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부군 - 최초로 공개된 지리산 빨치산 수기, 개정판
이태 지음 / 두레 / 2014년 9월
평점 :
10월의 독서모임 텍스트인 정지아 작가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고 나서.. 내친 김에 이태의 <남부군>을 꺼내들었다. 그러고보니 내가 소장하고 있는 <남부군> 역시 2권이다.. 오른쪽은 재편집증보개정판 3쇄(2106년), 그리고 왼쪽의 낡은 책은 1988년 7월 20일 2판.. 어린 시절 광주 시내(충장로)의 한 극장에서, 단지 최진실 주연이라는 이유만으로 영화를 보고.. 뭔가 허전해서 당시만 해도 광주에서 가장 큰 서점이었던 삼복서점에 가서 구입한 책(그러고보니 예전에는 책을 사면 이렇게 포장을 해주곤 했었는데)..1988년 7월 11일에 초판 발행인데, 9일만에 2판이 발행되었다. 지금의 출판시장을 감안하면 경이로운 속도다.. 어떤 독특한 시대적 상황, 금기에 대한 갈증이 만들어낸 회오리였을 것이다..
물론 어린 마음에 그래도 책을 사긴 했는데.. 이후 <하권>을 사지 않은 걸 보면, 읽다가 제풀에 나가떨어졌는지도 모르겠다.. 책에는 최진실이 나오지 않으니까.. 그래도 책의 앞부분을 읽으면서 어린 시절 가족여행으로 갔던 지리산 자락이.. 그리고 구례 출신인 옆집 친구의 할머니의 옛날 이야기가 떠올랐던 기억이 있다.. 정말 옛날옛적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한국전쟁의 기원 2>에서 48년 4월의 제주, 그리고 같은 해 10월의 여순봉기의 사건사적 의미를 정리하면서 커밍스는 <남한 좌익의 묘비명>이라는 의미심장한 평가를 내린 바 있다. 당대의 한국에서 그 사건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지만, 이미 수많은 봉기들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정비해나간 남한의 폭력적 국가기구, 그리고 압도적인 물량 지원으로 이들을 후원하는 미군에 의해 철저히 진압되었다는 것이다. 이어지는 49년의 <유격대 투쟁>도 예외는 아니다. 대중적 기반은 있었지만, 지도력이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3년에 걸친 좌익활동은 실패했다..
여순반란은 1주 남짓 지속된 격렬한 폭풍이었지만 궁극적으로는 찻잔 속의 태풍이었다. ... 규모와 중요성에서 여순반란은 1946년 가을 봉기와 비교할 수 없다. 그것은 불만을 품은 군인들이 일으킨 즉흥적이고 대단히 멍정한 반란으로, 전라남도의 강력한 좌익 기반에 대한 탄압을 더욱 강화했을 뿐이다. 실제로 투옥된 한 남로당원은 그 반란은 "성급했다"고 당국에 말했다. 이 말은 당이 대비하지 못했고 따라서 지도력을 행사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그럼에도 남로당 활동가들은 반란에 가담했다. 그것은 그 봉기가 "인민의 마음을 반영"한 것이고 인민은 "혁명을 일으킬 준비가 돼 있었기" 때문이라고 그는 말했다. 그리고 당은 다음 기회에는 인민을 지도할 준비가 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에는 진실이 담겨 있으며 증거와 합치한다. 이것은 남한 좌익의 묘비명이었다. 대중적 기반은 있었지만 지도력이 결여되어 있었다. 활동가들은 반란의 뒤를 따라가면서 그것을 혁명이라 불렀다. 여수의 역사적 중요성은 3년에 걸친 좌익 활동이 실패의 막을 내렸다는 그 반란적 특징에 있다.
냉철하면서도 따스한 커밍스의 분석의 정확성을 부인할 수 없으면서도, 역사가가 아닌 나는 딴지를 걸고 싶었다.. 그래서 책의 여백에 조그만 글씨로 이렇게 썼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은 이미 사건이 끝나버린 이후의 시점일 수밖에 없다. 후대의 역사가들이 보기엔 엉뚱한, 그리고 무모해 보이기까지 하는 이 봉기에 참여했던 당대 인민들의 <마음>을, 그리고 그 봉기가 성급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봉기에 가담했던 당대 활동가들의 <마음>을 읽어내야 한다.. 커밍스 역시 이 지점을 명확히 짚어내고 있는 듯이 보인다.. 하지만 정작 더 깊이 들어가지는 않는다.. 물론 커밍스에게 이 이상을 요구할 수는 없다.. 그것은 피비린내 나는 학살과 시체들로 뒤덮인 이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과제일 테니까.."
물론 여백에 쓴 이 문장은 그 과제를 스스로 떠맡지 않는 한 하나의 '감상'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핑계를 대며 나는 빠져나간다..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그런 점에서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으면서 느꼈던 어떤 묵직한 울림은, 수십년에 걸쳐 그 험난한 길을 다른 방식으로 묵묵히 걸어가는 작가의 태도에 대한 공감에서 기인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루쉰이라면 "쩡짜"라고 했을 그 단호함..
하지만 내친 김에 읽고자 시도한 작가의 첫 장편소설 <빨치산의 딸>은 역시 <아버지의 해방일지>에 비하면 조금 버겁다.. 부모님의 빨치산 시절의 삶에 대한 소설적 형상화라고 할 수 있겠지만, 여전히 픽션의 언어로 그려진 이들의 모습은 실제 현실의 땅바닥에서 조금 떠 있는 듯이 느껴진다.. 그 괴리는 당시 20대 중반이었던 작가의 필력의 한계일 수도 있고.. 아니, 문학적 상상력이 빈약한 나의 탓으로 온전히 돌려야 하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아직 역사적으로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시대를 픽션의 언어로 쓰는 것의 <곤란함>의 한 반영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실로 오랜만에 <남부군>을 다시 읽기 시작한 것은 순전히 그 때문이었다..
대장 동무는 꼭 살아서 돌아가주세요. 그리고 역사의 수레바퀴에 깔려 죽어간 우리들의 삶을 기록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