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정토 - 나의 미나마타병
이시무레 미치코 지음, 김경인 옮김 / 달팽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동안 절판되었던 이 책이 다시 재출간되었다는 소식에 무엇보다 기뻐하며, 도서관에 책을 주문하고 다시 읽었다.. 

초판 번역에서 발견되었던 몇몇 사소한 번역상의 오류가 여전히 눈에 띄는 것이 아쉽기는 하지만, 그래도 원제인 <고해정토: 나의 미나마타병>라는 제목 그대로 재출간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재출간은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1부 <고해정토>의 재출간을 계기로, 절판이 되어버린 2부 <신들의 마을>(녹색평론사)이 하루빨리 재출간될 수 있기를.. 그리고 고해정토 삼부작의 마지막 권인 <하늘 물고기>도 번역 출간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예전에 썼던 서평을 다시 올린다..


---------------------------------------------------------------------------------------------------------------------------------

번역서들 중에서는 가끔씩 소리 소문 없이 세상에 나와 잊혀져버리는 책들이 있다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苦海淨土わが水俣病>(<슬픈 미나마타>김경인 옮김달팽이, 2007)도 그런 책들 중 하나이다내가 이 책의 소재를 알게 된 계기는 <歴史学研究> 569(1987) 특집 <과거를 향하는 마음>에 실린 타키자와 히데키滝沢秀樹의 글 <民衆史方法関連して>에서였다민중사의 시각에서 일본사회의 원()과 한국사회의 한()이라는 감정을 비교하면서민중들의 원한을 억압해온 일본사회의 문제그리고 한국 근현대사에서 <한풀이>라는 행위의 의미를 고찰했던 이 글은 전후 일본 사회의 감정의 구조structure of feelings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당시의 내게 매우 흥미롭고 신선한 시각을 준 텍스트로 기억된다이시무레 미치코의 세계는 이 글의 말미에 잠깐 소개되고 있었다메이지 이래로 일본 사회의 분노나 원한은 끊임없이 억압되어 왔지만결코 그것은 소멸되지 않고 전후에도 계속 터져 나온다이시무레 미치코의 일련의 작품들은 바로 그 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60년대 일본 사회의 고도자본주의화에 경종을 울린 대표적인 공해병, <미나마타병>을 테마로미나마타 지역의 공동체에 장기간 거주하면서(이시무레 자신이 그 인근 지역 출신이기도 하다조사 취재한 기록문학작품으로그녀가 써내려간 미나마타 연작의 첫 번째 책이기도 하다.

이시무레가 그려내는 미나마타병 환자들의 증상은 처참함 그 자체다깨끗한 바다에서 바다음식을 먹으며 살아가던 그토록 건강했던 사람들이 갑자기 손이 저리기 시작하더니걸음을 잘 못 걷고(무도병 증세), 경기를 일으키다가 속속 죽어나가는 것이다.

 

심지어 수은에 중독된 어패류를 먹지 않은 신생아들마저 선천성 미나마타병 증세를 보이기 시작한다처음에 그들은 종종 젓가락을 떨어뜨리거나 문지방이나 미닫이에 걸려 넘어지거나 해서 버릇없는」 아이들로 야단을 맞았다고 한다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 <버릇없는> 행동조차 아예 볼 수 없게 되었다이때부터 그 아이들은 시각청각 등 감각이 모두 없어지고깊고도 조용한 잠 속으로 빠져들었기 때문이다당시만 해도 태반 속의 아기의 경우 어머니의 체내에 있는 오염물질의 중독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학적 상식이었기 때문에신생아들의 경우는 미나마타병 인정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그들의 증상이 미나마타병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그 아이들 중 누군가가 죽어야 했고그 죽은 아이의 시체가 해부되어야 했다하나의 증상이 질병으로 공적으로 인식되기까지의 <잔인함>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물론 이는 보상금을 둘러싼 인정투쟁의 가장 비극적인 양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가능한 보상금을 주지 않으려는 회사 측의 의도 때문에말 그대로 가장 취약한 상황에 처해있던 아이들은 제대로 치료도 받지 못한 채누군가 빨리 한 명이 죽기를 기다리고 있어야만(그래서 그 아이가 해부대 위에 올라가 그들의 뇌와 장기가 미나마타병에 의해 침식되었음을 '과학적'으로 검증해야만했기 때문이다미나마타병 자체가 당시로서는 전혀 원인을 알 수 없는 희귀병이었기 때문에그 증상과 원인을 '학문적으로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다그리고 그 인정투쟁을 위한 '증거'가 확보되기까지의 십여 년의 세월 동안 많은 주민들이 사회로부터 격리된 채 죽어나가고, 그 기간에도 공장은 계속해서 폐수를 방류했다는 사실에까지 이르면啞然해지지 않을 수 없다.

그 보상금이라는 것 역시 황당하기는 마찬가지이다미나마타병(정확히는 증상발병 후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공장 측은 아직 병의 원인이 밝혀지기 전인 1959년 서둘러 환자모임과 '위로금계약을 체결하는데계약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는 회사 측의 성실한 의무수행이라기보다는 자신들의 책임을 미연에 회피하려는 책략임이 너무나 분명하게 드러난다.

 

아이의 생명 연간 3만 엔

어른의 생명 연간 10만 엔

사망자의 생명 30만 엔

장례비 2만 엔

물가가 오르자 1964년 4월에 생명의 가격이 조금 올라서

아이의 생명 연간 5만 엔

그 아이가 20세가 되면 8만 엔

25세가 되면 10만 엔

중증의 어른이 되면 11만 5천 엔

(환자호조회)은 장래에 미나마타병이 갑(공장)의 공장 배수에서 기인한 것이 밝혀져도 새로운 보상요구는 일절 하지 않기로 한다.

 

이시무레는 아이 생명 연간 3만 엔어른 생명 연간 10만 엔이라는 바로 이것이 일본국 1950년대의 인권사상이 등에 붙이고 다니던 가격표라고 말한다또 하나의미심장한 구절은 아직 미나마타병이 공장의 폐수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점이 밝혀지지 않았던 그 시절회사는 장래에 미나마타병이 공장의 배수에서 기인한 것이 밝혀져도 새로운 보상요구는 일절 하지 않기로 한다는 조항이다말 그대로 이 조항을 붙임으로써병 때문에 생계를 꾸릴 수 없어 당장 한 푼이 아쉬운 가난한 어부들에게 말도 안 되는 액수의 위로금’(배상도 아니고심지어 보상도 아닌 위로금이다. 1965년 한일 협정 당시 일본으로부터 받은 돈의 명칭이 떠오르지 않는가배상도 아니고 심지어 보상도 아닌 독립 축하금’. 실로 동일한 논리가 흐르고 있는 것이다)을 협박처럼 들이대면서 자신들이 나중에 감당해야 할 책임을 미연에 회피해버렸던 것이다그리고 (나중에 알려진 사실이지만회사는 자체 내 실험을 통해 폐수가 미나마타병의 직접적 증상임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실험결과를 숨기고 공표하지 않았다.

 

결국미나마타병은 60년대로 접어들면서 일본 사회가 풀어나가야 할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의학진과 사회운동가들이 대거 미나마타로 몰려오면서그리고 1965년 니가타에서 제 2의 미나마타병이 발병사회적으로 문제가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1968최초 발병이 있은 지 15년 만에 마침내 공해병으로 정식 인정된다(하지만 이미 그보다 6년 전인 1962년 구마모토대학 의학부에 의해 미나마타병의 원인이 밝혀졌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며이미 400호 고양이 실험을 통해 그 원인을 알고 있었으면서도구마모토 대학의 논리에 대해 공장에서 배출된 무기수은이 왜 신체에 들어가면 유기수은으로 바뀌는지 알 수 없다며 반론을 폈던 공장 측의 행태를 더더군다나 잊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1969년 6(미나마타병 제 1차 소송미나마타의 29세대 112명이 질소공장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냄)부터 진행된 일련의 재판들에서 피해 환자 측이 승소하면서점차 구제의 길도 열리게 된다. <공해 피해구제법>(1974년 공해건강피해보상법으로 바뀜)이 실행된 것도 이 해(1969)이다앞서 언급한 1959년의 위로금’ 계약의 경우도계약 성립시 계약자의 '무지'(innocence)로 인한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판결에 의해 무효가 선언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는 이미 미나마타병이 발견되고 폐수가 첫 의혹을 샀던 1956혹은 첫 사망자가 나왔던 57그도 아니라면 이후 대량의 사망자가 속출하던 59년의 시점에아니 그 이후라도 신속하게 대처했더라면 수많은 사상자를 줄일 수 있었을 텐데회사 측의 방해와 정부의 늑장대응으로 더욱 큰 참사를 낳았다는 점이다이는 미나마타병이 하나의 의학적 차원을 넘어선 사회적 문제임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기도 하다하라다 마사즈미 교수 등의 주도로 앞서 언급한 우이 준구와바라 시세이 등이 매주 강사로 참여한 미나마타학이라는 강좌가 개설된 이유도 바로 이러한 질병의 사회성에 대한 자각 때문이었다.

 

또 하나그 동안 미나마타병 환자들은 질병이 주는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전염이나 천형’ 등 의학적 지식의 부재가 불러일으키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또 미나마타병 논란의 여파로 회사가 철수하면 지역경제가 붕괴될 것을 우려하는 지역시민들의 시선 때문에 맘대로 고통을 호소하지도 못하는 이중의 고초를 치러야 했음을 덧붙이지 않으면 안 된다어디 미나마타뿐이랴, 2011년 3월 후쿠시마 방사능 누출사고 이후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것처럼 중앙과 지방의 착취-피착취 관계-왜 도쿄전력의 발전소가 간토에서 그렇게 떨어진오히려 도호쿠 지역에 가까운 후쿠시마에 위치해 있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관계가 지역 주민들의 동의에 입각한 헤게모니적 지배 아래 작동하고 있는 현실은 근대 일본의 역사에서 끊임없이 변주되어 왔다.

 

법정에서의 승리하지만 미나마타병임을 어떻게 인정받을 수 있는가라는 벽이 남아있었다실제로 고양이가 100퍼센트 멸종된 시라누이해 연안에 살던 20만 명의 사람들 중미나마타병으로 인정된 환자는 2,265즉 기껏해야 1퍼센트에 지나지 않았다많은 사람들이 자신도 미나마타병에 걸렸다고 하소연했지만환경청과 미나마타병 의학전문가 회의는 계속해서 이를 거부하며심지어 재판소의 미나마타병은 의학적이지 않다고 항소했던 것이다그리고 보상금을 둘러싼 난항과 환자들이 보상금을 바라는 이익집단으로 변질되어 버리는 상황 속에서 주민들은 분노하기 시작한다실제로 우리도 종종 소위 학문적’ 글들에서 확인하지 않는가. ‘객관적 가치중립이라는 입장에서 주민들이 토해내는 일련의 목소리그리고 행위들을 이해관계니 전략'strategy이니 하는 식으로 기술하는 글들을과연 그들은 한없이 추락해가는 '절망의 심연', 그리고 그 심연에서 터져 나오는 '원한'이라는 감정을 최소한 이해하려는 시도라도 하고 있는 것일까.

 

돈은 한 푼도 필요 없어그 대신 회사의 잘 난 사람들위에서부터 줄줄이 수은모액 마시라고 해위에서부터 차례로, 42명이 죽을 때까지그 부인들도 마시라고 해태아성 미나마타병 환자가 태어나게그리고 그 다음에 순서대로 69미나마타병에 걸리라고 해그러고 또 100명 정도 잠재 환자가 돼보라고 해그거면 충분하니까!

 

여기서 '수은모액'은 1968년 5월 질소공장이 결국 미나마타병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 생산을 중지하고그에 부수한 유기수 폐수 100톤을 의미한다공장은 이 100톤의 폐수를 한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드럼통에 주입하던 중공장의 조합에게 들켜 저지당했고이후 이 유기수은모액은 죄업의 상징으로 남았다고 한다. ‘황당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어쨌거나의 이야기이기도 하고당시 한국에서라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이기도 하고그래서 '착잡한이야기이기도 하다제 3의 미나마타병(제 2의 미나마타병은 60년대 중반 일본의 니가타에서 발생했다지역사회의 신속한 대응과 회사와의 투쟁으로 이 사건은 '다행히조기에 수습되고또 이 지역의 운동세력 이후 미나마타 지역과 연대하면서미나마타 지역에 대한 보상의 길로 발전하기도 했다)이 한국에서 발생할 수 있었을 위험을 미연에 구해준 회사의 노동조합에 감사라도 해야 하는 것일까.

 

처음 책을 읽으면서계속 뇌리를 떠나지 않았던 것은 근대 일본 사회의 민중들의 원한(み・)이라는 문제였다메이지시기를 거쳐 '전후'에 이르기까지 일본 사회는 민중들의 분노나 원한의 감정을 끊임없이 억압해온 사회라는 것은 이제는 일반적인 정설이다. 다시 말하면근대 일본이라는 윤리적’ 세계는분노라는 감정을 항상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하는”, 즉 그러한 감정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것 자체를 “‘미덕에 반하는” 것으로 폄하하는그래서 ()과 한()을 잊어버리는 것이 바람직한 사회라는 것이다패전 직후 일본 사회 내에서 소위 <전쟁 체험파戦争体験派>를 중심으로 분노를 망각해버린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 전개된 바 있지만이 역시 전쟁의 그림자가 걷혀 가면서 소멸되어 버렸다이렇게 분노나 원한을 잊어버리는 것이 바람직한 사회에서 일본사회의 민중들은 항상 권력에 순응하며 살아왔다는 그런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그들의 원한이 어떻게 새로운 정치로 전화될 수 있는가그 가능성의 한 측면을 찾고 싶었던 것이 이 책을 꺼내 들게 된 이유였다그러나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이 책은 좋은’ 텍스트는 아니다저자의 강력하면서도 감각적인 문체그리고 미나마타병이라는 실체의 압도적인 무게감에 짓눌려다른 생각들을 펼쳐나가는 것 자체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근대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악마로서의 미나마타병에 대한 대립 항으로써저자가 그렇게 아름답게 묘사해내고 있는 근대 이전의 미나마타 사회라는 구도 역시 '엄밀한의미에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하지만 이를 단순히 사회과학적인 입장에서 근대의 대립 항으로 전근대를 찬미했다는 식으로 비판하는 것은 너무나 '쉽고', '가벼운비판이다왜 그녀는 지역사회 주민들그것도 미나마타병에 의해 처참하게 파괴되고또 그 자신들 역시 현재의 증상에 신음하는혹은 이들 환자들을 보면서 자신도 언제 발병할지 모르는 처지에 두려워하는 주민들의 구술을 통해이런 아름다운 전근대의 세계를 그려냈을까오히려 이 작품은 이런 아름다운 '환상'의 세계를 그려냄으로써 이 세상에서 추방당한 채고해정토(苦海淨土)를 헤쳐 나가는 사람들의 <그 후それから>를 포착하려는 시도가 아니었을까저자도 스스로 밝히듯이 이 책은 사회과학도엄밀한 의미의 르포도 아니다오히려 시의 언어와 산문의 언어가 서로 만나고 겹쳐지는 흔적trace과 같은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게 나을 듯싶다.

 

이 글은 예전 어떤 잡지에 서평으로 실은 글을 (참고문헌과 인용을 포함하여) 많이 축약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바이마르 문화 - 내부자가 된 외부자 교유서가 어제의책
피터 게이 지음, 조한욱 옮김 / 교유서가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한 책들이 최근 꽤 많이 소개되었지만, 어쨌거나 이 책의 재출간은 환영! 그 전시대 문화사로서 <봄의 제전>, 혹은 동시대 정치사로서 <히틀러를 선택한 나라>와 나란히 함께 읽어도 좋을 듯. 바이마르 공화국 몰락의 역사에서 2020년대 우리 사회를 떠올리게 되는 이유는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1940년 체제 - 일본 전후경제사의 멍에를 해부하다
노구치 유키오 지음, 노만수 옮김 / 글항아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70년대까지 일본에는 '풍요로워지려면 성실하게 일해야 한다'는 원칙이 일반적으로 성립되어 있었습니다. 일본 경제가 성장한 까닭은 일본인이 성실하게 일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본인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총량이 증대되었기 때문입니다. "일하지 않아도 풍요롭게 잘 살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단정 짓는 사람이 자꾸 나온다면, 그건 세상이 잘못되고 있다는 증거죠. 1980년대의 거품 경제 속에서 이러한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재테크를 통해 일하지 않고도 이익을 얻을 수 있었고, 자금 없이 골프장을 개발하여 막대한 자산을 축적했습니다. 그러다가 비싼 그림을 사서 갤러리에서 팔면 거액의 차익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오래갈 수 없습니다. 아무도 성실하게 일하지 않으면 경제 전체적으로 부가가치는 창출되지 않고, 폭탄 돌리기 게임이 계속될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큰 손해를 보는 사람이 나타나기 마련이죠. 


비단 일본의 이야기일까.. 어느샌가 <근로소득>만으로는 평생 서울에 집 한 채 가질 수 없고, 소위 '재테크'를 하지 않으면 바보가 되고, 집을 사고 되파는 것만으로도 몇년치 근로소득 이상을 벌 수 있었던, 하지만 이젠 그 아름다웠던 <어제의 세계>도 점점 저물어가는 <이상한 나라>의 거울상 아닌가..

반면교사라 하면서 그대로 따라 하는 사회.. 그러면서 이 곳의 부동산은 일본과는 다르다며 목소리를 높이면, 언론들이 부추겨주는 사회.. 뭐, 조만간 해답이 나오겠지만.. 아마 우리 학자들은 이런 이야기도 '영어'로 쓰려 할테니(동일한 이야기를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쓰면 2-3배 평가해주며 우대해주는 이상한 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프롤레타리아의 밤 - 노동자의 꿈 아카이브
자크 랑시에르 지음, 안준범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의 어려움에 충분히 공감하지만, 너무 아쉽다. 19세기 노동자들의 언어를 파악하는 것이 거의 암호 해독 수준이다. 역자주까지는 기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무리 <무지한 스승>의 가르침에 공감한다 하더라도, 이 언어는 해독불가능하다. 설마 랑시에르가 이런 글을 썼으리라고는 생각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피에 젖은 땅 - 스탈린과 히틀러 사이의 유럽 걸작 논픽션 22
티머시 스나이더 지음, 함규진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격리 기간에 읽다. 끝까지 읽어나가는 것이 무척 힘들었던 책. 지금의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의 기원을 거슬러올라간다는 느낌도 들었다. 저자의 말처럼 모든 죽음은 숫자가 되어버린다. 이를 거부하기 위한 방법은 그 삶들에 다시 이름을 부여하는 것.. 자신을 갈아넣는, 처절한 작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