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수백 년 동안 농업기반을 다져 경쟁력을 높여온 농업선진국에 비해 농업구조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을 추진했기 때문에 농업기반이 붕괴되었다. 그 결과 농가의 농업소득은 2000년 1,090만 원에서 2020년 1,175만 원(추정치)으로 불과 85만 원, 7.8% 상승에 불과했다. 그동안 문민정부 이래로 농업 근대화, 선진화를 위해 적게는 몇십조 원, 많게는 100조 원 이상을 농업에 투입했지만 지난 20년 동안 농가의 농업소득이 제자리라는 것은 농업정책의 실패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 P27
전국에 혁신도시를 건설하고, 건설된 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을 이전해인구를 분산시킨다는 이론은 대기업을 키워 그 성과를 중소기업과 일반국민에게 나눈다는 이론, 이른바 낙수효과를 말하는 것인데 이 이론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게 경제학계의 정설이 되고 있다. - P29
농촌에 적정한 인구가 필요한 이유는 또 있다. 바로 산업자본에 의한 농촌의 파괴는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을 부르기 때문이다. 농촌에 사람이없게 되면 난개발과 공해시설들이 쉽게 들어설 수 있다. 무분별한 개발로 우량한 농지들이 잠식되고 공해시설의 난립으로 농촌환경이 파괴된다면 생태계는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을 맞이할 것이다. 현재 우리 농촌은 대규모 축산(가공)단지가 들어서고, 쓰레기(폐기물) 매립지가 들어서고, 인체에 치명적인 유해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들어와 몸살을 앓고 있다. - P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