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오늘날의 사회적·생태적 위기의 뿌리에 금융통화제도의 모순이 자리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P2

공식적 경제의 고작 2~3%가 실물경제를 반영할 뿐이고 나머지 거의 모두가 투기적 카지노경제로 쏠려 있는 오늘의 현실 속에서, 경제성장을 궁극적으로 뒷받침하는 실체(인간(노동), 토지(자원), 자본)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은 실감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엄연한 진실이다. - P3

"지구는 모든 사람의 필요(needs)를 위해선 충분한 곳이지만, 모든 사람의 탐욕(greeds)에 대해서는 극히 불충분한 곳"이라고 했던 마하트마 간디의 말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다. - P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