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석과 석기를 구분하는 데는 엄격한 규칙이 있는데 석기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사람이 도구를 사용해서 가공한 흔적의 유무다. - P9

석기를 자연석과 구분하기 위해서는 돌에 남겨진 몇 가지 특징을 잘 관찰해야 한다. 먼저 떼어져 나간 부분이 규칙적으로 떼어져 나갔느냐는 것이다. 석기를 만든 사람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의도한 대로 만들기 위해 돌을 내리쳐 규칙적으로 떼어낸 흔적을 잘 관찰해야 한다. 자연적인 낙석도 돌과 돌이 부딪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이 돌로 돌을 내리쳐서 만든 석기와 타격면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타격면이 얼마나 규칙적으로 반복되느냐를 자세히 들여다보아야만 석기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구분되는 특징은 사람이 도구를 사용해서 만든 석기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석기의 정형성이라고도하는데 크기가 크든 작든 주먹도끼는 끝이 뾰족하고 좌우 대칭의 물방울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 P10

그리고 또 한 가지 비장의 무기가 남았으니 그것은 석기 표면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흔적들을 현미경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사용흔분석‘이라고 한다. - P11

뗀석기제작에 사용되는 돌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일단 입자가 균질해야 한다는 것이다. - P13

돌을 두드려 깨서 도구를 만들어 쓰기 시작한 구석기시대는 적어도 250만 년 전부터 시작한다. 돌을 갈아서 석기를 만들기 시작한 신석기시대의 시작을 약 1만 년 전이라고 볼 때 인류역사의 대부분은 구석기시대다. 구석기시대 인류의 진화와 석기제작기술의 발달 과정을 아주 단순하고 짧게 설명한다면 "머리는 점점 커지고 석기는 점점 작아진다."라고 말할 수 있다. - P14

구석기시대의 유물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주먹도끼다. 주먹도끼는 자르고, 찍고, 썰고, 긁고, 뚫고, 파고 등등 인류가 구석기시대의 거친 자연환경을 극복하며 살아남기 위해 꼭 필요했던 도구이며 가장 중요한 도구 중의 하나이다. 이 주먹도끼가 동아시아 최초로 우리나라 전곡리 구석기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전곡리 유적에서 발견된 주먹도끼는 아프리카와 유럽 중심으로 인도의 서쪽 편에만 존재한다고 믿어져 왔던 아슐리안 주먹도끼였다. - P21

주먹도끼 만드는 사람의 뇌를 최신 의료장비를 동원해 조사해 보니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돌을 솜씨 좋게 두드려 깰 때 작동하는 뇌의 특정부위가 말을 할 때 작동하는 부위와 거의 일치한다는 것이다. 주먹도끼를 만드는 능력이 발달하면서 언어를 구사할 수있는 능력도 함께 발전했다는 설명인데 석기 만들기를 가르쳐본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수긍이 간다. 주먹도끼 만드는 법을 가르치고 배우려면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입 다물고 대충 두드려 깬다고 해서 만들 수 있는 게 주먹도끼가 아니기 때문이다. - P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