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변화는 유연하고 비표준적 노동의 확산만 가져온 것이 아니라 고용 자체에도 충격을 주고 있다. 자본주의의 장기적인 불황 속에서 반복되는 단기적 성장 국면에서도 고용은 따라 늘지 않는 ‘고용 없는 성장‘이 우리 시대의 특징이다. 이는 최근 인공지능(AI)과 로봇의 발전 속에서 아예 ‘노동 없는 미래‘에 대한 전망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본소득과 같은 것이 필요하다는 게 실리콘밸리의 영재들이 이런저런 방식으로 기본소득에 관심과 지지를 표명하는 이유이다. 일자리가 없는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해 그리고 소비를 통한 자본의 순환을 위해 조건 없는 소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P46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에 더하여 기본소득형 탄소세, 기본소득형 환경오염세, 그리고 후세대들도 누려야 할 자연자원을 고갈시키는 것에 대해서 부과하는 기본소득형 자원고갈세를 실시하면 어떻게 될까? 탄소배출량은 줄어들어 지구온난화는 자연스럽게 감소할 것이고, 자연자원도 더 절약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생태환경의 보존은 획기적으로 나아질 것이다. 즉, 천연물 기본소득은 생태적 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