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를 농락한 천재 과학자 빅토르 모리츠 골트슈미트. 오빠 윌리엄 허셜과 함께 천문학자로 많은 업적을 남긴 캐롤라인 허셜, 그러나 역시나 책에는 남성인 오빠의 이름만..

물과 이산화탄소가 유기 분자로 바뀌어 생명 탄생 과정의 연료가 되어주면, 그로부터 수소와 메테인(CH4, 메탄)이 생겨난다. 이때 바위에 뱀처럼 구불구불 갈라진 흔적이 남는데, 이것을 사문석화(蛇紋石化, serpentinization)라고 부른다. 다른 세계에서 생명을 찾는 과학자들은 종종 "물을 따라가면 된다." 라고 말한다. 물이 생명에게 꼭 필요한 기본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과학자들은 "바위를 따라가면 된다." 라고도 말한다. 사문석화된 바위는 생명을 가능케 한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 P112

과학자들은 이처럼 생명이 바위에 처음 정착했다고 믿는다. 하지만 생명은 태어난 순간부터 탈출 마술사였다. 늘 자유롭게 풀려나서 새로운 세계를 정복하려 들었다. 거대한 바다조차 생명을 가둘 수 없었다. - P113

지구 역사에서 최대 격변 중 하나였던 그 시절을 보기 위해서, 우주력으로 돌아가 보자. 시간이 흐르기 시작한 뒤 약 30억 년이 흐르는 동안, 우주의우리 구역에서는 별다른 일이 벌어지지 않았다. 우리 은하가 형성된 것은 우주력으로 3월 15일이 되어서였고, 우리 태양이 빛을 밝힌 것은 그로부터 또60억 년이 더 지난 8월 말일이 되어서였다. 그 직후 목성과 지구를 비롯한 행성들이 뭉치기 시작했다. 그때로부터 불과 3주밖에 지나지 않은 9월 21일, 예의 바닷속 바위틈에서 생명이 시작되었던 것 같다. 그 후로 3주가 더 흘렀다. 그동안 화산들이 계속 솟아나서 바다 위로 고개를 내밀었고, 그 분출물로부터 땅덩어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 P114

골트슈미트는 지구를 하나의 계(系, system)로 바라본 최초의 과학자 중한 명이었다. 그는 우리가 전체 그림을 보기 위해서는 물리학, 화학, 지질학을따로따로 알 것이 아니라 모두 다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당시는 원소 연구가 막 시작된 시절이었다. 주기율표에서 우라늄 너머의 불안정한 원소들, 이른바 초우라늄 원소들은 아직 발견되지도 않았다. - P121

우주는 은하를 낳는다. 은하는 별을 낳는다. 별은 행성을 낳는다. - P126

고향 하노버에서는 허셜의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Caroline Herschel)이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 될 오빠로부터 영국 배스로 건너오라는 연락이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었다. 처음에 남매는 함께 음악가로 활동했지만, 나중에는 천문학자로 더 큰 명성을 얻었다. 캐롤라인은 영국 정부로부터 보수를 받고 공식적인 지위를 얻은 최초의 여성이었다. 과학자로 보수를 받은 여성으로는 세계 최초였다. 캐롤라인은 키가 130센티미터밖에 되지않았다. 열 살 때 티푸스에 걸려서 왼쪽 눈 시력을 좀 잃었고, 성장도 멎었다. 그래도 그녀는 시대의 한계에 도전했다. 어느 정도까지는.
캐롤라인은 중요한 천문학적 발견을 많이 해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정운 및 성단 목록(Catalogue of Nebulae and Chusters of Stars)』이라는 책자로 발표했다. 하지만 책에는 오빠 윌리엄의 이름을 내세웠다. 아쉬운 일이지만, 1802년이었으니까 이해할 만도 하다. 윌리엄의 아들이자 캐롤라인의 조카인 존 허셜(John Herschel)은 자라서 고모의 목록을 더 확장했고, 책은 ‘신판 일반 목록 (New General Catalogue)』(약자 NGC)이라는 새 이름을 갖게되었다. 요즘도 NGC 숫자로 이름 불리는 천체들이 많다. - P132

인간은 스스로를 특별한 존재로 여긴다. 우리가 우주에서 가장 중요한존재라고 여긴다. 하지만 그런 우리도 아마 지구 화학적 힘들의 부산물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 힘들은 코스모스 곳곳에서 발휘되고 있다. 은하는 별을 낳고, 별은 행성을 낳는다. 어쩌면 그 행성과 위성은 자연히 생명을 낳을지도 모른다. -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