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암살자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0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차은정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빌러비드에 대한 글을 쓰다가 예전에 읽었던 이 책에 대한 촌평을 잠시 옮겨온다..

 

꼬박 이틀에 걸쳐 <눈먼 암살자The Blind Assasin>(마거릿 애트우드, 민음사, 2010)을 읽다..
솔직히 <압도되었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한 여성의 <회고록>, 그리고 액자소설, 그리고 액자소설 속의 또 다른 액자소설(SF)이라는 세 이야기를 교차시켜가면서, 작가는 20세기 캐나다라는 한 사회가 경험했던 두 <전후>를 너무나 인상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압도되었다>기 보다는 <매료되었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 같다..
특히 주인공(아이리스)이 자신의 과거를 돌이켜보며 풀어내는 기억들의 서술은 무엇인가 거대한 힘에 의해 뒤틀려버린, 그리고 그 무력함을 감내할 수밖에 없었던 한 <젊은>(과거형) 여성의 페이소스가 너무나 강하게 배어 있어, 읽는 내내 가슴 한 구석을 쓸어내리게 하는 독특한 힘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분명 문체가 주는 마력만은 아니다.. 그러고보니 그 느낌은 <인간 종말 리포트>를 읽었을 때의 그것과도 닮아 있다.. 세상의 끝에서 홀로 남겨진 스노우맨이 느끼는 고독과 절망.. 하지만 <아이리스>는 그보다는 훨씬 더 강인한 여성이다.. 그녀는 어찌됐건 그 <지저분한 욕망과 속물들의 집>에서 도망쳐 나왔고, 또 자신과 여동생(로라)을 타락시킨 그들에게 자기 나름의 처절한 <복수>를 감행했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 장에 가서야 드러나지만) 그녀의 글쓰기는 단지 좌절과 절망의 기록이 아니라, 기념비를 세우는 것, 그리고 <저주받은 가문의 내력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손녀에 대한 희망의 전언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감정을 지금의 나의 언어로 표현하자니 구태연하고 또 부질 없어서 오늘은 그냥 이 느낌을 그대로 묻어두기로 한다..
아마 무엇인가 글을 쓰게 된다면 그것은 <죽은 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아니면 <기념비>를 만드는 것의 의미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이다..

공식적으로 로라는 그늘 속에 가려졌다. 몇 년이 더 흐르면 마치 그녀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될 것이다. 나는 침묵을 맹세해서는 안 된다고 스스로에게 말했다. 나는 무엇을 원했던가? 많은 것을 바란 것은 아니었다. 일종의 기념비 같은 것. 그렇지만 결국 생각해 보면 기념비란 견뎌 낸 상처를 기념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견뎌 내고 혐오한. 기억이 없다면 복수도 없을 것이다.
<우리가 잊지 않도록> <나를 기억해다오> <쇠약한 손으로 네게 던진다> 목마른 유령들의 외침.
죽은 자들을 이해하는 것처럼 어려운 일은 없다는 것을 나는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들을 모른 체하는 것보다 더 위험한 일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