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세이건의 꿈의 지도에서 출발한 코스모스의 대단원~!

인류 문명은 지금으로부터 약 1만 1650년 전, 우주력으로는 마지막 30초가 펼쳐질 무렵에 시작되었던 온화한 간빙기, 즉 홀로세(Holocene, 충적세)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다. 지구를 연구하는 지질학자들은 대체로 쉽게 흥분하는 사람들로는 보이지 않지만, 지질학자들은 여러 증거를 살펴본 뒤 우리가 사는 시대에 인류가 지구에 미친 영향을 더 잘 반영하는 이름을 새로이 붙이는 게 좋겠다고 판단했다. 그들은 우리 시대를 ‘인류세‘라고 불러야 한다고 본다. 그리스 어로 ‘인간‘을 뜻하는 anthropos에 ‘최근‘을 뜻하는 cene을 합한 이 단어는 인류가 자연 환경과 그 속의 생명체들에게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이름이다. - P399

과학 활동 대부분은 이런 식으로 이뤄진다. 누군가 어떤 문제를 풀려고 나섰다가 그것과는 전혀 다른, 예상치 못했던 현상을 우연히 만나는 식으로. - P407

한편 지금 우리는 땅에 축적되는 데 수억 년이 걸렸던 탄소를 수십 년 만에 끌어내어 대기로 이산화탄소를 뿜어내고 있다. 1967년에 두 과학자는 사람들 앞에 나서서 만약 우리가 변하지 않는다면 지구가 어떻게 변할지 말해 주었고, 그들의 예언은 정확히 그대로 실현되었다. 과학은 우리에게 미래의 재앙을 내다보는 능력을 선물해 주었다. 그것은과거에는 신들만이 줄 수 있는 선물이었다. 하지만 롤런드가 한탄했듯이, "우리가 예측력을 발휘하는 과학을 개발하더라도, 결국 손 놓고 앉아서 그 예측이 현실로 실현되길 기다리기만 할 거라면 그게 다 무슨 소용인가?
대부분의 사람은 산호와 청개구리의 운명에는 마음이 그다지 움직이지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당신의 미래, 당신의 삶, 당신 자녀들의 삶이라면? - P414

유토피아가 없는 세계 지도는 쳐다볼 가치조차 없다.
인류가 늘 착륙하고자 하는 바로 그 나라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류는 일단 그곳에 착륙하면, 주위를 둘러보고,
더 나은 나라를 발견하면, 그곳을 향해 다시 출항할 것이다.

-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사회주의에서 인간의 영혼(The Soul of Man under Socialism)」에서


책은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가 되어야 해.

-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1904년 1월 27일
오스카르 폴라크(Oskar Pollak)에게 보낸 편지에서 - P417

내가 그 세계에서 보낸 20년 동안 배웠던 희망은 그로부터 20년이 더 흐른 지금도 내가 하는 모든 일에 깃들어 있다. 이 책은 1장부터 그 희망의 이야기다. 인류가 종으로서 당시에는 한낱 추상에 지나지 않았을 미래를 위해 농업을 발명한 이야기다. 아소카의 삶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이 지닌 최악의 특성도 변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생명이 그 끈기로써 환경이 가하는 언뜻 불가능해 - P424

보이는 고난들을 다 이겨 낸 이야기다. 바빌로프와 동료들이 그랬던 것처럼, 인류는 후손들에게 살기 좋은 미래를 물려주기 위해서 힘겨운 고난을 견딜수 있다는 이야기다. 우리가 과학의 렌즈를 써서 우리의 참모습을 용감하게 직시했던 이야기다. 우리가 과학 덕분에 스스로 우주의 중심이고 싶어 했던유치한 희망을 떨어낸 이야기, 수조 개의 다른 세계 중 하나에 불과한 창백한 푸른 점 위의 존재라는 참모습을 받아들임으로써 오히려 강해진 이야기다. 우리가 착취하고 고문했던 다른 생명체들에게도 의식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한 이야기다. 우리가 길었던 우주적 격리 기간을 마침내 끝내고 우주의 망망대해로 진출하기 시작한 이야기다. 과학이 우리에게 그릇되었지만 안심되는 설명으로 비약하지 않고도 자연의 신비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 이야기다. 과학이 우리에게 서식지에 닥칠 위험을 일찌감치 예견하도록 해 준 이야기, 그럼으로써 우리가 열심히 노력해서 먼 미래에 다른 곳으로 이주할 수 있을지도 모르도록 해 준 이야기다. 과학이 우리에게 인류를 보호할 예언력을 부여해 준 이야기다. 마지막으로, 더없이 소박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아직 그 무엇도 행성의 중력을 벗어나서 우주로 나간 적 없는 행성에서 살았던 한 아이가 성간 비행이 펼쳐지는 미래를 꿈꾸며 자라서 마침내 제 행성에서 이뤄진 최초의 별 탐사 사업에 기여하는 이야기다. - P425

아인슈타인이 1939년 세계 박람회 개막식에서 했던 말이 머릿속에 메아리친다. "과학이 예술처럼 그 사명을 진실하고 온전하게 수행하려면, 대중이 과학의 성취를 그 표면적 내용뿐 아니라 더 깊은 의미까지도 이해해야 합니다."
내가 생각하기에, 아인슈타인이 말했던 더 깊은 의미란 아마 다음과 같은내용일 것이다.
우리 우주는 약 140억 년 전 물질, 에너지, 시간, 공간이 갑자기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때 어둠은 차가웠고, 빛은 뜨거웠으며, 그 양극단이 결합함으로써 물질에 형태와 구조가 생겼다. 우리 태양보다 수백 배 더 무거운 별들이 생겨났다. 그 별들은 폭발하면서 이후 생겨날 세계들에 산소와 탄소를 공급해 주었고, 금과 은으로 장식해 주었다. 죽은 별들은 어둠이 되었고, 그 어둠의 무게는 빛을 비끄러매는 닻이었다. 그리고 그 별들의 수의에서 새 별들이 - P442

태어났다. 별들은 함께 어울려 춤추기 시작했고, 그러자 은하들이 생겨났다.
은하는 별을 낳았다. 별은 행성을 낳았다. 그 행성 중 최소한 하나에서,
뜨겁게 녹은 심장의 열기가 솟구쳐 나와서 물을 데웠다. 그러자 먼 별에서 비처럼 쏟아져 내렸던 물질이 생명을 얻어 살아났고, 별의 물질로 만들어진 생명은 결국 의식을 얻어 깨어났다.
그 생명은 땅에 의해 조각되었고, 살아 있는 다른 것들과의 싸움을 통해조각되었다.
그리하여 커다란 나무가, 많은 가지를 길러낸 나무가 자랐다. 하마터면여섯 번이나 쓰러질 뻔했지만, 여전히 용케 자라고 있다. 우리는 그 나무의 작은 한 가지일 뿐이고, 나무 없이는 우리도 살 수 없다.
우리는 서서히 자연의 책을 읽는 법을, 자연의 법칙을 배우는 법을, 나무를 보살피는 법을 익혔다. 우리가 코스모스라는 망망대해에서 언제,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는 법을 익혔다. 그리고 코스모스가 스스로를 이해하는 수단이, 별로 돌아가는 길이 되었다. - P4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