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ㅣ 나의 고전 읽기 9
김슬옹 지음, 신준식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오래전부터 책꽂이에 꽂혀 있던 책이건만 선뜻 읽을 수가 없었다. 좀 한가로울 때, 다른 일 때문에 마음의 여유가 없을 때 읽고 싶지 않아서 차일피일 미루던 것이 근 두어 달이 되었다. 이제야 겨우 한가하다 싶어 모처럼 마음 잡고 읽기 시작했다. 천천히 정독은 아니어도 놓치는 글자가 있으면 안 된다는 듯이 그렇게 천천히 읽어 내려갔다.
지금까지 막연하게 한글은 대단한 글자라는 생각을 깨고 과학적이며(아니 저자의 말대로라면 과학 그 자체다.) 굉장한 글자라는 것을 인정한 지는 꽤 되었다. 원리가 어떻고 세종이 얼마나 고심했었는지는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훈민정음 창제를 둘러싸고 이렇게 많은 일들이 있었으며 세종이라는 인물이 이토록 굉장한 인물인지는 미처 몰랐다. 읽으면 읽을수록 세종의 모든 면이 거대한 모습으로 다가왔다. 사실 이 책에서 뒷부분에 언급된 훈민정음의 원리와 풀이는 이미 어느 정도 알고 있던 터라 그 보다는 앞부분에 있는 이야기가 훨씬 크게 느껴졌다.
세종은 정치인이면서 음악, 언어학, 과학, 철학, 역사학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식견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기에 훈민정음을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 단지 백성들을 위해서 백성들에게 글자를 가르치기 위해서였다면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집현전 학자들이 세종과 함께 훈민정음을 만들었던 것은 아닐 수도 있다고 한다. 창제를 공식 선언한 이후 집현전 학자들에게 그것을 이용한 책을 만들도록 할 때 함께한 인물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저자는 성삼문이나 박팽년 등을 사육신으로만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안타깝다는 말도 덧붙인다. 그들이 훈민정음 해례본의 공동저자라는 사실을 놓치고 있다면서.
어느 책에서도 최만리의 상소문을 읽은 적이 있다. 지금의 상식으로 보면 말도 안 되는 이유를 들어 반대하는 것을 보며 기가 막히다 못해 화가 나기까지 했는데 이 책에서 저자가 세종과 최만리의 토론을 추측해 놓은 것을 보니 당시 사회상으로서는 충분히 그럴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도 든다. 얼마전에 전작권 환수 문제에서 보여줬던 일부 사람들의 태도와 최만리 같은 정통 사대주의들과의 차이점이 과연 무엇이란 말인가. 어쨌든 그 상소문으로 인해 최만리 후손은 두고두고 욕을 먹었단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그것으로 인해 훈민정음 창제 과정이나 목적 등이 자세히 기록되기도 했다니 일정 부분 공헌을 한 셈이다.
학교 다닐 때 무작정 외웠던 훈민정음 서문. 우리는 단순히 그것만 외웠다. 아,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배웠다. 판에 박힌 듯이... 왜 그것을 썼는지 어째서 그런 글자를 만들게 되었는지 배경은 어땠는지, 당시 학자들의 반응은 어땠는지는 접어둔 채로 오직 외우기만 했다. 어디 그것을 교육의 탓으로만 돌릴까만은 교과서만 가지고 공부를 했다는 것이 이렇게 안타까울 수가 없다. 하긴 지금 이렇게 이런 책이 있어도 청소년이 읽지 않고 내가 그랬던 것처럼 무작정 외우기만 한다면 달라진 것이 없는 게 되지만 그래도 몇몇은 그러지 않으리라 믿는다. 단순히 훈민정음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읽었지만 그건 아주 일부였고 훨씬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던 아주 소중한 읽기 경험이었다. 아무래도 당분간은 마주치는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하게 될 것 같다.