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마르 문화 - 내부자가 된 외부자 교유서가 어제의책
피터 게이 지음, 조한욱 옮김 / 교유서가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한 책들이 최근 꽤 많이 소개되었지만, 어쨌거나 이 책의 재출간은 환영! 그 전시대 문화사로서 <봄의 제전>, 혹은 동시대 정치사로서 <히틀러를 선택한 나라>와 나란히 함께 읽어도 좋을 듯. 바이마르 공화국 몰락의 역사에서 2020년대 우리 사회를 떠올리게 되는 이유는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40년 체제 - 일본 전후경제사의 멍에를 해부하다
노구치 유키오 지음, 노만수 옮김 / 글항아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70년대까지 일본에는 '풍요로워지려면 성실하게 일해야 한다'는 원칙이 일반적으로 성립되어 있었습니다. 일본 경제가 성장한 까닭은 일본인이 성실하게 일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본인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총량이 증대되었기 때문입니다. "일하지 않아도 풍요롭게 잘 살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단정 짓는 사람이 자꾸 나온다면, 그건 세상이 잘못되고 있다는 증거죠. 1980년대의 거품 경제 속에서 이러한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재테크를 통해 일하지 않고도 이익을 얻을 수 있었고, 자금 없이 골프장을 개발하여 막대한 자산을 축적했습니다. 그러다가 비싼 그림을 사서 갤러리에서 팔면 거액의 차익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오래갈 수 없습니다. 아무도 성실하게 일하지 않으면 경제 전체적으로 부가가치는 창출되지 않고, 폭탄 돌리기 게임이 계속될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큰 손해를 보는 사람이 나타나기 마련이죠. 


비단 일본의 이야기일까.. 어느샌가 <근로소득>만으로는 평생 서울에 집 한 채 가질 수 없고, 소위 '재테크'를 하지 않으면 바보가 되고, 집을 사고 되파는 것만으로도 몇년치 근로소득 이상을 벌 수 있었던, 하지만 이젠 그 아름다웠던 <어제의 세계>도 점점 저물어가는 <이상한 나라>의 거울상 아닌가..

반면교사라 하면서 그대로 따라 하는 사회.. 그러면서 이 곳의 부동산은 일본과는 다르다며 목소리를 높이면, 언론들이 부추겨주는 사회.. 뭐, 조만간 해답이 나오겠지만.. 아마 우리 학자들은 이런 이야기도 '영어'로 쓰려 할테니(동일한 이야기를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쓰면 2-3배 평가해주며 우대해주는 이상한 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롤레타리아의 밤 - 노동자의 꿈 아카이브
자크 랑시에르 지음, 안준범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의 어려움에 충분히 공감하지만, 너무 아쉽다. 19세기 노동자들의 언어를 파악하는 것이 거의 암호 해독 수준이다. 역자주까지는 기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무리 <무지한 스승>의 가르침에 공감한다 하더라도, 이 언어는 해독불가능하다. 설마 랑시에르가 이런 글을 썼으리라고는 생각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에 젖은 땅 - 스탈린과 히틀러 사이의 유럽 걸작 논픽션 22
티머시 스나이더 지음, 함규진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격리 기간에 읽다. 끝까지 읽어나가는 것이 무척 힘들었던 책. 지금의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의 기원을 거슬러올라간다는 느낌도 들었다. 저자의 말처럼 모든 죽음은 숫자가 되어버린다. 이를 거부하기 위한 방법은 그 삶들에 다시 이름을 부여하는 것.. 자신을 갈아넣는, 처절한 작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일전쟁 - 역사가 망각한 그들 1937~1945
래너 미터 지음, 기세찬.권성욱 옮김 / 글항아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중심의 2차대전사에서 아시아라는 전장에 대한 관심이 적었던 것은 분명하고, <아시아-태평양전쟁>을 강조하는 일본학계 역시 중국과의 전쟁을 일본군 학살에만 한정하면서 당대 중국의 에이전시를 놓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의의는 분명 큰 것이다. 국민정부에 대한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