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보고 나는 실소했다. 일제의 검열 때문이라 해도 내가 중국 군대까지 가서 비행사로 활동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꽃 같은 여류비행사" 따위의 말만 가득한 데다, 동지인 이영무를 연인이라 하니 어이가 없었다. 수많은 여성이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고 있건만 여자를 보는 세상의 눈은 변함이 없구나 싶었다. 그래도 신문기사 덕분에 가족 친지들이 내가 조종사가 되어 전장을 두비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으리라 생각하니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었다. - P232
당시 우리 조선 여성은 남존여비의 봉건적 속박에다, 일본제국주의에 의해 기본적 인권마저 유린당하는 이중의 구속을 받고 있었다. 이런 현실을 타개하고 진정한 해방을 이루려면 여성이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었다. 우리가 민족혁명당과 별도로 여성 통일전선 조직을 만든 이유였다. 나는 당원 가족을 중심으로 여성들의 단결과 훈련에 힘쓰는 한편, 《앞길》이라는 잡지에 여성문제 해결에 관한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 P271
여러 날이 지난 뒤 마침내 김구 선생을 만났다. 그는 냉담한 얼굴로 불쑥 물었다. "너의 조국은 어디인가? "나의 조국은 조선이고 평양에서 자랐습니다." 나는 주저 없이 대답했다. 그는 비로소 경계를 풀었다. 나는 여성은 안 된다는 그를 집요하게 설득해 결국 애국단에 가입했다. 1931년 가을의 일이다. - P285
난징에서 나는 조선민족혁명당 부녀국에서 박차정 등과 함께 선전 활동을 전개했다. 그 무렵 윤세주 등 간부들의 권유로 독립군 장교인 리집중 동지와 재혼했으나 그 역시 가부장적으로 내 활동을 속박하기에 이내 헤어졌다. 당차원에서는 여성의 지위와 권리가 남자와 평등해야 한다고 선전하고 있었으나 실제론 전혀 그렇지 못한 현실 앞에서 나는 깊은 실망감을 느꼈다. 하지만 내게는 가야 할 길이 있기에 결코 후퇴하지도 후회하지도 않았다. - P290
"이화림의 타고난 결함은 여자다운 데가 없는 것이다. 아무리 군복을 입었더라도 여자는 여자다운 맛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그녀는 남성 동지들의 호감을 통 사지못했다. 나도 워낙 속이 깊지 못하고 경박한 편이어서 덩달아 이화림을 비웃고 따돌리고 하였으니 정말 부끄럽고 면목이 없다." - P2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