라는 것이 어떻게 사회적 이성의 이름으로 수용될 수 있는가? 우리 각자가 이런 터무니없는 데마고기에 적극적으로 동의한 바가 없다고 하더라도 우리자신의 몸으로 산업소비체제의 전횡에 묵종하고, 세계 전체 인구의 퍼센트에게 허용되어 있는 개인자동차를 아무런 비판 없이 ‘나의 것‘으로하는 데 정신이 팔려 있다면, 산업주의의 논리를 강화하고 생명의 논리를 부정하는 데 우리 자신이 책임이 없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 P75

일찍이 간디는 언젠가 산업주의가 인류에게 큰 저주가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자기 파멸을 향하여 가속적으로 달려가면서도 결코 멈출 줄모르는 것이 산업주의의 본질이라고 한다면 우리가 택할 수 있는 것은이 지옥으로 가는 자동차에서 내리는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러한 선택을 행하는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우리에게는 희망의 가능성이 커질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우리 각자는 결국 혼자서 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희망을 위한 싸움‘은 본질적으로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다. - P77

물질적 재화의 소비규모의 과다에 의해서 측정될 수밖에 없는 생활수준이라고 하는 것이 사회발전의 핵심적인 기준이 될 때, 토착문화의 다양한 삶의 방식들이 파괴되고, 전통적인 농업이 사라지고, 생태적 재앙이 따르고, 공동체가 해체되며 인간의 도구화가 심화되는 것은 필연적이다. 그뿐만 아니라 생활수준의 향상을 꾀하는 ‘개발‘이 진행되면 될수록 부의 독점은 심화되고, 빈곤문제는 갈수록 해결 불가능한 것으로 된다는 것은 현대사에서 너무나 명백하게 증명되어온 사실이다.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