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들은 말이 떠올랐다. 바이크 여행은 내가 그 풍경 속에 들어가 있는 것 같은 매력이 있다는 말. 또 누군가는 바이크 여행은 점에서 점이 아니라 선으로 이어지는 여행이라고 했다. - P46

바이크 여행은 달리는 시간이 내내 여행의 과정이다.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열 시간을 견디는것이 아니다. 열 시간 동안 여행을 즐기는 것이다. 여행지까지의 길, 모든 순간이 여행이다. 그것이 바이크 여행의 특별한 매력 그리고 내가 바이크를 사랑하는 이유다. - P46

그래서 내가 바이크를 타고부터 하고 다니는 말이 있다. 100년 전에 버지니아 울프가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면 지금 우리에게는 자기만의 바이크, 자기만의 차가 필요하다고. - P84

편견과 차별만 문제가 아니다. 바이크를 타는 것만으로도 위험에 내몰린다. 나 또한 모터바이크 라이더로서, 도로 위에서 얼마나 이륜차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심한지도 생생히 느끼고 있다. 그리고 겪을수록 약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그 대상이 누구건 근간이 비슷하다는 걸 많이 느낀다. 아직도 잊을 수 없는 친구의 말이 있다.
"근데 도로에서 운전하다 보면 오토바이가 앞에 있으면 거슬리긴 하더라." - P102

꽉 막힌 도로에서 정차한 차 사이를 이리저리 지나가는 바이크를 보면 짜증이 난다고, 그래서 일부러 틈을 주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많다. 얄밉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데 이런 차간주행을 외국에서는 권장한다고 한다. 레인 스플리팅(lane splitting), 레인 필터링(lane filtering), 레인 셰어링(lane sharing)이라고 하는데 길이 막힐 때 이륜차가 차선을 차지하고 서 있기보다 차들 사이나 갓길로 뚫고 앞으로 나가주는게 교통 체증 해소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륜차가 사륜차 사이에서 가려진 채 서 있는 것보다 앞으로 나와 있는 것이 안전하다고도 한다. - P106

어디 바이크뿐이겠는가. 휠체어를 타든, 유아차를 끌든, 치마를 입든, 문신을 했든, 가난한 나라에서 왔든 그것을 이유로 누군가로부터 배제되거나 위협받거나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 그런 배제, 혐오, 차별이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사람을 슬프게 하는지 또한 바이크를 타고서 여실히 깨달았다면, 그래서 그걸 타파하는 일에 조금이라도 힘을 보태고 싶어졌다면 이건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 - P1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