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빠는 위대한 해적 알이알이 명작그림책 42
다비드 칼리 글, 마우리치오 A. C. 콰렐로 그림, 박우숙 옮김 / 현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높고 튼튼한 산 같기만 했던 아빠가 어느 순간 내가 돌봐드려야 할 만큼 쇠약해졌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자식의 마음은 슬프기도 하고 감사하고 죄스런 마음일 것이다. 그런 순간순간을 느낄 때 철 드는 것이라고 말하겠지. 지금도 기억나는 장면 한 가지는 고등학생 때인지 대학생 때인지로 기억되는 어느 추운 겨울날 약속이 있어 버스타러 가는데 아버지는 경운기를 끌고 나무하러 가는 모습이다. 엄마와 동생과 나는 따스한 방에서 뒹굴고 있다가 약속이 있어 나가던 차였다. 시골의 겨울은 농한기라고 하지만 당시만 해도 나무를 땔감으로 쓰는 시절이라 아버지는 겨울에도 쉬지 않으셨다. 아버지는 무엇 때문에 추운 겨울에도 낮잠 한번 주무시지 않고 그렇게 일을 했을까. 아니 쉬고 싶다거나 하기 싫다는 생각은 하지 않으셨을까. 아버지의 숙명을 그 누구도 의심하지 않았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자식에게 하는 것도 그렇다. 이래서 내리 사랑이라는 것일까. 그 겨울에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철이 조금 들었던 듯하다. 그 전까지만 해도 부모로만 보다가 그때 처음으로 개인으로서 아버지를 생각했다고나 할까.

 

이 책 <우리 아빠는 위대한 해적>도 내가 느꼈던 감정과 비슷한 궤적을 따른다. 이 책의 주인공은 훨씬 어린 나이에 철이 들었다는 점만 다르다. 주인공의 아빠는 일하러 멀리 떠났다가 여름에만 2주 정도 머문다. 아빠는 집에 오면 주인공에게 갖가지 모험 이야기를 들려준다. 해적으로서 했던 모험 이야기를. 그 이야기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등장하고 다양한 사건들이 등장한다. 그러다 아홉 살 여름에 아빠는 오지 않고 전보가 도착한다. 엄마는 말 없이 주인공을 데리고 아빠에게 간다. 해적인 아빠를 보러 가려면 배를 타야 하는데 기차를 타고. 그리고 그 길의 끝에서 만난 아빠는 지금까지 알고 있던 아빠가 아니다. 그리고 '더 이상 아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은 날'이기도 하다.

 

해적으로 모험을 한 줄 알았던 아빠가 사실은 타국의 광산에서 석탄 캐는 일을 했던 것이다. 물론 그동안의 이야기는 모두 거짓이었고. 주인공은 아빠를 사랑하긴 하지만 거짓말에 대해서는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다 어느 날 지하실에서 아빠의 모습을 보고 비로소 이해하게 된다. 바다로 나가고 싶어했으나 돈을 벌기 위해 광산으로 가야만 했던, 그래서 자신의 꿈은 이야기로 대체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리고 광산이 문을 닫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사고 후 처음으로 간 광산에서 진정으로 아빠를 이해하게 된다. 거기에 있던 사람들은 그동안 아빠가 들려주었던 모험 이야기에 등장했던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물이 있는 바다가 아니었을 뿐 광산은 그들의 희망호였고 동료를 집어삼킨 바다나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그제야 인정한다. 아빠는 해적이 아닌 적이 한 번도 없었다는 사실을.

 

아빠에 대한 시선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책이다. 거짓말 했다고 따지지 않지만 이해하지 못해서 느껴지는 거리감이 독자에게도 고스란히 느껴진다. 그렇기 때문에 아빠에 대한 오해가 풀렸을 때 사랑과 감동이 더 배가되었을 것이다. 이때 사랑은 주인공의 아빠에 대한 감정이요, 감동은 주인공이 아빠를 이해하는 깊이에 대한 것이다. 독자는 어느 순간 주인공이 되었다가 다시 빠져나와 독자가 되는 두 가지 경험을 한 셈이다. <피아노 치기는 지겨워>나 <적>에서 만났던 다비드 칼리는 유쾌하게 비판하는 작가라는 인상이었던 데 반해 이 책은 인생의 깊이와 세상을 바라보는 따스한 시선이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싫은 날 반달 그림책
성영란 지음 / 반달(킨더랜드)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의 심리가 아주 정확하게 혹은 적나라하게 나타나는 그림책이다. 하긴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도 마찬가지 아닐까. 학교를 회사로 바꾼다면 말이다. 댕댕 종이 치고 이불을 둘둘 말고 있는 아이가 있는 표지그림으로 보아 학교 갈 시간이 다 되었는데 가기 싫어 이불 속에서 꾸물대고 있다는 걸 알겠다. 나는 지금도 휴일 아침에 꿈지럭대며 이불 속에 있는 게 가장 좋다. 물론 그럴 수 없는 평일은 싫다. 그래서 표지 속 아이의 마음을 단번에 이해한다.

 

8시가 되어 일어나야 하는데, 고치처럼 이불을 말고 걱정만 한다. 숙제를 안 해서 더 일어나기 싫다. 하필이면 열도 없어서 핑계도 못 대고. 숙제도 안 했는데 지각하면 더 혼날 걸 걱정하며 여전히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다 시계가 아홉시를 알리고 부랴부랴 집을 나선다. 하지만 거리에는 아무도 없다. 늦어도 너무 늦은 것 같아 울타리를 넘어 학교로 들어갔는데, 아뿔싸, 개교기념일이라 학교에 안 가는 날이란다. 그 소리를 듣는 순간 아이는 모든 것에 인사할 정도로 기분이 좋아진다. 물론 집에 가서 숙제하기로 결심도 한다.

 

집으로 가는 길은 아까와 너무 다르다. 구름도 뛰고 산도 춤추고 메뚜기도 춤춘다. 기분 좋게 돌아가는 길에 강아지랑 놀자는 친구도 만난다. 당연히 놀아야지. 그렇게 하루 해를 홀딱 보내고 저녁이 되어 집으로 돌아온 주인공은 숙제해야한다는 생각만 있을 뿐, 어제와 다를 바 없는 저녁을 맞이한다.

 

전체적으로 배경을 생략해서 이야기에 더 집중할 수 있다. 크로키하듯 그려진 주인공의 행동은 그림만 봐도 기분이 어떤지 느껴질 정도로 아이의 표정이 살아있다. 웃지 않을 수 없는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걸어서 할머니 집 - 제10회 웅진주니어 문학상 장편 부문 대상 수상작 웅진책마을 90
강경숙 지음, 이나래 그림 / 웅진주니어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생 언니와 초등 6학년 동생이 부산에서 합천까지 140여 킬로미터를 걸어가는 여정을 그린 동화다. 유난히 더웠던 올 여름이 연상돼서 읽는 동안 한숨만 나왔다. 아니, 불가능하고 무모한 도전이라는 생각과 실제라면 모험을 끝마치지 못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교차했다. 동화에 현실을 너무 접목했던 것이다.

 

처음에 무작정 길을 떠난 장면부터 나오기 때문에 독자는 아무런 준비없이 동행할 수밖에 없다. 얘네들은 왜 이렇게 무모한 도전을 하는 것일까, 작가가 너무 주제의식에 사로잡힌 것은 아닐까 내심 의심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책을 읽을수록 이들이 왜 떠났는지 알게 되면서 아이들의 아픔에 공감하게 되고 같이 힘들어하며 여행을 하게 된다.

 

선장이라 주로 외국에서 지내는 아빠와 여름방학에 할머니집까지 걸어가기로 약속했으나 갑자기 사고가 나서 실종되고 만다. 엄마는 아빠의 사고소식을 듣고 현장으로 떠나고 남은 두 자매는 아빠 소식을 초조하게 기다린다. 그러던 중 동생 이오가 우울증을 앓게 되고 상황이 심각해지자 언니가 할머니집에 걸어가자고 제안한다. 일종의 기원인 셈이다.

 

그러나 짐작했다시피 걸어가면서 아픔이 많이 치유되고 힘을 얻는다. 물론 이들의 여정이 쉬운 것은 아니다. 힘들어도 꾹꾹 참아가며 이겨낸 것도 아니다. 때로는 못 가겠다고 투정부리고 싸우기도 하고, 왜 시작했을까 후회도 하지만 결국 끝냈을 때 만족감과 상처가 치유되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할머니집을 지척에 두고 이야기가 끝나서 결말이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희망을 가져도 되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서 와, 여기는 꾸룩새 연구소야 - 새박사 다미의 부엉이 펠릿 탐구생활
정다미 지음, 이장미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자 떠들던 텔레비전에서는 생태 관련 다큐멘터리가 흘러나오고 있었다. 동물에 관한 이야기가 은근 재미있어서 자주 보는 편인데 이건 우리나라 이야기다. 오며가며 듣는데 새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인물의 이름 아래에 '꾸룩새 연구소'라는 글자가 보였다. 그 순간 든 생각, <어서 와, 여기는 꾸룩새 연구소야>라는 책이 있다는 사실.

 

물론 당시 이 책을 읽지는 않고 아이들이 대출 반납할 때 봐서 기억이 났다. 그런데 제목까지 이렇게 기억나다니, 그 순간은 내 기억력도 아직 쓸만한구나 싶었다.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니 책에서 보았던 꾸룩새 연구소와 텔레비전에서 나온 곳은 동일장소다. 물론 주인공도 같은 인물이다.

 

다음 날 학교에 도착하자마자 책을 찾아 읽어보았다. 부제가 '새박사 다미의 부엉이 펠릿 탐구생활'이라고 되어 있다. 새는 이빨이 없어 먹이를 씹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시키지 못한 동물뼈나 털 등이 모래주머니에 모여서 덩어리로 뭉쳐지는데 이것이 펠릿이란다. 새는 먹이를 먹고 약 한 시간이 지나면 이것을 부리 밖으로 토해낸다고 한다. 저자는 어렸을 때부터 새에 관심을 갖게 되어 집 주변에 새가 모이도록 연못도 만들고 틈만 나면 뒷산으로 가서 새를 관찰하다가 결국 이런 연구소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것도 어린 나이에. 물론 저자는 현재 새를 관찰하는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단다.

 

이 책은 저자가 어렸을 때부터 어떻게 새를 관찰하게 되었는지부터 어떻게 새를 관찰하는지에 관한 이야기다. 다큐멘터리에서 보았던 내용과 거의 비슷하다. 추천사에 KBS 자연다큐 PD'정다미의 15년 참조 친구'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내가 보았던 프로그램이 바로 이것이었나보다. 단기간동안 이루어진 성과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도무지 구별할 수 없는 새에 관해 이토록 열정적인 사람이 있다니 놀랍다. 또한 그 열정에 따라 자신의 모든 것을 거는 모습이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봉지공주와 봉투왕자 사계절 그림책
이영경 지음 / 사계절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봉지와 봉투의 차이가 뭘까. '옛날 옛날 어느 작은 나라에 비닐봉지와 종이봉투가 오순도순 모여 살았어요.'로 시작되는 이야기로 보아 여기서는 비닐봉지, 종이봉투로 둘을 구분한다. 솔직히 읽는 내내 봉지와 봉투가 확실하게 자리를 잡지 않아 헷갈렸다. 그래서 비닐봉지를 되뇌이며 봉지는 비닐이고 봉투는 종이라는 사실을 계속 주지시켜야했다.  

 

사이좋게 지내던 봉지들과 봉투들은 어느 날 서로를 헐뜯기 시작하다 결국 두 나라로 갈라지고 만다. 그런데 여기에 봉지판 로미오와 줄리엣이 등장한다. 봉지공주와 봉투왕자가 서로 사랑에 빠져버린 것이다. 그림을 보면 봉지공주는 한복처럼 빵빵하게 부풀린 봉지로 표현했고 봉투왕자는 편지봉투 모양으로 표현했다.  

 

봉투왕자가 봉지공주를 만나러 가는 중에 봉지나라가 봉투나라를 공격하고 만다. 딱풀로 봉투나라 사람들을 닥치는 대로 풀칠을 해댄 것이다. 사랑하는 봉지공주를 만나러 가던 봉투왕자는 그 소식을 듣고 나라로 되돌아가 열심히 싸운다. 싸움을 이길 즈음 궁지에 몰린 봉투왕자는 그만 물에 빠지고 만다. 종이가 물에 닿았으니 이제 끝이나 마찬가지다. 그런데 봉투왕자를 기다리던 봉지공주가 떠내려오는 봉투왕자를 보고 구해주려고 하나 봉지는 바람이 빵빵해서 봉투를 잡을 수가 없다. 과연 봉지공주는 어떻게 했을까. 

 

그림 분위기는 <아씨방 일곱 동무>와 비슷하지만 내용은 웃음을 참을 수 없게 현대적이다. 게다가 어린이 책에서 표준어를 써야 한다는 상식을 깬다. 그런데 싸움(전쟁이라고 하기엔 어딘가 약하다.) 후 두 나라의 상황이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도리가 없다. 게다가 왜 싸웠는지조차 알 수가 없다. 갑자기 싸웠고 왕자가 물에 떠내려가서 시선이 거기로 옮겨지고, 끝이다. 뭔가 이야기가 이어지다 만 기분이라 당황스럽다. 솔직히 전체적인 서사로 보자면 뭔가 부족하다. 그러나 읽는 동안 웃음은 확실하게 보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